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46074798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23-10-06
책 소개
목차
제1장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의 흐름과 열두 단계
제2장 안전보건관리체계의 열두 단계
제1절 자기규율예방체계의 확립과 강화
제1단계 초기 상황 확인
제2단계 전사적인 참여의 명확화와 근로자 의견 존중
제3단계 안전보건방침서 작성
제2절 위험성 평가단위의 구분 및 목표·계획 수립
제4단계 위험성 평가단위 구분과 유해위험요인 확인
제5단계 중기·단기 목표 명시와 효과판정지표 선정
제6단계 안전보건관리체계 실시계획 작성
제3절 위험성 평가 및 위험도 판정
제7단계 위험성 평가
제8단계 위험도 판정(조치 선정)과 기록
제4절 위험도 관리 및 개선
제9단계 일상적 위험도 관리·운용 강화
제10단계 위험도 관리조치의 상호 조정
제5절 자체감사
제11단계 자체감사
제6절 종합점검 및 지속적인 개선 촉진
제12단계 지속적인 개선과 종합점검
부록: 소규모 사업장의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대책제안점검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여섯 가지의 기본단계는 ① 자기규율예방체계의 확립과 강화, ② 위험성 평가단위의 구분 및 목표·계획 수립, ③ 위험성 평가 및 위험도 판정, ④ 위험도 관리 및 개선, ⑤ 자체감사, ⑥ 종합점검 및 지속적인 개선 촉진이며 모든 단계가 필요 불가결하다. _ 제1장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의 흐름과 열두 단계
기업 간부회의 및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경영책임자가 스스로 의사 표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전체 직원이 모이는 조회나 사내집회에서 경영책임자가 스스로 의사 표명을 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리를 시키지 말고 직접 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_ 제2장 제1절 제1단계 초기 상황 확인
안전보건 책임간부는 실제로 경영회의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그 간부의 직책은 아무도 원하지 않는 한직이 아니라 생산의 중추와 관련된 사령탑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안전보건이 기업 활동에서 필수 불가결한 부분이며 근로자의 기본적인 인권의 일부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_ 제2장 제1절 제2단계 전사적인 참여의 명확화와 근로자 의견 존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