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88942615247
· 쪽수 : 374쪽
· 출판일 : 2022-02-25
목차
CHAPTER 1 인간의 삶과 사회복지 • 11
1. 인간과 사회환경 12
2. 욕구와 사회문제 15
1) 욕구의 개념 및 분류 / 16
2) 사회문제 / 25
3. 생애주기별 욕구와 사회적 위험 28
1) 생애주기별 욕구 / 28
2) 사회적 위험 / 29
4. 사회제도와 사회복지 30
CHAPTER 2 사회복지의 개념과 성격 • 33
1. 사회복지의 개념 및 목적 34
1) 사회복지의 개념 / 34
2) 사회복지의 목적 / 44
2. 사회복지의 대상과 범위 45
1) 광의의 사회복지 / 45
2) 협의의 사회복지 / 46
3. 사회복지의 모형 46
1) 윌렌스키와 르보의 모형 / 46
2) 티트머스의 모형 / 51
3) 미쉬라 모형 / 52
4. 사회복지와 유사개념 53
1) 사회복지와 사회사업 / 53
2) 사회적 서비스 / 54
3) 사회보장 / 54
5. 사회복지의 개념변화 55
6. 사회복지학의 학문적 성격 57
CHAPTER 3 사회복지의 가치, 윤리와 이념 • 59
1. 사회복지의 가치 및 윤리 60
1) 사회복지의 가치 / 60
2) 사회복지의 윤리 / 65
2. 사회복지와 이념 70
1) 이념의 유형 / 71
2) 조지와 윌딩의 이념분류 / 77
CHAPTER 4 사회복지와 인권• 87
1. 인권과 정의 88
1) 인권의 개념과 특성 / 88
2) 인권의 내용 / 92
3) 인권와 사회정의 / 95
2. 권리로서의 사회복지 97
3. 인권과 사회복지 99
1) 아동과 인권 / 101
2) 노인과 인권 / 102
3) 장애인과 인권 / 104
CHAPTER 5 사회복지의 구성요소 • 109
1. 사회복지 대상과 욕구 111
1) 국민: 선별 대 보편 / 111
2) 사회적 욕구 / 112
3) 사회적 위험 / 113
2. 사회복지의 주체 114
1) 공공 부문 / 115
2) 민간 부문 / 116
3. 사회복지의 전달체계와 방법 117
1) 사회복지 전달체계 / 117
2) 사회복지 접근방법 / 119
4. 사회복지의 재원 120
1) 공공재원 / 121
2) 민간재원 / 122
CHAPTER 6 사회복지의 역사 • 125
1. 시대별 사회복지 과제 128
1) 고대사회 / 128
2) 중세사회 / 128
3) 근대사회 / 128
4) 현대사회 / 129
2. 사회복지 발달의 결정요인 130
3. 서양의 사회복지 발달과정 131
1) 구빈법 이전 시기 / 132
2) 구빈법 이후 시기 / 134
3) 신(개정)구빈법(New Poor Law) 시행 시기 / 140
4) 근대 사회사업 시기 / 142
5) 사회보험의 제도화 / 147
6) 베버리지 보고서 시기 / 149
7) 복지국가 시기 / 152
8) 신자유주의 시기 / 154
4. 한국의 사회복지 발달 156
1) 근대 이전의 사회복지 / 156
2) 근대 이후의 사회복지 / 157
CHAPTER 7 사회복지와 복지국가 • 161
1. 복지국가의 개념 및 발전 162
1) 복지국가의 개념 / 162
2) 복지국가의 발전 / 164
2. 복지국가의 유형 166
1) 윌렌스키의 분류 / 167
2) 퍼니스와 틸톤의 분류 / 168
3) 미쉬라의 유형 / 171
4) 에스핑-엔더슨의 유형 / 172
3.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 174
1) 스칸디나비아의 길 / 176
2) 신자유주의의 길 / 176
3) 노동감축의 길 / 176
CHAPTER 8 사회복지의 실천대상과 공급자 • 177
1. 사회복지의 실천 대상 179
1) 개인 / 179
2) 체계 / 180
2. 사회복지 공급자로서 국가와 민간의 역할 관계 183
1) 국가의 역할 / 184
2) 민간의 역할 / 185
3) 국가와 민간의 역할 분담 / 186
CHAPTER 9 사회복지의 미시적 실천방법 • 189
1. 사회복지실천의 정의와 유형 190
1) 사회복지실천의 정의 / 190
2)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 191
3) 사회복지실천의 기능 / 192
4) 사회복지실천의 유형 / 193
2. 사회복지실천 가치와 이론 196
1) 사회복지실천 가치 / 196
2) 사회복지실천 이론 / 197
3. 사회복지실천 과정과 기술 209
1) 사회복지실천의 과정 / 209
2) 사회복지실천의 기술 / 217
4. 사례관리 231
1) 사례관리의 정의 및 목적 / 231
CHAPTER 10 사회복지의 중범위 거시적 실천방법 • 233
1. 지역사회복지 234
1) 지역사회복지 / 234
2) 지역사회복지실천 / 242
2. 사회복지행정 250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및 특성 / 250
2) 사회복지행정의 이론적 배경 / 257
3)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체계 / 268
3. 사회복지정책 275
1) 사회복지정책의 개요 / 275
2) 사회복지정책의 목표 / 279
3) 사회복지정책의 가치 / 281
4)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 / 284
5) 사회복지정책의 분석 / 297
CHAPTER 11 사회복지의 정책 분야 • 307
1. 사회보험 308
1) 국민연금 / 308
2) 건강보험 / 312
3) 고용보험 / 315
4) 산재보험 / 319
5) 노인장기요양보험 / 323
2. 공공부조 326
1) 공공부조 / 326
2)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 329
3) 의료급여 제도 / 334
4) 긴급복지지원제도
CHAPTER 12 사회복지의 실천현장 • 337
1.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의미 338
2. 대상별 실천현장 340
1) 아동복지 / 340
2) 청소년복지 / 341
3) 노인복지 / 342
4) 장애인복지 / 344
5) 여성복지 / 345
3. 직능별 실천현장 347
1) 학교사회복지 / 347
2) 의료사회복지 / 349
3) 군사회복지 / 351
4) 교정복지 / 353
5) 국제사회복지 / 354
4. 사회복지사 356
CHAPTER 13 사회복지의 전망 • 361
1. 사회적 가치와 제도의 변화 362
2. 4차 혁명시대의 사회복지 364
1) 4차 산업혁명 / 364
2) 사회복지 분야 내 기술 활용 / 366
3. 사회복지의 대응 368
참고문헌 / 3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