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51120763
· 쪽수 : 470쪽
· 출판일 : 2021-12-25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프롤로그
01. ‘새 하늘과 새 땅’을 꿈꾼 사람들
1. 세 명의 설립자
2. 한국YWCA 탄생의 배경
3. YWCA와 근우회
4. 농촌계몽운동, 황애덕과 최용신
5. 일본YWCA로의 복속
6. 식민지 상황에 대한 일본YWCA의 인식과 한-일 YWCA의 관계
02. 두 여성
1. 왜 두 여성인가
2. 시대의 아픔을 살아낸 두 명의 여성지도자
1) 김활란과 YWCA
2) 조아라와 YWCA
3. 두 선교사의 자매애, 그들의 제자들
1) 김활란과 아펜젤러
2) 조아라와 유화례
4. 현대사의 굴곡 속, 두 사람의 시간과 공간
5. 두 여성의 믿음과 소망
03. 조직의 재건, 운동체로 가는 역정(歷程)
1. 해방 이후 한국 사회의 변화
2. 좌·우익으로 분리된 여성운동
3. 분단과 한국교회
4. YWCA의 재건과 여성운동의 프레임 형성 과정
5. 가족법 개정운동
6. 학생YWCA 재건
04. 성장과 도전 1: 회원 활동의 조직화와 지역운동으로의 확장
1. 박에스더의 리더십
2.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의 정립
3. 지역 활동을 통한 회원 조직화
4. 주부클럽의 회원 리더십
5. 생명과 생활협동공동체로 이어진 지역 조직운동
6. 전문 리더십 체계 구축
7. 대학YWCA의 ‘독자성 선언’
05. 격동의 한국 사회와 YWCA
1. ‘여성의 인간화’로 확장된 YWCA 운동
2. 여성인권운동
1) 남영나일론의 여성노동자 인권옹호
2) 동일방직사건
3) YH 사건
3. YWCA가 시작한 ‘여성의 직업개발’
4. 파출부 파견사업에서 가사노동자의 인권운동으로
5. 가사노동자 권리를 위한 입법운동과 성과
06. 성장과 도전 2: 조직의 확대와 청년 조직의 변화
1. 조직의 양적 확대
2. 지도력 분화와 청년 주체성의 약화
3. 다시 지역으로 간 청년들-로컬프렌들리 군산
07. 정체성의 성찰적 재구성과 운동의 제도화
1. 시민사회와 운동 지형의 변화
2. 지방분권과 운동 네트워크의 형성
3. 여성운동의 분화
4. YWCA 운동의 제도화
5. 한국YWCA의 1차 ‘정체성’ 논의
6. 지방 조직 확대의 배경과 영향
7. ‘한국YWCA 정체성’과 부속시설의 관계
08. 역사적인 조직의 전환: 한국YWCA 재구조화
1. 1차 사단법인의 설립
2. 2차 사단법인의 설립과 재구조화의 준비
3. 2차 정체성 논쟁
4. 부속시설 신(新)운영정책과 지역 법인화
5. “YWCA는 지역공동체운동입니다.”
09. 하령회에서 새벽종소리, 그리고 95개 논제
1. 하령회와 직원수양회
1) 하령회의 개념과 특성
2) 전국 직원수양회
2. 한국YWCA 목적문 영성운동과 『새벽종소리』
3. 한국YWCA 미래를 위한 95개 논제
10. 정의와 평화, 생명을 향한 항해
1. “돌봄으로 정의를, 나눔으로 평화를”
2. 한라에서 백두까지, 오늘도 계속되는 평화순례의 여정
3. 고리1호기 앞에서 기도한 여성들, 결국 고리1호기는 멈췄다
에필로그 YWCA 100년! 여성과 함께, 변화를 향해!
부록 초기 역사(1922-45) 중 YWCA와 여자기독청년회, 창설자와 관련된 신문기사 제목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