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4608093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1-07-26
책 소개
목차
감사의 말과 서문
약어
Part 1 도입
Chapter 1 역사적 그리고 이론적 길잡이
용어 정의를 하며│라틴아메리카 지역통합과 분열의 역사적 경로│이론적 도구 선택하기│지역통합의 착수│지속되는 과정│통합의 정치와 정책: 통합과 민주주의
Part 2 지역 경제통합의 정치도구화
Chapter 2 지역 위기 해결하기
위기와 지역통합: 이론적 검토│냉전 기간 중미통합│1980년대의 중미: 지역 위기의 해결│결론
Chapter 3 집단적 민주주의 방어 구축하기
통합과 민주화: 이론적 반영│통합과 민주화: 유럽의 모범 사례?│라틴아메리카 통합의 정치화│통합을 통한 민주주의 수호하기
Part 3 제도의 디자인과 발전
Chapter 4 제도적 동형설
통합과 제도│제도적(기구) 번성: 안데안과 카리브 경우에서│MERCOSUR: 제도적 겸양의 한계│라틴아메리카 지역 제도 협약: 수렴과 국내에서 영감을 받은 모방
Chapter 5 통합의 범위와 수준: 부조화 설명하기
이론적 논의│중미의 지체 효과(Spill-Around) 설명하기│CAN 그리고 MERCOSUR: 어젠다의 양적 분석│“외부 헌법”으로서 NAFTA
Part 4 지역통합의 민주화
Chapter 6 의회 선택
유럽 의회가 어떻게 지금의 의회 모습을 띠게 된 것인가?│라틴아메리카 심의 포럼│라틴아메리카 의회와 지역통합 과정│MERCOSUR 의회: 개혁의 시기, 순서 그리고 내용
Chapter 7 아래로부터의 통합
시민사회가 왜 지역통합 과정에 참여했는가?│자발적 참여│비자발적 참여│결론: 지역 시민사회는 있는가?
Chapter 8 통합 그리고 공유재
통합과 지역재(생산품)│유럽의 결속·응집 프로젝트│라틴아메리카의 지역 공유재│MERCOSUR의 통합 정책
Part 5 통합의 논쟁적 정치성
Chapter 9 미주 지역의 다층적 거버넌스?
통합과 거버넌스│통합 신화에서부터 분산의 현실로│미주는 형식적인 지역주의인가?│다층적 지역 거버넌스: 어젠다, 그리고 결과│거버넌스, 헤게모니, 그리고 반헤게모니│결론: 거버넌스 그리고 논쟁적인 통합
결론
주
참고문헌
옮긴이의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