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론/비평
· ISBN : 9788946075672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1장 영상에 표현된 의미를 읽는 방법
2장 화면 구도
3장 카메라 앵글
4장 빛/조명 미장센
5장 색채 미장센
6장 색채 미장센 ― 흑백 vs. 컬러의 대비
7장 포커스를 이용한 영상 표현과 의미
8장 장소/공간 및 소도구 미장센
9장 카메라 움직임
10장 롱 테이크
11장 영상 재생 속도
12장 화면 비율
13장 분할 화면
14장 몽타주 기법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화에서 미장센 개념은, ‘화면 내에서 인물 및 카메라의 배치와 운용, 배경의 의식적인 구성 등을 통해 감정과 의미를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것’(최현주, 2018a: 111)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_1장 영상에 표현된 의미를 읽는 방법
<시민 케인>에서는 언론 재벌로서 막강한 권력을 가진 케인을 로우 앵글을 통해 권위, 위엄 있는 인물로 표현했다. 그리고 권력관계에 있는 인물들을 표현할 때 카메라 앵글을 통해 그들의 관계를 시각화했다. 권력관계에서 압도하는 대상은 로우 앵글로 찍어 권위 있어 보이게 표현했으며, 압도 당하는 대상은 하이 앵글로 찍어 위축되고 나약하게 표현한 것이다. 이처럼 <시민 케인>에서는 카메라 앵글을 통한 의미 부여가 영화 전반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다. _3장 카메라 앵글
톨랜드는 화면의 특정한 요소에만 포커스를 맞추는 촬영을 좋아하지 않았다. 그는 화면의 전경, 중경, 후경에 모두 포커스를 맞추는 딥 포커스 촬영을 선호했는데, 이 기술이 실제 인간의 눈이 사물을 바라보는 방식과 유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톨랜드는 웰스를 설득한 끝에 <시민 케인>에서 딥 포커스 촬영의 진수를 보여 주었다. 웰스는 <시민 케인> 엔딩 크레딧에 톨랜드의 이름을 따로 올림으로써 그에게 경의를 표했다. _7장 포커스를 이용한 영상 표현과 의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