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88952112279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1-08-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녹색도시의 필요성 알아보기
가중되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대응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지구생태계와 자원의 유한성에 대한 대응
도시화에 대한 대응
외국의 녹색도시계획 사례
2. 도시생태계 이해하기
생태계의 개념
도시생태계의 특징
3. 도시 진단하기
비오톱과 비오톱지도
생태·자연도
토지적성평가
생태발자국
탄소발자국
지도중첩법과 GIS
4. 탄소중립도시 만들기
탄소중립도시
탄소중립도시를 위한 도시계획 요소와 기법
열섬현상에 대한 대책
건물의 에너지성능 개선
조경설계를 중심으로 한 에너지절약형
주거단지 설계기법
신·재생에너지 활용방안
5. 그린인프라를 갖춘 도시 만들기
그린인프라
그린웨이
생태네트워크 계획
도시생태축 계획
생태공원설계
6. 자연상태의 물길이 흐르는 도시 만들기
하천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하천복원
우리나라 생태하천의 복원 방향
7. 쓰레기가 배출되지 않는 도시 만들기
쓰레기 제로화
외국의 쓰레기 재활용 사례
우리나라의 쓰레기 제로화 방안
8. 야생동물이 함께 잘 살아가는 도시 만들기
야생동물의 영역
야생동물의 서식처
야생동물 서식처 계획
생태통로
9.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도시
만들기
생태면적률
빗물순환방법
저영향개발 제도와 기법
10. 자연의 섭리를 잘 활용하는 도시 만들기
생태통합
기후를 활용한 계획과 설계
풍력발전
생물지역계획
11. 물을 절약하고 빗물을 활용하는 도시
만들기
빗물관리기법
빗물관리의 사례
12. 오수를 재활용하는 도시 만들기
인공습지
인공습지의 사례
중수처리
13. 훼손된 생태계를 치유하는 도시 만들기
생태복원
생태복원설계
폐산업용지의 치유와 복원
14. 먹거리를 생산하는 도시 만들기
외국의 도시농업
우리나라의 도시농업
미래의 도시농업
15. 자연생태계와 통합되는 건물 만들기
건물의 식물 바이오매스 설계 전략
옥상녹화설계
벽면녹화기법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16. 오염 없는 도시 만들기
대기오염의 원인과 대책
실내공기오염 대책
수질오염 대책
소음 감소를 위한 대책
17. 아름다운 산수를 즐길 수 있는 도시 만들기
경관계획
외국의 경관계획
어메니티 계획
생태관광계획
18. 생태적으로 다양한 도시 만들기
생물다양성의 개념과 필요성
생물다양성 증진방안
도시와 건축계획에서 종다양성을 증가시키는 조치
토양보전
19. 자전거와 보행네트워크를 갖춘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 만들기
우리나라의 자전거 활성화 정책
외국의 자전거 활성화 정책
탐방로계획
20. 기후변화에 적절히 대응하는 도시 만들기
도시의 취약성
우리나라의 기후변화대응책
외국의 기후변화대응책
도시계획 측면의 기후변화대응방안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 풍부한 도판을 수록하여 본문의 이해를 높인 구성
- 국내외 사례를 소개한 풍부한 사진자료와 상세한 설명
‘생태적자’란 소비를 위해 사용된 토지면적이 그 지역의 생태적 생산토지(ecological productive land, EPL)에 비해서 얼마나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지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 1인당 생태적자는 서울이 2.935헥타르, 광주가 7.668헥타르, 인천은 7.309헥타르로 나타났다. 서울특별시는 생태적으로 생산적인 토지면적의 16만 1,690%를 초과하고 있어 생태계에 많은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가 자급자족한다고 할 때 현재의 소비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서울시 면적의 501배인 약 30만 제곱킬로미터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43)
녹색도시와 그린홈이 만들어지려면 신?재생에너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에너지절약형 주거단지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건축 분야에서의 노력 못지않게 조경 분야에서의 노력이 병행되어야 한다.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에너지 절약 조경조례를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제정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 특히 정부에서 ‘그린홈 200만 호 보급’을 저탄소녹색정책의 국정과제로 제시한 바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 절약 대책뿐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pp.88-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