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47274586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14-02-05
목차
제1부
정부와 행정
제1장 정부학
1.1 정부는 무엇이며 왜 필요한가 18
1. 정부는 무엇인가 _18 2. 정부는 왜 필요한가 _23
3. 정부와 시장은 어떤 관계인가 _26
1.2 정부의 역할과 크기 34
1. 정부의 역할 _34 2. 정부의 크기 _38
1.3 정부의 형태 42
1. 정부형태의 다양성 _42 2. 통치주체에 따른 모습 _42
3. 수행목적에 따른 모습 _46 4. 정부수준에 따른 모습 _48
5. 통치자 귀속에 따른 모습 _52
1.4 정부와 시민 53
1. 우리는 누구인가:시민학(The Study of Citizen) _53
2. 정부에 있어서 우리는 누구인가 _55
3. 시민의 집단화:시민단체 _62
■주요 용어 65
제2장 우리나라 정부
2.1 우리나라 정부의 기초 68
1. 우리나라 정부의 개념 _68 2. 우리나라 정부의 형태 _69
2.2 우리나라의 정부변천 73
1. 고대국가시대에서의 정부태동 _73 2. 왕조시대의 정부구축 _74
3. 전환기의 근대정부 _77 4. 현대적 의미의 대한민국정부 _80
2.3 우리나라의 정부모습 88
1. 입법부 _88 2. 사법부 _92
3. 행정부 _96
2.4 우리나라의 정부크기 105
1. 국민조세부담률에 따른 크기 _105 2. 정부업무 종사자 수에 따른 크기 _106
3. 정부재정규모에 따른 크기 _107 4. 규제강도에 따른 크기 _108
5. 우리나라 정부의 실제 크기 _109
■주요 용어 110
■권장도서 111
제3장 행정의 기초
3.1 행정이란 무엇인가 114
1. 행정은 우리 생활 그 자체이다 _114 2. 행정의 학문적 정의 _117
3. 행정의 비교 정의 _119
3.2 행정의 정체성 논란과 그 과정 121
1. 행정은 정치, 경영과 어떤 관계인가 _121
2. 도대체 경영이 무엇이길래 _127
3. 행정과 정책은 무슨 관계인가 _130
3.3 행정은 무엇을 찾아야 하는가 135
1. 개관 _135 2. 행정이념 _136
3. 행정의 규범적 세계를 구성하는 요소들 _142
3.4 현대행정에서의 행정국가화란 무엇인가 145
1. 개관 _145 2. 현대행정의 특징 _145
3. 행정국가의 대두 _146 4. 미래의 행정 _149
■주요 용어 154
제4장 행정학의 기초
4.1 행정학의 학문성 156
1. 행정학의 학문적 속성은 무엇인가 _156
2. 행정학의 이론도출방식은 어떠한가 _158
3. 행정학의 연구 접근방법 _159
4.2 행정학 연구의 출발점은 어디인가 165
1. 개관 _165 2. 관방학 _165
3. 슈타인 행정학 _166 4. 실학 _166
4.3 현대적 행정학 발달과정 168
1. 개관 _168 2. 행정학의 태동 _168
3. 행정학의 출현 _169 4. 정치행정이원론의 발전 _172
5. 신정치행정일원론의 발전 _174
6.신정치행정이원론의 부활:행정경영일원론시대 _179
7.행정학 연구초점의 역사적 변화 요약 _183
4.4 우리나라 행정학 발달과정 184
1. 개관 _184 2. 행정학 연구의 출발 _185
3. 행정학의 정착과 발전 _188 4. 행정학의 위기 _191
5. 행정학의 위기극복 _193
■주요 용어 194
■권장도서 195
제2부
행정학의 실체
제5장 행정학 큐브모델과 각론
5.1 왜 행정학 큐브모델인가 200
1. 행정학 큐브모델의 필요성 _200 2. 행정큐브란 무엇인가 _201
3. 행정학 큐브모델의 모습 _206
5.2 행정학 큐브모델의 업무내용에 따른 각론 212
1. 기획론 _212 2. 관리과학론 _217
3. 행정정보론 _221
5.3 행정학 큐브모델의 정부수준에 따른 각론 226
1. 국제행정론 _227 2. 지방행정론 _229
3. 도시행정론 _231
5.4 행정학 큐브모델의 업무분야에 따른 각론 233
1. 환경행정론 _234 2. 복지행정론 _236
3. 입법행정론 _239
5.5 행정학 큐브모델 밖의 각론들 241
1. 개설이유 _241 2. 정책학 _245
3. 발전행정론 _247 4. 비교행정론 _249
5. 지방자치론 _251 6. 행정개혁론 _252
7. 행정사 _253
■주요 용어 255
■권장도서 256
제6장 조직관리:조직관리론
6.1 조직관리의 기초 264
1. 조직관리란 _264 2. 조직이란 무엇인가 _264
3. 조직의 목표 _265 4. 조직과 환경 _269
5. 조직이론의 전개과정 _274
6.2 조직구조론 278
1. 조직구조의 기초 _278 2. 조직의 형태 _282
3. 조직관리의 기술 _287 4. 행정조직의 구조 _290
5. 관료제 _295
6.3 조직행태론 300
1. 조직인으로서의 인간 _301 2. 인간관과 동기부여 _301
3. 리더십 _306 4. 의사결정 _311
5. 의사전달 _316
■주요 용어 325
■권장도서 326
제7장 인적자원관리:인사행정론
7.1 인사행정의 기초 328
1. 인사행정이란 _328 2. 인사행정의 기본시각 _328
3. 공직의 구조 _336
7.2 인사행정의 과정 : 공무원의 일생 342
1. 인사행정은 공무원의 일생이다 _342 2. 임용관리:공직의 출발 _342
3. 직무수행 지원관리:어떤 당근으로 달랠 것인가 _348
4. 직무수행 통제관리:어떤 채찍으로 보챌 것인가 _359
5. 퇴직관리:공직의 마감 _367 6. 퇴직 후 관리:새로운 출발 _369
■주요 용어 374
■권장도서 375
제8장 물적자원관리:재무행정론
8.1 재무행정의 기초 378
1. 재무행정이란 무엇인가 _378 2. 재무행정가와 재무행정조직 _379
3. 재무행정관련법규 _382 4. 예산이란 무엇인가 _387
5. 예산의 기능 _389 6. 예산의 범위 _390
7. 예산의 형식 _393 8. 예산의 원칙 _395
9. 예산의 종류 _400 10.예산의 분류 _404
8.2 예산의 일생 410
1. 예산의 일생 _410 2. 예산편성 _412
3. 예산심의 _415 4. 예산집행 _420
5. 예산종료:결산과 회계검사 _424
8.3 예산제도의 개혁 426
1. 예산개혁이란 무엇인가 _426 2. 품목별 예산제도 _426
3. 성과주의예산제도 _428 4. 계획예산제도 _429
5. 영기준 예산제도 _432
8.4 예산집행의 현장 435
1. 예산집행의 실체는 무엇인가 _435 2. 수입 지출관리 _435
3. 채권 채무관리 _440 4. 현금관리 _442
5. 물품관리 _442
■주요 용어 448
■권장도서 449
찾아보기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