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47548083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4-30
책 소개
목차
목차
프롤로그 4
01 시대를 대표하는 테크놀로지 블록체인 문재현
나우누리, 넷스케이프를 기억하는지? 14
인터넷의 속도 개선과 함께 발전되고 있는 블록체인 15
블록체인이 널리 퍼지게 된 이유는? 17
코인의 아버지와 어머니인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18
코인의 네트워크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21
인플레이션과 비트코인의 관계 22 달러와 글로벌 SNS 기업의 관계 25
PoW와 PoS의 차이는? 27
개인도 채굴할 수 있는지? 28
코인 개발회사는 과거 인터넷 회사들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 31
신원증명으로 사용하는 블록체인 기술 34
소금융으로 사용하는 블록체인 기술 36
저작물에 대한 자산으로 사용되는 블록체인 기술(NFT) 38
디지털 공간에서의 코인 미아의 문제 41
블록체인 간의 통신 문제 44
블록체인 암호화폐는 왜 해킹에 취약한 것인가? 45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미래 48
02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기차 및 로봇 구동기술은? 김승주
전동기 구동기술 54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전기자동차 구동기술 5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로봇 구동기술 62
기타 산업 분야의 구동기술 69
03 가스·화공플랜트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김욱주
플랜트 DT의 개요 84
플랜트 DT의 주요 기술 86
해외·국내 DT 사례 및 효과 98
가스·화공 플랜트 DT의 미래 101
04 스마트 팩토리 구축 유병철
제조업의 혁신, 스마트 팩토리 108
스마트 팩토리의 특징과 구성요소 109
4차 산업혁명 시대 스마트 팩토리의 등장 110
공장 자동화에서 스마트 팩토리 발전 111
스마트 팩토리 ICT기반 구축 119
스마트 팩토리 수준별 5단계 120
스마트 팩토리 기술 120
구축에 따른 기대효과 126
05 코로나19 팬데믹 이후의 스타트업 투자 이상원
4차 산업혁명 시대, 스타트업 투자라는 파도를 타자 133
스타트! 스타트업 투자 138
스타트업 투자의 단계와 개인 투자 조합 141
어떤 스타트업에 투자할 것인가 149
대한민국의 현재이자 미래인 스타트업 및 창업 투자 161
06 3D 스캐너를 활용한 터널시설물 안전점검 한경구
3D 스캐너란 무엇일까? 168
터널 시설물 안전관리 체계 175
3D 스캐너를 활용한 터널 안전점검 193
07 한국형 산림기술분야(K-포레스트) 대응 및 전망 이남일
산을 들어가면서 206
우리나라 산림 현황 208
우리나라 산림자원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는가? 209
산림기본계획과 산림경영기술 패러다임의 변천 217
우리나라 산림이 가진 숙제 221
한국판 산림뉴딜, K-포레스트 224
기후변화와 산림 226
4차 산업 기술의 산림분야 적용 231
STEEP 기법을 활용한 2030년 산림부문 핵심이슈 234
우리나라 산림 분야 발전을 위해서 235
08 풍력발전기술과 미래 발전 방향 정현원
풍력발전 시스템의 특징 242
풍력발전 시장과 산업 구조 246
풍력발전 분야 기술과 방향 251
장애를 넘어 가성비 좋은 풍력발전으로 267
09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연어 처리 홍민표
4차 산업혁명을 이끄는 인공지능기술 현황 270
인공지능의 주요 활용 분야인 자연어 처리의 개념 277
자연어 처리를 위한 세부 활용기술 280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한 자연어 기술의 활용 297
저자소개
책속에서
현재의 아마존기업, 메타(구 페이스북) 등 새로운 생태계인 인터넷, 모바일이 활성화되면서 새로운 기업이 시장을 점유한 것처럼, 블록체인 생태계에서도 시장을 점유할 기업이나 재단이 탄생할 것이다. 새로운 기회의 시장에서 기술을 이해하고 투자할 기회를 잡길 바란다.
협동로봇의 경쟁력은 저가화, 시리즈화 그리고 안전기능 등에 있다. 미국, 독일, 스위스, 일본 등의 해외의 선진 회사는 이미 활발한 로봇 구동모듈기술 개발을 통해서 독자적인 기술력을 갖추어 국내 시장을 독과 점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협동로봇에서 관절 구동모듈은 로봇을 구성하는 핵심 모듈로 전체 로봇 제작원가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기술고도화 및 부품 국산화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가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모바일 기술의 발전과정을 설명한 이유는 이것이 DT의 핵심 기술이기 때문이다. 과거 모바일 기술이 사람과 사람 간의 연결 수단이었다면, 이제는 이를 넘어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 간을 모두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 되는 것이다. 그것도 실시간, 대용량으로 말이다. 모든 사물을 디지털로 전환하려면 데이터의 전송속도와 양을 늘리는 것이 필수인데, 모바일 기술이 이를 실현시켜주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