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글로벌보건법

글로벌보건법 (양장)

로렌스 O. 고스틴 (지은이), 류화 (옮긴이), 오주환, 이선구, 이종구 (감수)
한울(한울아카데미)
6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8,000원 -0% 0원
2,040원
65,9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글로벌보건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글로벌보건법 (양장)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사회의학 > 의학 분야 법학
· ISBN : 9788946072466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20-08-27

책 소개

글로벌보건법의 방대한 범위와 실체를 정의하고 제도적 기본 틀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면서 21세기 글로벌보건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책이다. 저자는 글로벌보건법의 범위와 실체 그리고 그에 틀을 부여하는 외교적·정치적·사회적·경제적 요인을 강조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옮긴이의 글/ 서문/ 글로벌보건의 서사(敍事): 젊은이의 목소리를 들으며

제1부 글로벌보건의 실패와 그 영향: 세계화한 세상의 건강 불평등
제1장 글로벌보건의 정의(正義): 건강 형평성을 위한 획기적인 어젠다를 향하여
제2장 건강 위협의 세계화: 전 지구적 공동행동의 필요성
제3장 보건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의 흐름에서 본 글로벌보건법

제2부 글로벌보건 기구들
제4장 세계보건기구의 약속과 이행
제5장 신구(新舊) 보건 기구들: 세계은행에서 세계기금, 세계백신면역연합, 게이츠재단에 이르기까지

제3부 국제법과 글로벌보건
제6장 국제보건규칙: 국제공중보건비상사태에 대응하기
제7장 담배규제기본협약: 담배에 대한 글로벌 대응
제8장 보건과 인권: 인간의 존엄성, 글로벌 정의, 개인의 안전
제9장 글로벌보건, 국제무역, 지식재산권: 글로벌 남쪽을 위한 공정한 거래를 향하여

제4부 지평선 너머: 글로벌 사회정의를 찾아서
제10장 ‘제로(0)에 다가가기’: 에이즈 범유행의 과학 혁신, 사회동원, 인권
제11장 보건 종사자 국제 이주: 글로벌 불평등의 당혹스러운 사례
제12장 인플루엔자 범유행: 글로벌보건안보 사례 연구
제13장 비전염성질환의 ‘고요한’ 범유행
제14장 정의에 입각한 글로벌보건을 그리며

저자소개

로렌스 O. 고스틴 (엮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조지타운대학교(Georgetown University)의 최고 석학의 지위인 유니버시티 프로페서(University Professor)이며 오닐 글로벌보건법 연구소의 창립 위원장이자 오닐 국가/글로벌보건법 연구소(O’Neill Institute for National and Global Health Law)의 소장이다. 세계보건기구의 국가/글로벌보건법 센터(World Health Organization Center on National and Global Health Law)의 센터장직을 겸임하고 있다. 조지타운대학교에서는 의학을, 존스홉킨스대학교(Johns Hopkins University)에서는 공중보건학을 가르친다. 전미과학한림원(National Academy of Sciences)의 종신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영국 왕립공중보건협회(Royal Society of Public Health)의 석학 회원(fellow)으로 활동한다. 또한 랜싯글로벌보건법위원회(Lancet Commission of Global Health Law)의 의장이며 2015년 에볼라 유행에 관한 두 개의 글로벌 위원회에서 활동한 바 있다. 미국공중보건협회(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로부터 받은 평생공로상(lifetime achievement award)을 포함하여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영국의 국립소비자위원회(National Consumer Council)는 고스틴 교수에게 “의회와 정부를 촉구하여 사회복지를 위해 행동하도록 하는 데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한 사람”에게 수여하는 로즈마리 델브리지상(Rosemary Delbridge Memorial Award)을 수여했다.
펼치기
류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조지타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일반법학 석사와 글로벌보건법 석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미국(워싱턴 D.C.) 변호사이다. ??글로벌보건법??의 저자인 로런스 고스틴 교수에게서 직접 가르침을 받았다. 도미하기 전에 대한민국 내 미국 정부 조직에서 20여 년간 근무했으며, 특히 2000년 이후에는 주한 미국 대사관에서 한미 간 주요 방위사업 관리와 정책을 지원하고 조율하는 국가안보 분야의 미국 전문가로 활동했다. 현재 미국 법인 컨설팅 회사의 대표로서 한미 기업 간 산업협력을 위한 지원과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조지타운대학교 오닐연구소의 연구활동 지원을 포함하여 글로벌보건법을 국가안보/국제협력 업무 경험에 접목하는 글로벌보건안보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을 넓혀 가고 있다.
펼치기
오주환 (감수)    정보 더보기
하버드보건대학원 국제보건학과 타케미 펠로우를 마친 후, 서울대학교병원 교수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국제보건 강의와 연구를 맡고 있으며, 한국정부의 국제보건정책과 공공의료정책분야 자문활동을 함께 하고 있다. 한국 국제보건의료학회 공식 국제학술지 J of Global Health Science의 Founding Editor-in-chief, 국제학술지 PLOS ONE의 의학, 보건학, 국제보건학 분야 Academic Editor, 한국의학회 공식 학술지 J of Korean Medical Science의 국제보건분야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외교부 빈곤퇴치기여금 중앙운용위원회 위원(2012~2016), 국무총리실 국제개발협력 평가소위 위원(2014~2018), WHO가 사무국을 맡고 있는 UN 기구 공동 프로그램인 생식보건 연구개발정책조정위원회의 대한민국 정부 파견대표(2015~2017)로 활동했다.
펼치기
이선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 석사, 미국 스탠퍼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에서 법학 석사(JSM)를 취득한 후 미국 조지타운대학교(Georgetown University)에서 고스틴 교수의 지도를 받아 법학 박사(SJD)를 취득했다. 세계보건기구(WHO) 본부의 사무관 및 컨설턴트로 일하면서 담배 규제와 감염병 예방 및 관리 등 다양한 영역에서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실행한 경험이 있다. 귀국한 후에는 대법원 재판연구관으로 비교법 연구를 담당한 데 이어 가천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교수로 임용되었고, 현재 연세대학교 언더우드 국제대학 교수로 재직 중이다. 건강 관련 정보를 비롯한 빅데이터 처리, 의학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정신보건 정책의 개선 등 법제도, 보건, 과학기술이 교차하는 분야를 주요 연구 분야로 삼고 있고, 한국의 법제도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게재한 바 있다.
펼치기
이종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보건대학원에서 보건학석사를, 의학대학원에서 의학박사를 취득했다. 의과대학과 서울대학교 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질병관리본부장을 역임했고, 현재 외교부 글로벌 안보대사,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코로나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글로벌보건’은 사람마다 다른 의미를 지닌다. 이 용어는 흔히 공여국-수원국 관계에 있는 부유한 나라가 가난한 나라에 일종의 자선 형태로 제공하는 보건 지원을 약칭할 때 사용되곤 한다. 나는 이 개념을 ‘보건원조’라고 부른다. 글로벌보건 노력을 보건원조로 표현하는 것은 세계가 기부자와 도움이 필요한 나라로 이분되어 있음을 내포하기 때문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다. …… 마찬가지로 ‘원조’의 개념은 한쪽은 후원자이고 다른 한쪽은 의존자인, 본질적으로 불평등한 관계를 상정하고 부과한다. 이는 부유한 국가와 다른 공여자로 하여금 ‘자선’을 베푼다고 믿게 만드는데, 이는 자금 지원과 사업이 주로 그들의 재량에 달려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공여국이 글로벌보건 계획의 금액과 목표를 결정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 결과 자금 지원의 수준은 예측이 불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신축성 있게 조절할 수 없으며,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 보건원조의 이러한 특징에 따라 수원국은 결핍을 공여국 탓으로 돌릴 수 있기 때문에 자국 국민의 보건에 전적으로 책임지지 않는 결과를 낳게 된다. _제1장 글로벌보건의 정의(正義)


보건의료체계는 감염병 재출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임상의(臨床醫)들이 종종 항생제와 항균 약물을 무차별적으로 처방함에 따라 미생물 적응을 야기한다. (이와 비슷하게 농가에서는 가축에게 항생제를 남용한다.) 이는 제1선 약물 치료 내성뿐만 아니라 병원체의 독성에 변화를 일으킨다. 연구에 따르면, 특히 선진국에서 약물내성 미생물이 대폭 증가했다. 이 같은 작용으로 일부 질병(결핵 등)의 경우 표준 의료대응 방법에 따른 대처가 어려워지고 있다. _제2장 건강 위협의 세계화


가짜 약품은 저렴하게 만들 수 있고 높은 이윤 차액을 남길 수 있기 때문에 수익성이 매우 높은 암시장으로 번성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국가에서는 종종 엄격한 집행과 처벌을 하지 않는다. 규모와 이윤 차액에서 국제 불법약품 시장은 의약품 밀거래를 필적한다. 종종 동일한 범죄 조직이 합법적인 의약품 보급망에 있는 의약품을 전용하거나 제조한다. 가짜 약품의 전 세계 판매액은 매년 수십억 달러에 이르며, 시장 또한 급속하게 팽창하고 있다. 전 세계 의약품의 15%는 불법적인 것으로 추산된다. 가짜 약품은 저소득국에 더욱 많이 유포되고 있고 아프리카, 아시아, 남미에서 유통되는 약품의 30%는 불법이다. _제2장 건강 위협의 세계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