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조직/인력/성과관리
· ISBN : 9788947285230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0-10-19
목차
제 1 부 조직행동의 이해
제1장 조직행동 이해의 기초 15
1. 조직행동의 의미와 목표 15
2. 조직행동의 학문적 특징과 주요 개념 16
1) 조직행동의 학문적 특징
2) 조직행동의 주요 개념
3) 조직행동과 경영자
3. 조직행동의 연구방법 29
제2장 조직행동의 발전과정 37
1. 과학적 관리론 37
2. 관리이론 39
3. 인간관계론 43
1) 호손연구
2) 인간관계론의 등장
4. 행동과학 49
1) 시스템 이론
2) 상황 이론
3) 상호작용 이론
제 2 부 개인행동의 이해
제3장 개인차이 57
1. 다양성의 이해 57
2. 개인차이 59
3. 성격 60
1) 성격의 결정요인
2) 성격발달의 특성 연구
3) 빅파이브 모델
4) 마이어브릭스 성격유형검사와 속성
5) 조직행동과 성격의 영향관계
제4장 태도, 가치관 및 윤리 81
1. 태도 81
1) 태도의 정의와 구성요소
2) 직무관련 태도
3) 태도의 변화
2. 가치관 97
1) 가치관의 개념
2) 가치관의 유형
3) 가치관의 적합성
3. 윤리 106
1) 윤리의 의미와 중요성
2) 윤리적 행동의 강화 방안
3) 윤리적 딜레마
4) 윤리적 의사결정의 단계
5) 윤리와 조직행동
제5장 지각 115
1. 지각과정 116
2. 지각의 영향요인 119
3. 지각 오류 121
4. 귀인이론 123
제6장 학습 131
1. 학습방법과 유형 131
1) 학습방법
2) 학습유형
2. 학습의 강화전략 137
1) 강화이론
2) 강화유형과 강화의 일정계획
3. 학습의 경영 실무적 시사점 143
제7장 동기부여 149
1. 동기부여의 의미 150
2. 동기부여의 주요이론 152
1) 동기부여 내용이론
2) 동기부여 과정이론
제 3 부 집단행동의 이해
제8장 팀 177
1. 집단과 팀 177
2. 팀의 요소 178
3. 팀의 유형 181
4, 팀 효과성 183
1) 팀 상황요인
2) 팀 구성요인
3) 프로세스
5. 팀과 임파워먼트 188
6. 고성과 팀 구축 189
제9장 의사결정 195
1. 의사결정 모델 196
1) 최적화 모델
2) 만족화 모델
3) 쓰레기통 모델
2. 의사결정 유형 206
3. 의사결정자의 유형 206
4. 개인의사결정의 영향요인 208
5. 집단의사결정 212
1) 집단의사결정의 장단점
2) 집단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요인
3) 집단의사결정기법
제10장 갈등 221
1. 조직 내 갈등 221
1) 갈등의 유형
2) 갈등과 성과간의 관계
2. 갈등해결 과정 228
3. 갈등관리 전략 231
1) 갈등관리 유형
2) 갈등관리 기법
제11장 리더십 239
1. 리더십의 이해 239
1) 리더십의 정의
2) 관리자의 리더
3) 팔로워십
2. 전통적 리더십이론 244
1) 리더십 특성이론
2) 리더십 행동이론
3) 리더십 상황이론
3. 현대의 리더십 이론 261
1) 리더-구성원 교환이론
2) 거래적 리더십
3) 변현적 리더십
4) 카리스마적 리더십
5) 서번트 리더십
제12장 커뮤니케이션 277
1.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278
1) 커뮤니케이션의 정의와 기능
2) 커뮤니케이션 요소
2. 커뮤니케이션의 방법 285
1)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2)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3) 전자 커뮤니케이션
3. 커뮤니케이션의 유형과 네트워크 289
1) 커뮤니케이션의 유형
2)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4.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인과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297
1) 커뮤니케이션의 장애요인
2) 효과적 커뮤니케이션
제 4 부 조직체행동의 이해
제13장 조직문화 309
1. 조직문화 형성의 영향요인 309
2. 조직문화의 구성요소 310
3. 조직문화의 기능과 성과 314
1) 조직문화의 기능
2) 조직문화와 성과
4. 조직문화의 유형 317
5. 조직문화의 학습 320
6. 조직문화와 학습조직 322
제14장 조직변화와 개발 327
1. 조직변화 328
1) 변화의 요인
2) 변화의 목표
3) 조직변화의 모델
4) 변화에 대한 저항과 대처방안
2. 조직개발 336
1) 조직개발 모델
2) 조직개발의 기법
참고문헌 3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