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음악 > 한국 전통음악
· ISBN : 9788949949697
· 쪽수 : 570쪽
· 출판일 : 2021-05-07
책 소개
목차
1부 조선시대 악률론 연구
1장 <樂學軌範>권1에 나타난 중국 음악이론의 주체적 수용 양상에 대한 고찰 - ‘時用’을 중심으로 -
Ⅰ. 들어가는 글
Ⅱ. <樂學軌範>권1의 원문 인용 양상
Ⅲ. <악학궤범>권1에 나타난 악률론의 주체적 수용 부분
Ⅳ. 맺음말
2장 樂學軌範>에 수용된 <律呂新書>의 율론 연구
Ⅰ. 들어가는 말
Ⅱ. <악학궤범> 악률론과 <율려신서>와의 관계
Ⅲ. <악학궤범>에 인용한 <율려신서> 율론
Ⅳ. 나오는 말
3장 <論語>의 악 관련 개념 재해석- 진양의 <樂書・論語訓義>를 중심으로 -
Ⅰ. 머리말
Ⅱ. <악서>의 성격과 「논어훈의」의 내용
Ⅲ. <논어>의 악 관련 개념에 대한 진양의 해석
Ⅳ. 맺음말
4장 동아시아 전통 악기구분법 팔음(八音)의 악기학적 연구
Ⅰ. 들어가는 말
Ⅱ. 동서양의 악기학의 역사와 한국의 악기분류법
Ⅲ. 팔음의 악기학적 특성
Ⅳ. 나오는 말
5장 <律呂新書摘解>를 통해서 본 柳僖의 악률론 연구
Ⅰ. 들어가는 글
Ⅱ. 조선후기 악률론의 흐름과 유희의 음악에 대한 관심
Ⅲ. <율려신서적해>의 저술 동기와 내용 구성
Ⅳ. <율려신서적해>의 악률론
Ⅴ. 나가는 글
6장 黃胤錫의 일기 <頤齋亂藁>에 언급된 樂律에 대한 고찰
Ⅰ. 머리말
Ⅱ. 용어를 통해 본 악률에 대한 관심
Ⅲ. 시기적 흐름에 따라 본 악률에 대한 관심
Ⅳ. 맺음말
7장 金謹行의 「律呂新書箚疑」에 대한 연구
Ⅰ. 머리말
Ⅱ. 김근행과 「율려신서차의」
Ⅲ. <율려신서>의 도상화 「율려신서차의」분석
Ⅳ. 맺음말
8장 <열하일기의 음악대담 「망양록」 연구
Ⅰ. 머리말
Ⅱ. 「망양록」의 서술 배경과 인물
Ⅲ. 주제별로 본 「망양록」의 음악대담
Ⅳ. 맺음말
2부 근대시기 음악론 연구
1장 근대시기 전통음악 장르용어에 관한 연구
Ⅰ. 들어가는 말
Ⅱ. 근대시기 전통음악 장르용어의 발생과 변화
Ⅲ. 근대시기 전통음악 장르용어의 개별적 양상
Ⅳ. 나오는 말
2장 일제강점기 국악 관련 학술적 연구 경향 고찰- 신문・잡지 게재 글에 기하여 -
Ⅰ. 머리말
Ⅱ. 일제강점기 국악 연구에 대한 기존 연구 검토
Ⅲ. 일제강점기 국악 관련 학술 연구 양상
Ⅳ. 일제강점기 국악 연구자의 양상
Ⅴ. 맺음말
3장 자산(自山) 안확(安廓)의 음악론에 관한 고찰
Ⅰ. 들어가는 글
Ⅱ. 안확의 생애와 역사관 및 평가
Ⅲ. 안확의 조선음악연구의 특징
Ⅳ. 맺는 글
4장 함화진(咸和鎭)의 저술서 연구- <朝鮮音樂通論>을 중심으로 -
Ⅰ. 들어가는 말
Ⅱ. 함화진의 국악 연구와 저술
Ⅲ. <朝鮮音樂通論>의 출판 배경과 체제
Ⅳ. <朝鮮音樂通論>의 내용과 의의
Ⅴ. 나오는 말
5장 선교장 소장 악보 <玄琴譜 抄>에 대한 연구
Ⅰ. 들어가는 글
Ⅱ. <玄琴譜抄>의 체제와 구성
Ⅲ. <현금보 초> 기보의 특징
Ⅳ. 나오는 글
6장 다나베히사오(田辺尙雄)의 ‘조선음악조사’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Ⅰ. 들어가는 말
Ⅱ. 기존평가와 다나베 히사오
Ⅲ. ‘조선음악조사’의 목적과 전개과정
Ⅳ. ‘조선음악조사’의 결과와 의미
Ⅴ. 나오는 말
7장 이시카와(石川義一)의 1920년대 조선에서의 활동- 궁중음악 채보와 민요조사를 중심으로 -
Ⅰ. 들어가는 말
Ⅱ. 이시카와(石川義一)에 대한 기존연구
Ⅲ. 이시카와(石川義一)의 조선음악 연구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