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4754317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8-06-12
책 소개
목차
Prologue
첫째 마당 부동산 투자로 만난 새로운 세상
01 지금까지의 부동산 투자 방식
1) 부자들의 자산 증식 방법
2) 구석기 시대의 부동산 투자
3) 알파고 시대의 부동산 투자
02 인구 증가와 도시확장, 성장 시대의 부동산 투자
1) 베이비붐 세대의 등장
2) 대규모 개발 사업 전성 시대
3) 수요가 넘쳐나던 시대
03 수요 감소, 저성장·성숙 시대의 부동산 투자
1) 부동산 시장에 대한 다양한 전망
2) 수요 감소, 저성장·성숙 시대의 부동산 투자
3) 신도시개발에서 구도시 정비로의 전환
4) 도시재생의 시대, 더 이상의 뉴타운은 없다
5) 새정부의 도시재생 뉴딜 정책
6) 도시재생 정책 시대의 투자 대상지
둘째 마당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부동산 투자
01 I T강국 대한민국
1) I T강국 대한민국과 정부 3.0
2) 지역분석의 핵심도구, 데이터
02 Big Data와 4차 산업혁명
1) 이미 시작된 4차 산업혁명
2) 4차 산업혁명시대의 쌀(rice), 데이터
03 Big Data시대의 투자 대상지
1) 인구가 많이 모이는 지역
2) 산업이 많이 모이는 지역
3) 행정적 지원이 많은 지역
04 부동산 투자 차원의 핫플레이스
1) 일반적인 개념의 핫플레이스
2) 부동산 투자 차원의 핫플레이스
셋째 마당 천기누설, Big Data가 알려주는 Hot-Place(2018~2020년 투자 유망 지역)
01 법률이 알려주는 투자 유망 지역
1) 정부의 규제 완화 정책
2) 2020년,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이야기
3)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되는 토지 찾기
4) 민간공원특례 사업 대상지
5) 농업진흥지역에서 해제되는 농지들
6) 완화되는 민간임대주택 정책
7) 국공유지 활용하기
8)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부동산
02 토지이용규제 완화 지역
1) 토지이용규제 변화는 즉각 알 수 있다
2) 토지이용구제 변화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
03 대규모 개발 사업과 기반 시설이 설치되는 지역
1) 신설 철도 노선 정보
2) 신설 예정 도로 계획 정보
3) 개발 사업 정보의 의미와 구득 방법
4) 사업 진행 상황을 알 수 있는 환경영향평가정보 시스템
04 도시계획시설 사업이 시행되는 지역
1) 도시계획시설이란
2) 보상과 편입
05 개발행위허가가 증가하는 지역
1) 개발행위허가?
2) 개발행위허가 데이터의 의미와 구득 방법
06 건축허가가 증가하는 지역
1) 건축허가?
2) 건축허가 데이터의 의미와 구득 방법
3) 건축허가 증가율이 높은 지역 분석 결과
07 영업허가가 증가하는 지역
1) 영업허가?
2) 영업허가 데이터의 의미와 구득 방법
08 실거래량과 실거래가격이 증가하는 지역
1) 부동산 실거래가 데이터의 의미와 구득 방법
2) 부동산 실거래가격과 거래면적 상승지역 분석 결과
09 2018~2020년 투자 유망 지역
1) 종합부동산 투자지수(HP)
2) HP(개발압력)등급과 Heat Map
넷째 마당 핫플레이스 타운을 꿈꾸다
01 왜 투자하십니까?
1) 포도원(Vine Yard) 이야기
2) 살아가는 목적, 인생의 의미와 끝이 더 아름다운 인생
02 공공이 할 일과 할 수 없는 일
1) 정부와 지자체는 해결할 수 없는 과제
2) 민간 기업의 한계
03 공생 투자를 제안하다
1) 도시계획을 전공하다
2) 알토란을 만들다
3) 공생 투자(핫플레이스 프로젝트)를 제안하다
부록 www.hotplace25.com 이용안내
01 서비스의 특징
02 주요 기능과 이용 방법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부동산은 적지 않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투자 대상이다. 물건 자체나 권원이 소멸하지 않으며 허튼 물건만 아니라면 언젠가는 제값을 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부동산은 매력적인 투자 대상이다. 투자 활동을 통해 돈 버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탐욕적 투자가 아니라, 주변 사람들이 경제적인 부담 없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적(Goal)이자 목표(Target)로 설정하는 것은 어떨까?
자산 규모에 따라 부동산 보유 비중이 높았고, 총자산 규모가 클수록 부동산 자산 비중이 증가했다고 한다. 부동산 중에서도 거주목적 주택의 비중은 확연히 줄고, 투자 목적 상업용 부동산 비중이 증가하는 분포를 보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