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축산
· ISBN : 9788942619337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25-08-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3
제1장 동물공중보건학의 개념과 발전 8
1. 동물공중보건학의 정의 및 역할 8
1) 공중보건학(Public Health) 8
2) 동물공중보건학(Animal Public Health) 9
2. 공중보건학의 발전 역사 14
1) 고대기(~AD 500) 15
2) 중세기(AD 500~1500년대) 16
3) 여명기(1500~1850년) 18
4) 확립기(1850~1900) 21
5) 발전기(1900~현재) 23
3. 원 헬스(One Health) 27
제2장 식품위생 및 환경위생 35
1. 식품위생 개념 이해 35
1) 식품위생의 정의 및 중요성 35
2) 식품위생의 목표 37
3) 식품위생 관련 법규 및 정책 기관 38
2. 식품과 미생물 40
1) 미생물의 종류 및 특성 40
2) 식품과 미생물의 관계 43
3) 미생물 제어 방법 44
4) 동물성 식품과 미생물 46
5) 식품위생 관리 47
3. 식중독 51
1) 식중독의 분류 51
2) 식중독의 각 원인균과 물질 53
4. 식품첨가물 및 안전성 64
1) 식품첨가물의 정의 64
2) 식품첨가물의 분류 및 사용 목적 64
3) 국내 식품첨가물 안전 규제 및 기준 68
4) 국제적인 식품첨가물 안전성 관리 69
5) 식품첨가물의 안전성 평가 절차 69
5. 환경위생(Environmental Hygiene) 70
1) 환경위생의 정의와 중요성 70
2) 환경 요소별 관리 71
3) 환경오염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72
제3장 HACCP 74
1. HACCP(안전관리인증기준) 74
1) HACCP의 정의 75
2) HACCP 관련 법령 및 의무 적용 분야 76
3) 위해 요소의 이해 80
4) 선행요건프로그램의 이해 81
5) HACCP의 절차 83
6) HACCP 시스템 도입 효과 95
제4장 역학과 감염병 관리 96
1. 역학 96
1) 역학의 개념 96
2) 역학에서 질병 발생 모형 99
3) 감염병의 발생 101
4) 건강 및 질병의 빈도 측정 105
5) 진단의 정확성과 신뢰성 107
6) 역학 조사 111
2. 질병 관리 115
1) 질병 발생 116
2) 질병 발생 3대 요인 120
3) 병원체의 전파 방법 128
4) 질병의 전염 및 유행 양식 130
5) 면역 136
6) 소독과 방역 138
제5장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 146
1. 인수공통감염병의 개요 146
1) 인수공통감염병의 정의 147
2) 인수공통감염병의 분류 148
2. 인수공통감염병의 종류 155
1) 세균성 인수공통감염병 155
2) 바이러스성 인수공통감염병 191
3) 세포 내 기생 세균성 인수공통감염병 214
4) 원충성 인수공통감염병(Protozoan zoonosis) 222
5) 기생충성 인수공통감염병 231
6) 곰팡이(진균)성 인수공통감염병 238
7) 기타 인수공통감염병 246
참고문헌 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