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49947600
· 쪽수 : 510쪽
· 출판일 : 2018-07-13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정교와 한인사회
1장
19세기 초중반 러시아 정교회의 한인을 포함한 알래스카 및 시베리아-극동지역 이민족 선교활동 연구(1823~1868) - 인노켄티 베니아미노프(И .Вениаминов) 주교의 선교활동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위대한 선교사의 탄생과 알래스카 선교(1820-30년대)
Ⅲ. 캄차트카 주교구 설립과 알래스카 및 시베리아-극동 선교(시트카 주교구청 시기: 1840-53)
Ⅳ. 베니아미노프(대주교)의 시베리아-극동 선교(야쿠츠크 및 블라고베쉔스크 대주교구청 시기: 1853-68)
Ⅴ. 맺음말
2장
러시아 아무르주의 한인사회와 정교회 선교활동(1872-1916) - 블라고슬로벤노예(Благословенное) 마을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아무르주 한인사회의 형성과 정교신앙의 확산
Ⅲ. 세속당국 및 정교회의 한인정책과 한인선교
Ⅳ. 맺음말
3장
러시아 정교와 개신교의 만남과 충돌(1909-1912) - 최관흘과 장로교파의 극동지역 선교활동과 러시아 측의 대응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최관흘과 장로교파의 극동지역 한인선교
Ⅲ. 러시아 측의 장로교파에 대한 대응과 한인선교
Ⅳ. 맺음말
제2부 스탈린 탄압과 고려인
1장
생존자의 회상을 통해서 본 스탈린 탄압의 비극 - 최초의 한인 해군장교, 최 파벨 페트로비치(최성학) 가족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최 파벨 페트로비치의 유년?학창(쉬콜라) 시절
Ⅲ. 최 파벨 페트로비치 가족의 비극
Ⅴ. 맺음말
2장
기록보존소 자료를 통해 본 소비에트시기 최초의 한인 해군장교(최 파벨 페트로비치)의 죽음과 스탈린 탄압의 비극
Ⅰ. 머리말
Ⅱ. 해군군사학교 입학과 해군함대 생활
Ⅲ. 스탈린 탄압과 최초의 한인 해군장교의 죽음
Ⅴ. 맺음말
제3부 고려인의 전통문화와 삶
1장
독립국가연합(CIS) 고려인의 전통문화유산에 대한 인식과 전승실태 - 중앙아시아?러시아의 고려인 무형문화유산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연구의 범위, 내용 및 방법
Ⅲ.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전통문화유산의 전승실태와 인식
Ⅳ. 맺음말
2장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문화 전승 연구 - 우즈베키스탄 타시켄트 주 고려인 콜호즈의 민속문화를 중심으로
Ⅰ. 머리말
Ⅱ. 독립국가연합 고려인 공동체의 형성과 한민족 정체성 유지
Ⅲ.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 문화 전승 양상
Ⅳ. 우즈베키스탄 고려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 문화 계승 방안
Ⅴ. 맺음말
3장
러시아 사할린 한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문화 전승 연구 - 유즈노사할린스크 한인 공동체의 민속문화를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러시아 사할린 한인 공동체의 형성과 한민족 정체성 유지
Ⅲ. 러시아 사할린 한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문화 전승 양상
Ⅳ. 러시아 사할린 한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문화 변이 양상
Ⅴ. 맺음말
4장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 문화 전승 연구
Ⅰ. 머리말
Ⅱ. 연해주 고려인 공동체의 형성과 한민족 정체성 유지
Ⅲ. 연해주 고려인 공동체의 한민족 민속문화 전승 양상
Ⅳ. 맺음말: 연해주 고려인 공동체의 민속문화 계승을 위한 제언
부록
극동지역의 한국학 및 한인자료- 기록보존소 및 한인연구 관련기관을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극동지역의 한국학 및 한인연구사
Ⅲ. 극동지역의 한국학 및 한인관련 자료들
Ⅳ. 결산과 향후 과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