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경영 사상가 20인] > 피터 드러커
· ISBN : 9788947540544
· 쪽수 : 524쪽
· 출판일 : 2015-11-17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들어가는 말
1장 -효율적인 리더
1주 효율적인 리더를 양성하라
/ 효율적인 리더는 올바른 일을 수행하며 신뢰받는다
2주 조직에 헌신하기 전에 물어야 할 질문들
2장 -경영은 인간의 활동이다
3주 사회 조직의 기능에 대한 세 가지 질문
4주 교육과 경영 / 경제 발전의 열쇠
5주 현실에 기반한 경영
3장 -급한 일보다 중요한 일을 수행하라
6주 급한 일보다 중요한 일을 우선하라
7주 시간을 이분화하여 관리하기
4장 -개인의 효율성을 위한 지침
8주 집중
9주 효율성을 위해 일을 정리하라
10주 임원진의 효율성을 위한 정보 처리 능력
11주 전문적인 리더십과 경영의 원칙들
5장 -다원적인 조직사회에서의 경영
12주 경영, 현대사회 체제의 통치 수단
13주 능력 있는 최고경영자를 키워라
14주 임무 및 전략에 의한 통제
15주 조직 정신의 지속
6장 -과도기 사회에서 길 찾기
16주 미국의 문제는 사회적인 문제다
17주 미국 앞에 놓인 과도기
18주 개인과 사회에 중요한 과도기
19주 이미 일어난 미래를 보는 것
/ 미국의 사회적이며 인구통계학적인 변화
20주 교육계의 소란
7장 -변화를 통한 조직의 유지
21주 지속과 변화
22주 체계적인 폐기와 혁신
23주 조직의 통일성을 위한 기업의 행동 강령
24주 비고객을 대상으로 한 시장조사
25주 조직이 성장하면서 일어나는 변화
8장 -조직의 구조화
26주 중앙집권, 연합 그리고 분권
27주 네트워크 조직: 21세기의 모범
9장 -직원을 경영한다는 것
28주 슈퍼스타 관리하기
29주 실패를 통한 두 번째 기회
30주 미국 사회를 위해 필요한 조직
10장 -계승권의 결정
31주 조직의 정신 유지하기
32주 조직 내의 계승 계획
11장 -비영리 경영이 주는 교훈
33주 조직의 임무
34주 다양한 지지층의 수용
35주 구세군의 효율성
36주 혁신이 필요한 공립학교
37주 사회생태학적 방법론의 적용
12장 -사회적 성공과 삶의 의미 추구
38주 성공한 뒤 의미 추구하기
39주 특별히 기여할 수 있는 영역에서 일하라
40주 의미를 추구할 때 필요한 과정
41주 나는 어디에 속해 있는가
42주 하프타임은 모험적인 기업이다
43주 자기경영과 인생 후반부로의 이동
13장 -개인의 특성과 유산
44주 온기가 사라진 미국 사회
45주 목적의 힘 / 릭 워런이 말하는 피터 드러커
46주 부와 영향력 관리
47주 자신과 타인에게 유용한 사람이 되는 것
48주 리더는 무엇을 상징하는가
49주 자신의 가치를 알아야 성장한다
50주 당신은 어떤 사람으로 기억되고 싶은가
51주 멘토링의 이유
52주 삶의 의미를 찾기 위한 피터 드러커의 열 가지 원칙
/ 밥 뷰퍼드의 보고에 따라
52주 동안 배운 것들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경영은 전통적인 의미에서 리버럴 아트, 즉 일반교양이다. 지식의 기본, 자기인식, 지혜, 리더십과 관계 있기에 리버럴, 즉 교양이라고 불릴 수 있으며 실천과 실용과 관계가 있기에 아트, 즉 기술이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경영관리자는 심리학이나 철학, 경제학이나 역사 등 인문과학과 사회과학에 관한 모든 지식과 통찰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 위에 물리적 과학과 윤리학도 익혀두어야 한다. 그리고 그런 지식을 효율과 성과에 결부시켜야만 한다. _68~69쪽, 5주 현실에 기반한 경영 중에서
효율적인 리더는 자신의 업무를 위임하기도 하지만 기준을 정하는 일만큼은 위임하지 않는다. 자신이 직접 한다. (중략) 기준을 세우는 일은 위임하지 말고, 가장 중요한 일은 사례를 들어 이끌어라. 어떤 강점을 가지고 있는가를 보고 부하를 선택하라. 유능한 부하를 선택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 그들은 당신의 책임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_104쪽~105쪽, 9주 효율성을 위해 일을 정리하라 중에서
작은 일부터 큰일까지 혼자서 결정하는 행동은 직원들의 발전을 방해하는 행동이다. 그 직원들은 특정한 의무를 넘어서는 결정 권한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중략) 결정 권한이 없으면 실수를 할 수도, 그 실수를 통해 무언가를 배울 수도 없기 때문이다. 이런 종류의 가부장주의는 직원들의 뛰어난 능력을 가둘 뿐만 아니라 조직을 속 빈 강정으로 만든다. (중략) 직원들이 일상적 업무만 처리하는 데 집중하도록 만드는 것은 뛰어난 경영자가 나올 가능성을 없애는 것과 같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효율적인 경영자를 만들려면 먼저 조직을 디자인하고 평가해야 한다. _149~150쪽, 13주 최고경영자를 키워라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