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50980870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19-04-29
책 소개
목차
주요 세대 구분 및 특징
프롤로그 우리는 요즘 애들뿐 아니라 요즘 어른들도 모른다
프롤로그 우리는 요즘 애들뿐 아니라 요즘 어른들도 잘 모른다!
왜 한국사회가 요즘 애들에 주목하는가?
모든 세대는 과거가 아닌 현재를 살아간다
한국에서 세대 분석이 더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세대 그리고 코호트 : 우리는 왜 사람들을 집단화해서 바라보려 하는가?
우리가 요즘 애들, 요즘 어른들에게 진짜 궁금한 것은 무엇일까?
Part1 요즘 애들 :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거침없는 도전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가 세상을 바꾼다
1. 밀레니얼 세대 신입사원은 왜 힘들게 들어온 회사에 사표를 쓰는가
밀레니얼 세대는 정말 끈기가 없어서 사표를 쓰는 걸까?
신입사원이 사표 쓰면 가장 큰 손해를 입는 건 누구일까?
왜 인사담당자들은 밀레니얼 세대 신입사원들이 불만족스러울까?
기성세대가 좋아하는 회식문화를 왜 밀레니얼 세대는 기피할까?
밀레니얼 세대 인재를 잡기 위해 어떤 변화가 생겼을까?
리버스 멘토링이 필요한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
밀레니얼 세대가 직장에 남아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
2. 기성세대가 좋아하는 골프를 왜 밀레니얼 세대는 좋아하지 않을까
운동 좋아하는 밀레니얼 세대가 왜 골프는 재미없어할까?
골프산업의 쇠락은 진짜 밀레니얼 세대 때문일까?
왜 베이비붐 세대는 운동으로 사교를 할까?
왜 파파라치와 힙합 래퍼들이 피트니스 센터를 찾는 걸까?
왜 한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서핑을 좋아할까?
왜 밀레니얼 세대는 미술관을 좋아할까?
3. 밀레니얼 세대가 왜 중요한가
누가 밀레니얼 세대인가?
기성세대에겐 당연했던 것들이 왜 밀레니얼 세대에겐 통하지 않을까?
한국에서도 밀레니얼 세대의 정치세력화는 가능할까?
왜 기업들이 밀레니얼 세대를 공략하는 데 사활을 걸었는가?
정말 밀레니얼 세대는 미래가 불안한 N포세대이고 오늘만 사는 욜로족인가?
기성세대는 왜 밀레니얼 세대를 두려워하는 걸까?
4. 밀레니얼 세대의 5가지 소비 코드, 그들의 소비는 무엇이 다른가
소비 코드가 된 공유, 왜 밀레니얼 세대는 내 집과 내 차를 버렸는가?
소비 코드가 된 취향, 왜 밀레니얼 세대는 취향을 소비하는가?
소비 코드가 된 젠더, 왜 밀레니얼 세대는 젠더 뉴트럴을 소비하는가?
소비 코드가 된 윤리, 밀레니얼 세대가 정말 착해진 걸까?
소비 코드가 된 환경, 왜 밀레니얼 세대는 지구를 걱정하는가?
5. 왜 밀레니얼 세대는 혐오에 빠졌는가
헬조선과 틀딱, 왜 그들은 기성세대를 혐오하는가?
여혐과 남혐, 정말 밀레니얼 세대 내 남녀갈등이 심각할까?
왜 기성세대 정치권은 20대의 여론을 자기 마음대로 해석하는가?
누가 밀레니얼 세대를 화나게 하는가?
6. Z 세대가 왜 중요한가
왜 호주 청소년들이 등교 거부를 하고 거리로 나섰을까?
Z세대의 정치세력화는 가능할까?
미국 고등학생들이 어떻게 미국총기협회를 위기에 몰아넣었을까?
Z세대가 어떻게 소비시장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까?
왜 중고등학생의 음주율, 흡연율이 계속 줄어드는 걸까?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는 무엇이 비슷하고, 무엇이 다른가?
요즘 애들 중에서도 요즘 애들인 1825는 어떤 코드에 꽂힐까?
Part2 요즘 어른들 : X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진화
X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변신은 무죄다
7. 왜 X세대는 영포티가 되었나
왜 영포티가 등장했을까?
영포티의 6가지 주요 특징은 무엇일까?
모든 X세대가 다 영포티가 되는 걸까?
40대의 변신, 영포티의 등장을 누가 두려워했을까?
8. 소비자로서의 영포티는 정말 큰손인가
왜 40대 남자는 패션과 뷰티에 적극 투자하는가?
수입자동차 시장이 가장 좋아하는 소비자는 누구일까?
영포티는 왜 요리도 잘하고 가정적일까?
출판, 공연, 여행 시장에서 영포티는 어떤 존재인가?
영포티는 왜 특별한 소비자인가?
9. 왜 베이비붐 세대는 뉴식스티가 되어야 하나
정말 베이비붐 세대는 다 꼰대고 지는 해일까?
베이비붐 세대가 왜 김칠두를 기억해야 하는가?
지금의 60대, 우린 왜 그들의 20대 시절을 떠올려보지 않았을까?
베이비붐 세대에게 자식과 부부란 어떤 존재일까?
10. 왜 태극기 부대에 노인들이 많을까
왜 노인들이 태극기를 들고 길거리에 나왔을까?
왜 한국의 노인들은 가난할까?
왜 노인들은 변화를 받아들이는 것이 어려울까?
그레이네상스, 어떻게 노인들이 산업 지형을 바꿔놓는가?
왜 할아버지, 할머니의 날을 제정하는 국가가 늘어나는 걸까?
노인 기준을 70세로 하면 안 되는 걸까?
11. 나이가 들면 무조건 꼰대가 되는 걸까
꼰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한때 신세대였던 X세대는 왜 꼰대화를 피하지 못했을까?
386세대는 아직도 민주화 세대인가?
나이는 숫자라 얘기하는 사람을 왜 경계해야 하는가?
요즘 애들은 정말 버릇이 없는 걸까?
나이가 많으면 트렌드에 둔감해지는 게 당연한 걸까?
12 왜 세대갈등은 과거에 비해 더 커졌을까
한국인들에게 가장 큰 갈등은 무엇일까?
누가 세대갈등 프레임을 원하는가?
세대갈등과 소통 단절로 누가 가장 손해를 볼까?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한국사회가 요즘 애들을 주목하는 이유는 그들의 활용가치와 영향력 때문이다. 그런 흐름 속에서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에 대한 관심도 생긴 것이다. 과거의 10대나 2030대와 달리 지금의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사회적·경제적·정치적 영향력은 기성세대들을 위협할 정도로 막강해졌다. X세대의 등장이 한국사회 기성세대에게 줬던 충격보다 밀레니얼 세대의 등장이 훨씬 클 정도로 우리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신세대를 만났다. 그래서 모두가 그들을 통해 기회를 잡기 위해 그들을 이해하려고 나섰다. 요즘 애들은 새로운 시장이자 기회의 땅인 셈이다.
하지만 요즘 애들만큼이나 요즘 어른들도 중요하고, 그들도 역시 변했다는 사실을 절대 간과해선 안 된다. 과거에는 신세대 시절에만 변화에 민감하고, 나이를 먹어 중년이 되는 순간 과거의 기성세대가 가진 전형적 모습에서 벗어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2030대는 변화하는 세대이고, 405060대는 변화하지 않는 세대로 여겨졌다. 하지만 요즘 어른들은 그렇지 않다. 세대를 막론하고 변화와 진화를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다. 이는 어떤 세대를 이해할 때 그들의 과거 특성이 아니라 현재 특성으로 재조명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 프롤로그 우리는 요즘 애들뿐 아니라 요즘 어른들도 모른다
견고하게 유지되던 한국식 조직문화에 대놓고 저항하기 시작한 것이 바로 밀레니얼 세대다. 그들은 이런 조직문화와 과거 관성에 사로잡힌 상사를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다. 그들에겐 이런 상사가 꼰대다. 합리적이지도 상식적이지도 효율적이지도 않은 걸 요구하는 상사에게 이들이 할 수 있는 저항은 한계가 있다. 그래서 선택하는 것이 퇴사다.
과거세대들은 힘들고 더러워도 참고 견디면 언젠가 좋은 날 오겠지라는 심정으로 버텼겠지만, 요즘 애들은 그렇지 않다. 평생직장이라는 의미도 사라진 시대다. 하지만 기성세대에겐 아직까지 평생직장에 대한 동경이 남아 있다. 현 직장에서 정년까지 버티고 싶다는 이들도 여전히 많다. 하지만 밀레니얼 세대는 다르다. 애초에 그들은 평생직장은 생각지도 않는다. 긱 이코노미Gig Economy(빠른 시대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비정규 프리랜서 근로 형태가 확산되는 현상)도 낯설지 않은 세대다. 이런 밀레니얼 세대에게 참고 버티는 직장생활이 가능할까?
― 01. 밀레니얼 세대 신입사원은 왜 힘들게 들어온 회사에 사표를 쓰는가
‘왜?’라고 따져보지 않고 ‘원래 그런 거야’라며 받아들이는 세대들이 사회를 계속 이끌어오다 보니 이런 태도가 전통이 되고 관행이 되었다. 그런데 ‘왜?’를 따지고 전통이나 관행에 적극적으로 반기를 드는 세대가 등장하면서 당연했던 것들과의 결별이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미국의 크레딧카드닷컴creditcards.com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밀레니얼 세대의 5분의 1 정도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팁을 내지 않는 것을 선호한다고 답했고, 3분의 1은 최소한의 팁을 낸다고 답했다. 과거세대에 비해 팁에 인색해진 것은 돈의 문제가 아니라 관성에 대한 반감이기도 하다. 서비스 종사자의 급여가 팁에 의존하는 노동 환경이 불합리하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팁 문화가 있는 곳에서는 서비스 종사자의 열악한 임글을 팁으로 어느 정도 보전해준다. 당연히 노동자에게 불리하다. 합리적 평가에 익숙한 밀레니얼 세대는 이런 관행을 방치하는 것도, 이런 관행에 일조하는 것도 못마땅해한다.
― 03. 밀레니얼 세대가 왜 중요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