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경영자 스토리 > 국외 기업/경영자
· ISBN : 9788950989521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0-07-23
책 소개
목차
Part 1 넷플릭스, 새로운 미디어의 탄생
넷플릭스, 새로운 도전의 역사가 시작되다
넷플릭스를 만든 두 리더, 헤이스팅스와 랜돌프 | 미디어 산업의 역사가 된 두 거인의 만남
진화하는 인터넷, 미디어 시장의 판도를 바꾸다
열악한 환경에서 시작된 사업 | 비디오 대여 업계의 거인, 블록버스터의 침몰 | 회원들을 사로잡은 신속한 배송 전략 | 최초의 DVD 판매 및 대여 사업 시작 | 월정구독제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다 | 고객 중심 웹사이트와 고성능 검색 시스템 | 열악한 환경이 변화하기 시작하다
피할 수 없는 거대 기업과의 정면승부
월마트, 경쟁자에서 동반자로 | 생사를 건 블록버스터와의 한판 승부 | 독이 된 가격 경쟁 | 카피캣에서 원조로 거듭나다
스트리밍 서비스, 미디어 업계의 지각 변동이 시작되다
정체된 DVD 대여 사업을 타개하라 | 스트리밍 비디오 서비스가 출시되다 | 선형 TV의 한계 | OTT 스트리밍 서비스가 선형 TV를 대체하다 | VOD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지각 변동을 가져오다 | OTT 서비스 플랫폼의 유형 | OTT 등장으로 인한 코드 커팅 확산 | 스트리밍 콘텐츠,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 본격적인 스트리밍의 시대를 열다 | DVD 사업을 접지 않는 이유
PART 2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파괴적 혁신 전략
OTT 서비스의 무서운 경쟁자들
콘텐츠 경쟁력을 무기로 삼은 HBO 맥스 | 화려하고 다양한 콘텐츠의 ‘디즈니+’ | 미국 최대 케이블 사업자 컴캐스트를 등에 업은 피콕 | 모든 애플 디바이스에서 접근 가능한 애플TV+ | 훌루를 보면 미디어 기업의 전략을 알 수 있다
오리지널 콘텐츠로 성장의 기반을 마련하다
스트리밍 사업으로 시작된 새로운 콘텐츠 전략 | 치열해진 비디오 스트리밍 사업 경쟁 | 왜 오리지널 콘텐츠에 집중하는가? | 콘텐츠 시청의 패러다임을 바꾼 일괄 출시 | 윈윈을 위한 제작 지원 시스템 | 할리우드의 심장을 겨누다 | 고객의 취향을 넘어 작품성을 인정받다
영화계의 공공의 적이 되다
넷플릭스와 영화계의 계속되는 갈등 | 넷플릭스와 칸 영화제와의 마찰 | 국내에서도 이어진 멀티플렉스사와의 갈등 | 극장 사업으로 새로운 길을 모색하다
마침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다
글로벌 기업으로의 첫발을 내딛다 | 글로벌 확장을 위한 치밀한 전략들 | 세계는 넓고 해결해야 할 문제는 많다 | 글로벌 확장을 위한 견인차, 다국어 자막과 더빙 | <킹덤> 시즌 2의 글로벌 흥행 성공 비결 | 글로벌 기업, 넷플릭스의 역사
PART 3 넷플릭스 최고의 경쟁력, 추천 시스템과 웹사이트
AI와 인간의 협업으로 최고의 추천 시스템을 만들다
기업의 운명을 좌우하는 추천 시스템 | 기내식과 비디오 추천 시스템의 공통점 | 시네매치, 넷플릭스 최고의 경쟁력 | 넷플릭스 양자이론 | AI가 잘하는 일과 인간이 잘하는 일
넷플릭스 최고의 경쟁력, 추천 시스템의 비밀
어떻게 영화를 추천할 것인가? | 유유상종을 바탕으로 한 메모리 기반 협업 필터링 | 고객 평가를 기반으로 한 모델 기반 협업 필터링 | 콘텐츠 기반 필터링 | 여러 가지 기술을 종합한 하이브리드 기반 필터링
추천 시스템의 개혁을 위해 콘테스트를 열다
넷플릭스, 방대한 데이터를 공개하다 |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에 무너진 넷플릭스 프라이즈 시즌2 | 한 단계 도약한 넷플릭스의 평점 시스템
사용자 중심의 웹사이트를 위한 끝없는 개혁
웹사이트 개선을 위한 A/B 테스팅 | 매력적인 타이틀로 사용자들을 사로잡아라 | 더 나은 아트워크를 위한 또 한 번의 개혁 | 넷플릭스가 섬네일과 이미지를 이용하는 방법 | 넷플릭스 웹사이트의 변천사
PART 4 고품질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한 독보적 기술력의 핵심
콘텐츠를 전송하는 넷플릭스만의 노하우
데이터를 아마존 AWS 클라우드로 이전하다 | 고품질 영상을 끊김 없이 전송하라 | 진화하는 콘텐츠 전송 시스템 | 넷플릭스만의 전송 시스템을 완성하다 | 넷플릭스 콘텐츠의 재생 과정
고품질 스트리밍을 위한 인코딩과 재생
넷플릭스의 고성능·고품질을 위한 스트리밍 전략 | 중단 없는 스트리밍을 위한 ABR 스트리밍 기술 | ABR 스트리밍에 기반한 비디오 재생
PART 5 넷플릭스, 인공지능과 파괴적 혁신으로 날개를 달다
넷플릭스 최고의 전략, AI
넷플릭스는 AI를 어떻게 활용하는가? | 인간의 역할과 AI의 역할을 적절히 배분하라 | AI 활용을 위한 4단계 프로세스 | AI 및 데이터 기반 실험 활동이 넘치는 넷플릭스 | 오바마의 대선 캠프에서도 사용한 A/B 테스팅 | 넷플릭스의 A/B 테스팅 사용법 | 기계학습을 통한 넷플릭스만의 마케팅 전략
넷플릭스, AI 활용의 교과서가 되다
개개인의 취향에 맞는 영화를 추천하다 | 콘텐츠 기획과 성공 가능성을 예측하다 | AI와 데이터 분석으로 <하우스 오브 카드> 제작을 결정하다 | AI 알고리즘을 활용한 신작 영화 흥행 예측 | 스트리밍 품질을 향상시키다
멈추지 않는 넷플릭스의 파괴적 혁신
파괴적 혁신을 통해 틈새시장을 공략하다 | 블록버스터의 허점을 노린 넷플릭스의 혁신 전략 | 넷플릭스의 1차 파괴적 혁신, DVD 채택과 물류 시스템 구축 | 넷플릭스의 2차 파괴적 혁신, 온라인 및 구독 기반 대여 모델 | 넷플릭스의 3차 파괴적 혁신, 스트리밍으로의 전환 | 넷플릭스의 4차 파괴적 혁신,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
PART 6 넷플릭스, 한국에 상륙하다
넷플릭스, 한국의 소비자를 사로잡다
넷플릭스의 등장으로 변화에 직면한 한국의 OTT 환경 | 한국 콘텐츠 확보를 위한 노력 | 한국 미디어 업체와의 제휴 | 가파르게 증가하는 넷플릭스 국내 회원수
넷플릭스가 바꾼 국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변화
한국 드라마 제작 환경의 변화 | 넷플릭스가 바꿔놓은 한국의 드라마 제작 관행 | 넷플릭스의 혁신적인 콘텐츠 제작 환경 | 방송사들이 넷플릭스의 동시 방영을 수용한 이유 | 국내 콘텐츠 기업과의 협력을 강화하다
급변하는 한국의 OTT 서비스 환경
넷플릭스와 유튜브로 인해 빠르게 재편되는 OTT 시장 | 웨이브의 탄생, SK텔레콤과 지상파 3사가 연합하다 | 티빙, CJ ENM과 JTBC가 손을 잡다 | 왓챠플레이와 시즌 | OTT 사업자들의 치열한 콘텐츠 경쟁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넷플릭스의 초기 DVD 대여 모델은 온라인 신청과 우편 배송을 제외하면 블록버스터 비즈니스 모델과 유사한 카피캣이었다. 산업 혁신의 관점에서 볼 때, 원조와 카피캣과의 경쟁은 누가 먼저 시작했는지, 누가 고객 기반이 큰지 등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누가 산업과 기술의 트렌드를 잘 이해해 고객의 요구에 성실하게 대응하느냐가 중요하다.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넷플릭스라는 블록버스터의 카피캣이 생겼다는 것은 새로운 경쟁자가 시장에 뛰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기존 강자였던 블록버스터는 이를 너무 쉽게 간과했다. 아이러니하게 시간이 경과하면서 이전의 원조 기업은 퇴색해 사라지고 카피캣 기업이 새로운 원조로 부상하게 된 셈이다. 하지만 넷플릭스는 초기 카피캣이 그냥 덩치만 키워 새로운 원조가 된 것이 아니다. 고객 만족을 극대화하기 위해 끊임없는 혁신을 추진했는데, 특히 고객이 콘텐츠를 소비하는 방법을 가히 혁명적으로 바꾸었다.
_ PART 1 넷플릭스, 새로운 미디어의 탄생
넷플릭스는 해외에서 서비스를 시작한 지 단 5년 만인 2010년에 50개 국가로 서비스를 확장했으며 그로부터 불과 2년 만에 전 세계 190개 국으로 대폭 확산해 운영하고 있다. 2018년 2분기에는 글로벌 스트리밍 매출이 처음으로 미국 내 스트리밍 매출을 초과했다. 넷플릭스가 2010년 이전까지는 미국 내에서만 사업을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로 놀라운 성적표다. 글로벌 확장을 통해서 기업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넷플릭스의 의지와 전략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넷플릭스의 미국 내 신규 고객 유치가 정체되면서 해외 점유율은 점점 더 상승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가면 궁극적으로 글로벌 고객이 전체 고객의 90퍼센트에 육박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_ PART 2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한 파괴적 혁신 전략
고객 만족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넷플릭스는 2000년에 영화 추천 시스템인 시네매치 서비스를 출시했다. 시네매치는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영화를 예측해 추천해주는 추천 알고리즘이다. 인기 영화의 추천뿐만 아니라 잘 알려지지 않거나 혹은 오래된 영화지만 사용자의 취향에 맞을 만한 다양한 영화를 추천해 마진율이 높은 고전이나 비인기 비디오의 구독 증가를 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최신작에 몰리는 수요도 적절히 조절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시네매치는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동시에 비디오 콘텐츠 확보에 드는 비용도 절감했다. 시네매치는 블록버스터와의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툴로 작용했다.
_ PART 3 넷플릭스 최고의 경쟁력, 추천 시스템과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