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시대 해양유민의 사회사

조선시대 해양유민의 사회사

(15~17세기 섬을 떠난 제주사람들)

이영권 (지은이)
  |  
한울(한울아카데미)
2013-11-28
  |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30,000원 -0% 0원 300원 29,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시대 해양유민의 사회사

책 정보

· 제목 : 조선시대 해양유민의 사회사 (15~17세기 섬을 떠난 제주사람들)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시대 일반
· ISBN : 9788946056336
· 쪽수 : 296쪽

책 소개

조선시대 특히 15~17세기 기간에 제주인들이 배를 타고 제주도를 떠나 유랑하던 역사를 고찰했다. 저자 이영권은 이들이 왜 제주도를 떠났을까, 떠난 이들은 바다에서 어떤 사람을 살았을까, 그리고 그들의 삶이 지금의 우리에게 남기는 의미는 무엇을까 등을 고민했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장 머리말
1.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2. 기존 연구 검토
3. 이론적 배경 및 연구 방법

┃제2장 여말선초 제주사회의 변동
1. 고려 말 제주 목마 경제의 번성과 인구 증가
2. 말을 둘러싼 원, 명, 고려, 탐라의 복합적 갈등
3. 조선 정부의 제주 장악

┃제3장 제주유민의 발생과 소멸
1. 제주유민의 명칭
2. 제주유민 발생의 자연환경적 배경
3. 제주유민 발생의 사회구조적 배경
4. 우마적 사건과 제주유민
5. 제주유민의 발생 및 소멸 시점

┃제4장 제주유민의 생활
1. 제주유민의 구성
2. 제주유민의 분포지역
3. 제주유민의 규모
4. 제주유민의 생업 및 활동

┃제5장 제주유민의 유사 집단
1. 제주유민과 수적과의 관계
2. 제주유민과 왜구와의 관계
3. 제주유민과 중국 수적과의 관계

┃제6장 임진왜란과 제주유민
1. 조선 수군으로서의 제주유민
2. 왜병으로서의 제주유민
3. 수적과 포작선

┃제7장 제주유민의 성격
1. 해양적 성격
2. 교역경제인적 성격
3. 약탈적 성격
4. 용병적 성격
5. 국제적 성격
6. 경계인적 성격

┃맺음말

저자소개

이영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사학과 졸업 제주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졸업 제주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 졸업(문학 박사: 역사사회학 전공) 주요 저서: 제주역사기행(한겨레신문사, 2004) 새로 쓰는 제주사(휴머니스트, 2005) 제주역사 다시 보기: 왜곡과 미화를 넘어(신서원, 2007) 등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는 이들을 조선시대 ‘제주유민(流民)’이라 칭하고 논지를 전개할 것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제주유민이라 함은 15세기부터 17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의 출륙제주도민(出陸濟州島民)으로서 원주지인 제주도를 불법적으로 이탈하여 전라도, 경상도 연해지역을 중심으로 한반도 및 일부 중국의 연해지역에 거주하던 제주도민들을 말한다.


경제적 부가 몰리는 곳에 정치권력이 작동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고려 말 제주의 목마 경제가 번영을 구가하고 있을 때, 동북아시아의 정치 정세는 격변하고 있었다. 1368년 원제국은 한족(漢族)이 세운 명에 패배한 뒤 몽골 본토로 쫓겨 갔다. 이로써 사실상 원의 중국 지배는 끝이 났으며, 고려 역시 원의 영향력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원을 대신하여 고려를 압박한 것은 신흥 강국 명이었다.


출륙제주유민을 가리키는 명칭은 두 종류가 있었다. 그중 두무악계 명칭은 출륙제주유민을 가리키는 보편적 의미로 쓰였다. 반면 포작계 명칭은 본래 전복 등 해산물을 채취하던 제주인을 일컫는 말이었다가, 차츰 출륙제주유민을 가리키는 말로 일반화되어갔다. 이는 해산물 채취 외에 해양유민이 선택할 수 있는 일이 없었기에 사실상 제주유민을 대표하는 포작업이 이들의 보편적 직업이 되었고, 그래서 결국 ‘포작’은 제주유민의 일반적 명칭이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