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경영자 스토리 > 국외 기업/경영자
· ISBN : 9788947548175
· 쪽수 : 580쪽
· 출판일 : 2022-05-30
책 소개
목차
한글판을 펴내며
프롤로그: 독일의 가족기업은 왜 사회적 명성이 높을까?
제I부 독일 기업의 제도·사상·역사
1장 소유구조와 기업 형태
독일 100대 기업의 소유구조
독일 vs. 프랑스 vs. 영국
독일의 다양한 기업 형태: 총 17종류
기업 형태의 진화 과정: 무한책임출자자의 유한책임화
기업 형태의 제도 간 경쟁: 독일의 공동결정제도
맺는말
제2장 공익재단과 기업지배구조
공익재단의 설립 동기
독일 공익재단의 특성별 분류
공익재단의 기관 구조
공익재단, 설립기업, 가족집단 간의 지배 관계
제3장 독일 기업공동체의 사상과 역사적 배경
공동결정제도의 법적 근거
공동결정제도의 역사
‘소유권의 사회적 책임’의 이념적 배경
‘소유권의 사회적 책임’ 조항의 입법 담당자
제II부 독일의 대표적인 9개 가족기업
제1장 독일의 대표적인 가족기업을 소개하며
사례 기업의 선택 기준
공익재단을 설립한 기업
공익재단을 설립하지 않은 기업
제2장 공익재단과 기업지배구조
공익재단의 설립 동기
독일 공익재단의 특성별 분류
공익재단의 기관 구조
공익재단, 설립기업, 가족집단 간의 지배 관계
제3장 크루프
철강으로 부를 이룬 크루프 가문
일본의 이와쿠라 사절단과 크루프
크루프 가문의 기업이념
크루프공익재단
창업자 프리드리히 크루프(1787~1826)
2세대 알프레트 크루프(1812~1887)
3세대 프리드리히 알프레트 크루프(1854~1902)
4세대 베르타 크루프(1886~1957), 구스타프 크루프(1870~1950)
5세대 알프리트 크루프(1907~1967)
맺는말
제4장 자이스
창업자 카를 자이스
프롤레타리아의 아들, 에른스트 아베
아베와 자이스의 협력 관계
자이스의 기술력을 끌어올린 오토 쇼트
공익재단 설립: 아베의 설립 동기
재단지배기업의 탄생
공익재단 종업원의 복지 향상 및 유지
예나대학교에 기부하다
제3 제국 시대부터 제2차 세계대전 후까지
동서독 재통일부터 2004년 재단 정관 개정까지
재단지배기구의 개혁
앞으로의 과제
맺는말
제5장 보쉬
기업이념과 기업문화
기업전략
기업윤리
보쉬 가족집단의 지배구조
기업지배와 재단지배: 이중재단
맺는말
제6장 베텔스만
세계적인 복합 미디어 기업
창업자와 5세대 라인하르트
기업이념과 기업문화: 자본과 노동의 동격성
기업전략
기업윤리
기업지배구조
맺는말
제7장 BMW
전후 기업 존속의 위기(1945~1959)
대형차 우선 전략의 실패
초소형차 이세타 생산
경영파탄과 임시 주주총회
헤르베르트의 구제 결단
재건 계획과 자금조달
헤르베르트의 인사 정책
크반트 가문
기업지배에서 크반트 가문의 역할
공익활동
BMW의 전통
BMW에서 얻는 교훈
맺는말
제8장 포르쉐
명품 스포츠카의 대명사, 포르쉐
페르디난트 포르쉐의 발자취
포르쉐 가문과 피에히 가문
포르쉐와 폭스바겐의 관계
경영파탄에서 고실적으로(1992~1996): 일본식 생산방식 도입
30억 유로의 보유현금과 비데킹의 자만심
폭스바겐 인수에 도전하다
오히려 폭스바겐에 인수되다
포르쉐 자회사화 이후 폭스바겐의 기업지배
맺는말
제9장 폭스바겐
자동차광 히틀러
제2차 세계대전 후 영국 군정하의 기업경영
사업장위원회의 설치
폭스바겐의 소유권 귀속 문제
포르쉐 퇴사 후의 피에히(1972~1993)
폭스바겐 사장 시절의 피에히(1993~2002)
포르쉐 인수 후의 폭스바겐
제10장 머크
머크가 걸어온 길
가족의 정의
기업이념
기업 형태와 소유구조
가족지배의 우위성
E-머크합자회사
주주지배
맺는말
에필로그: 기업공동체에서 가족자본주의로
옮긴이 후기
리뷰
책속에서
게르하르트 슈뢰더(Gerhard Schroder) 전 총리는 독일 가족기업의 혁신 능력을 높이 평가했고, 그의 발언은 독일에서 널리 퍼졌다. 앙겔라 메르켈 총리(Angela Merkel) 역시 가족기업을 ‘독일 경제의 견인차’라고 찬사를 보내며, 2014년 여름에 일본과 한국에도 진출해 있는 레이저 가공 기계의 세계적인 기업 트럼프(Trumpf)를 견학했다. 메르켈 총리 밑에서 연방정부의 경제·기술부 장관을 지낸 라이너 브뤼덜레(Rainer Bruderle)는 ‘가족기업이 독일 경제의 기둥’이라고 평가했다.
_프롤로그
독일 자본주의를 단적으로 표현하는 현상은 가족이 지배하는 대기업이 많다는 것이다. 실제로 독일에는 기업의 형태가 거의 스무 종류나 있다. 대부분은 영국·미국·프랑스에서도 존재하지 않는 형태이며, 가족기업의 특성에 따라 하나씩 새로 생겨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기업 형태는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이루어진 제도 혁신의 성과이며, 그 목적은 ‘무한책임’을 ‘유한책임화’하는 것이다. 특히 합자회사가 도산했을 때 무한책임출자자에게 부과되는 채무변제 리스크(개인 자산으로 변제해야 한다)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이것만 이해하면 독일의 복잡하고 무절제해 보이는 다양한 기업 형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_제I부 1장 소유구조와 기업 형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