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0934460
· 쪽수 : 700쪽
· 출판일 : 2011-12-05
책 소개
목차
개정확장판 서문
서문
PART 1 경쟁과 전략
01 기업전략을 형성하는 5가지 세력
02 경영전략이란 무엇인가
03 정보가 어떻게 경쟁우위를 창출하는가
04 전략과 인터넷
05 경쟁우위에서 기업전략으로
PART 2 입지의 경쟁력
06 국가경쟁력
07 클러스터와 경쟁
08 지역을 뛰어넘는 경쟁
PART 3 사회문제에 대한 경쟁우위 해법
09 황경 규제와 경쟁력 갈등의 종결
10 도심지역의 기업 경쟁우위
11 보건의료 분야 경쟁 재정의
PART 4 전략과 사회
12 전략과 사회
PART 5 전략과 리더십
12 새로운 CEO들을 위한 7가지 놀라운 사실
주
책속에서
다각화에 성공하려면 먼저 기업전략의 기초가 될 핵심 사업부터 파악해야 한다. 핵심 사업이란 매력적인 산업군에 속해 있으며, 지속적으로 경쟁우위를 창출할 잠재력이 있고, 다른 사업부와 중요 분야에서 상호 연계되어 있고, 다각화의 초석이 되는 기술 또는 활동들을 공급하는 사업을 말한다. 기업은 먼저 그 핵심 사업이 경영의 질을 향상시키고 전략을 국제화시키며 기술을 개선할 수 있도록 토대를 조성해야 한다. 필자의 연구에 의하면 기존 사업을 지역적으로 확장한 것은 인수, 합작, 또는 신설 창업 등 어떠한 방법의 확장인가에 상관없이 다각화보다 매각률이 상당히 낮았다. 이후 기업은 핵심 사업이 아닌 사업부를 꾸준히 매각하면서 유용 자원을 확보해왔다. 몇몇 경우는 바로 매각할 수도 있었으나 사업부를 정비한 후 시장이 호전되기를 기다리거나 매각 의사가 분명한 구매자가 나타나기를 기다린다.
폭넓게 보면, 클러스터에는 특정 경제를 구획하고, 경제발전 이론과 실천을 구체화하고 공공정책 입안에 필요한 획기적이면서도 보완적인 방법들이 반영되어 있다. 클러스터는 다이아몬드 모형과 더불어 특정 경제 내에서 부가 실제적으로 창출되는 과정을 제시할 뿐 아니라, 경쟁우위가 구체화되고 위력을 발휘하도록 한다(특별히 비영리기관은 경쟁을 신비화하는 관행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정책을 분석하고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의외로 기업 운영에 필요한 조건들을 체계적으로 도출해낼 수 있다. 예컨대 네덜란드의 클러스터 발전에는 주요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가 반영되어 있다. 클러스터에서 기업, 정부, 지방 기관 등이 함께 모여 개혁에 관한 건전한 대화와 정부와 기업 간의 협력을 증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키 위한 대화 분위기를 조성한다.
글로벌 경쟁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환경 정책에 대한 논쟁, 즉 규제 방식, 대응 방식, 규제 강도 등에 대해 많은 것을 시사한다. 새로운 패러다임 하에서는 환경 개선과 경쟁력을 동시에 추구한다. 인적·물적 자원을 포함하여 모든 자원을 생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경 의식이 제고되고 있는 글로벌 추세에 부응하기 위해 기업은 혁신을 통해 자원 생산성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것이 바로 글로벌 경쟁이라는 도전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1970년대 미국 자동차업계처럼 혁신을 거부한다면, 이는 환경 피해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제에서의 경쟁력 상실을 초래할 것이다. 준수비용이 너무 높다는 이유로 환경 기준을 무시하고 자원을 낭비하는 생산방식을 고수하는 개도국은 계속 경쟁력이 낮은 상태에 머물고 빈곤이 지속될 것이다. 한 기업이 환경문제에 대응하는 방식은 그 기업의 경쟁력을 예고하는 선행지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