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88942623716
· 쪽수 : 463쪽
· 출판일 : 2018-01-31
목차
PART 1. 질적연구의 시작
Chapter 01 질적연구, 세상에 물음 던지기 / 17
1. 질적연구와 학문 / 19
2. 질적연구의 패러다임과 이론 / 25
3. 질적연구의 특성과 기준 / 32
4. 질적연구를 행한다는 것 / 39
Chapter 02 질적연구는 공감정치다 / 43
1. 질적연구자의 얼굴 / 44
2. 질적연구의 합리성 / 50
3. 자문화기술로 연구하기 / 54
4. 자문화기술지와 질적연구자 / 63
Chapter 03 질적연구의 유형과 경향 / 70
1. 질적연구를 하는 이유 / 71
2. 질적연구방법의 확장 / 74
3. 질적연구방법론 유형별 특징 및 분석방법 / 75
4. 질적연구의 시사점과 경향 / 86
Chapter 04 질적연구와 IRB: 윤리적 이슈 / 89
1.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승인이 필요한 이유 / 89
2. 연구윤리와 IRB / 91
3. 연구계획서 및 동의서 작성 / 97
4. IRB 제출 서류 / 106
5. 질적연구자로서 직면할 수 있는 윤리적 이슈 / 113
PART 2. 질적연구 현장 이야기
Chapter 05 현상학적 연구: 경험의 본질 들여다 보기 / 123
1. 현상학적 연구의 이해 / 124
2. 현상학적 연구의 갈래와 특징 / 129
3. 현상학적 연구의 패러다임 설정의 예 / 133
4. 현상학적 연구에서의 자료 수집과 분석의 예 / 136
5. 현상학적 연구 글쓰기의 예 / 153
6. 현상학적 연구의 전망 / 156
Chapter 06 문화기술지: 익숙한 교실에서 타자와 함께하기 / 158
1. 문화기술지의 이해 / 159
2. 문화기술지 연구의 쟁점과 절차 / 165
3. 문화기술지에서의 자료 수집 / 170
4. 중도입국청소년의 정체성 협상에 관한 문화기술지 사례 / 173
5. 문화기술지 연구의 전망과 과제 / 187
Chapter 07 민속방법론: 일상을 재발견기 / 189
1. 민속방법론의 이해 / 189
2. 민속방법론의 분석의 갈래 / 194
3. 민속방법론의 연구대상과 분석의 실제 / 200
4. 민속방법론 연구의 실제: 과학탐구 수업 사례를 통한 상황학습의 재이해 / 205
5. 민속방법론 연구의 전망 / 213
Chapter 08 생애사연구: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알기 / 216
1. 생애사연구의 이해 / 217
2. 생애사연구의 방법적 절차 / 225
3. 생애사연구의 실제: 미인가 대안학교장의 생애사 / 231
4. 생애사연구의 의미와 가치 / 237
Chapter 09 내러티브 탐구: 호모 나랜스, ‘이야기하는 인간’의 이야기 / 243
1.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및 특징 / 244
2.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연구자와 연구절차 / 248
3. 내러티브 탐구의 실제 / 250
4. 내러티브 탐구에서의 성찰과 전망 / 263
Chapter 10 사례연구: 경계 지어진 세계 들여다보기 / 267
1. 사례연구 특징 이해하기 / 267
2. 사례연구 절차 이해하기 / 274
3. 사례연구 수행하기 / 285
4. 사례연구 확장하기 / 299
PART 3. 응용 질적연구 행하기
Chapter 11 근거이론: 광산에서 보석 캐기 / 305
1. 근거이론의 시작 / 306
2. 근거이론의 주요 쟁점과 흐름 / 311
3. 근거이론의 경험 / 320
4. 근거이론가로서의 성장 / 334
Chapter 12 실행연구: 현실에 안주하지 않는 자의 연구 / 336
1. 실행연구의 이해 / 336
2. 실행연구의 주요 쟁점과 절차 / 340
3. 새로운 현장에서의 교육적 변화를 위한 연구 / 347
4. 실행연구에서의 자료 수집과 분석 / 358
5. 실행연구를 통한 또 다른 가능성 / 362
6. 실행연구의 전망과 과제 / 363
Chapter 13 핵심집단면담과 델파이 조사: 질적연구에서 전문가 활용하기 / 367
1. 전문가를 활용하는 FGI와 델파이 조사의 특징 / 368
2. FGI와 델파이 조사의 차이 / 369
3.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가치 / 371
4. FGI의 주요 쟁점과 절차 / 373
5. 델파이 조사의 주요 쟁점과 절차 / 378
6. 전문가를 활용한 델파이 조사 연구 실제 / 382
7. FGI와 델파이 조사의 전망 / 393
Chapter 14 합의적 질적연구: 협력과 객관성의 이중주 / 396
1. 합의적 질적연구의 배경 / 396
2. 합의적 질적연구의 절차 / 399
3. 합의적 질적연구 사례 / 405
4. 합의적 질적연구의 현재와 전망 / 412
Chapter 15 혼합연구: 두 마리 토끼 잡기 / 414
1. 혼합연구의 개념 및 특성 / 414
2. 혼합연구의 실제 / 419
3. 좌충우돌 혼합연구 경험담 / 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