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환경학
· ISBN : 978894727256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2-05-11
책 소개
목차
제1장
지구의 물질순환
1.1 물의 순환 12
1.1.1. 지구의 물 분포 13 1.1.2 수자원의 종류 15
1.1.3 물의 특성 19 1.1.4 물의 순환 21
1.1.5 우리나라의 수자원 및 이용현황 23
1.2 탄소의 순환 26
1.2.1 탄소의 중요성 26 1.2.2 탄소의 분포 27
1.2.3 탄소의 순환 28
1.3 질소 순환 29
1.3.1 질소의 중요성 29 1.3.2 질소의 분포 30
1.3.3 질소의 순환 30
1.4 인 순환 34
1.4.1 인의 중요성 34 1.4.2 인의 분포 34
1.4.3 인의 순환 34
제2장
수계환경
2.1 수계환경 현황 38
2.1.1 수환경의 3대 요소 38 2.1.2 수환경의 구성요소별 역할 39
2.2 수질오염 42
2.2.1 수중오염물질의 종류 43
2.2.2 수질오염의 지표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 44
2.3 수질관리 51
2.3.1 하천과 하구의 수질관리 51
2.3.2 용존산소의 수지(DO balance) 52
2.3.3 하천의 자정작용에 따른 상태변화 53
2.3.4 호소의 수질관리 55 2.3.5 우리나라의 수질관리 59
2.4 수처리 방법 62
2.4.1 먹는 물의 처리방법 62 2.4.2 하수의 처리방법 64
제3장
대기환경
3.1 대기의 생성 및 대기의 성분 68
3.1.1. 대기의 생성 68
3.1.2 대기의 성분 및 대기의 연직분포 69
3.2 대기오염 71
3.2.1 세계 각국의 대기오염 정의 71
3.2.2 대기오염 사건 72
3.2.3 대기환경기준 72
3.2.4 대기오염물질 농도표시 75
3.2.5 대기오염물질의 오염원(Source) 76
3.2.6 대기오염물질 77
3.3 실내공기오염 90
3.3.1 실내공기 오염물질의 발생원 93
3.4 악취오염 101
3.4.1 악취의 물리화학적 특성 102 3.4.2 악취의 발생원과 기준치 104
3.4.3 악취의 측정 및 분석 107 3.4.4 악취의 제어 109
3.5 주요 대기오염물질의 제어 110
3.5.1 질소산화물(NOx)의 제어 110
3.5.2 황산화물(SOx) 114
3.5.3 휘발성 유기화합물질(VOCs) 117
3.5.4 공기 중 오존(Ozon) 생성 방지 120
3.5.5 입자상 오염물질 121
제4장
토양환경
4.1 토양의 구성 및 생성과정 136
4.1.1 토양의 구성성분 137 4.1.2 풍화작용 및 층위의 분화 138
4.1.3 토양의 생성과정 140 4.1.4 토양 생성 인자 141
4.2 토양의 분류 144
4.2.1 토양의 3대 분류 144 4.2.2 세계의 주요 토양형 146
4.3 토양의 모암 및 광물 149
4.3.1 토양의 모암 150 4.3.2 토양광물 153
4.4 토양의 입경구분 및 성질 159
4.4.1 토양의 입경구분 160 4.4.2 토성 161
4.4.3 토양의 화학적 성질 162
4.5 토양중 원소의 화학변화 166
4.5.1 토양중의 원소 166 4.5.2 토양중 원소의 화학변화 167
4.6 토양과 환경과의 관계 174
4.6.1 식물 지지기능 175 4.6.2 식물의 영양공급 기능 175
4.6.3 화학변화의 장 175 4.6.4 오염물질의 정화 기능 175
4.6.5 환경조절기능 176
4.7 토양의 산성화 176
4.7.1 토양 산성화의 원인 177 4.7.2 토양의 완충능력 178
4.7.3 토양산성화에 따른 피해 179 4.7.4 토양산성화에 대한 대책 180
4.8 토양오염 182
4.8.1 중금속 182 4.8.2 농약 183
4.8.3 유류 184 4.8.4 다이옥신 184
제5장
생태학
5.1 생물과 생태계 192
5.1.1 생물적 요소 193 5.1.2 비생물적 요소 194
5.2 생태계의 주요 무생물적 구성요소와 영향 195
5.2.1 생태계의 제한요인 196 5.2.2 서식지와 생태계 198
5.2.3 생태계에서의 종의 역할 199 5.2.4 종들의 상호작용 202
5.3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209
5.4 생태학적 천이과정 211
5.4.1 군집과 생태계의 환경 변화에 대한 반응 양상 211
5.5 인간에 의한 생태계파괴 214
5.5.1 인간의 자연환경 파괴 현상 214
5.5.2 단순 생태계로의 변화 216 5.5.3 해중의 저항력 증가 217
5.5.4 포식자 천적의 제거 217 5.5.5 외래종의 도입 219
5.5.6 과잉수확 220 5.5.7 물질 및 에너지 순환 교란 220
5.6 생태계를 고려한 지속 가능한 개발 및 사회의식 전환 222
5.6.1 지속 가능한 개발 222 5.6.2 지속 가능한 사회 223
제6장
인간과 폐기물
6.1 폐기물 일반사항 228
6.1.1 폐기물의 정의 및 분류 228
6.1.2 폐기물의 발생 및 관리체계 230
6.1.3 폐기물의 성상분석 233
6.1.4 폐기물 발생량의 조사방법 237
6.1.5 폐기물의 수집과 운반 238
6.1.6 폐기물관리법제의 발전과정 242
6.2 폐기물의 처리 243
6.2.1 폐기물의 처리현황 243 6.2.2 물질회수 244
6.2.3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 244 6.2.4 분뇨처리 248
6.2.5 폐기물의 소각 249
6.2.6 폐기물의 감량화와 재활용 250
6.3.7 음식물쓰레기의 감량화와 자원화 252
6.3 특정유해폐기물의 처리 253
6.3.1 특정유해폐기물의 정의 253
6.3.2 특정유해폐기물의 관리체계 254
6.3.3 특정유해폐기물의 처리 255
6.4 폐기물의 최종처분 258
6.4.1 폐기물의 매립 258
6.4.2 특정유해폐기물의 최종처분 263
6.5 방사성폐기물 266
6.5.1 방사성폐기물 266
6.5.2 방사성폐기물의 처리 및 처분 267
제7장
독성물질
7.1 유기염소계 살충제(Organochlorine pesticides) 273
7.1.1 유기염소계 살충제의 독성작용기작 276
7.1.2 유기염소계 살충제의 사용 및 잔류시 나타나는 문제점 276
7.1.3 생물농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282
7.2 중금속 284
7.2.1 중금속의 배경농도 284 7.2.2 수은 285
7.2.3 카드뮴 289
7.3 납 296
제8장
인간과 에너지 문제
8.1 에너지의 형태 및 소비 304
8.2 화석연료와 환경오염 306
8.2.1 대기환경 오염 307 8.2.2 화석연료 사용과 온난화 309
8.2.3 산성강하물 309 8.2.4 수계환경에 대한 영향 310
8.3 원자력 에너지 312
8.4 대체에너지와 청정에너지 313
8.4.1 태양에너지 313 8.4.2 지열 에너지 317
8.4.3 풍력 318 8.4.4 해양에너지 319
8.4.5 연료전지 321 8.4.6 바이오매스 322
8.4.7 수소 에너지 324 8.4.8 폐기물 325
8.5 지속 가능한 에너지의 미래 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