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음악
· ISBN : 9788952113740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12-09-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v
일러두기 ●x
프롤로그
천재란 무엇인가?: 논의의 출발 ●1
예술과 음악 그리고 천재 ●4
천재개념과 미학적 담론 ●8
책의 구성과 목적 ●10
제1부 역사적 접근
음악적 천재 유형과 미학적 사상의 역사적 흐름
제1장 천재 예술가에 대한 초기 미적 담론 ●15
1. 고대: 영감론-시학-숭고론 ●16
2. 르네상스 ●27
제2장 모방미학과 천재: 음악적 천재상의 초기 형태 ●35
1. 미학적 전제: 뒤보-바퇴-레싱의 `모방적 천재론’ ●37
2. 음악적 천재의 초기 유형 1: J. S. 바흐 ●44
3. 음악적 천재의 초기 유형 2: 헨델과 하이든 ●54
제3장 독창적 천재: 음악적 천재의 본격적 등장 ●65
1. 미학적 전제: 질풍노도 시대의 문학적 천재상 ●67
2. 미학적 전제 2: 칸트의 천재미학 ●73
3. 독창적 천재의 초기 유형: C. P. E. 바흐 ●83
4. 고전시대 독창적 음악 천재 ●90
5. 영감의 천재: 모차르트 ●96
6. 영웅적 천재: 베토벤 ●113
제4장 낭만적 천재: 음악 천재의 전성시대 ●125
1. 미학적 전제: 낭만주의 감정미학 ●129
2. 낭만주의 문학에 나타난 음악적 천재상 ●135
3. 낭만적 천재의 전형: ‘무의식적 영감’의 천재 ●143
4. 낭만적 천재의 두 얼굴: 불행한 천재와 문화적 영웅의 두 얼굴 ●152
5. 미학적 마무리: 쇼펜하우어의 천재미학 ●162
제5장 현대적 천재: 20세기 음악적 천재상 ●169
1. 낭만적 천재 신화 비판 ●171
2. “천재는 죽었다”: 새로운 사회적 환경 속의 천재 ●179
3. 은폐된 천재: 모더니즘과 아방가르드 음악 속의 천재상 ●185
4. 거부된 천재: 포스트모더니즘에서의 음악적 천재 ●194
5. 마성(魔性)의 천재 vs. 수도자적 천재: 토마스 만과 헤르만 헤세 소설 속의 음악적 천재 ●198
6. 현대 영화 속에 나타난 음악적 천재 ●214
제2부 음악적 천재를 둘러싼 미적 담론
제6장 음악적 천재는 어떤 능력을 가졌는가?: 음악적 천재의 척도 ●225
1. 독창성: 혁신적 새로움과 주관적 표현성 (vs. 모방성과 작곡론) ●229
2. 영감과 무의식 (vs. 수공예론) ●239
3. 악마성과 광기 ●244
4. 조숙성: 음악 신동 ●254
5. 근면성과 집중성 ●262
제7장 음악적 천재는 타고난 것인가, 만들어진 것인가? ●267
1. 선천적 재능과 후천적 학습 ●267
2. 타고난 재능과 사회적 환경: 모차르트의 경우 ●276
3. ‘만들어진 천재’에 대한 논쟁: 베토벤의 경우 ●289
제8장 Pro & Contra: ‘음악적 천재’에 대한 찬반론 ●305
1. Pro: 음악적 천재의 미학적·사회학적 의미 ●307
(1) 예술가의 ‘주체적 정체성’ 형성 ●307
(2) 음악적 자율미학의 성립 ●318
(3) 음악가의 사회적 위치 상승 ●325
2. Contra: 음악적 천재미학의 이데올로기 벗기기 ●332
(1) 음악가의 주체적 정체성 문제 ●332
(2) 천재적 영감의 이데올로기 비판: 니체 ●341
(3) 천재를 통한 삶과 세계의 축소 비판: 가다머 ●345
(4) 역사와 사회의 축소: 아도르노의 반(反)천재론 ●349
에필로그
이 시대의 진정한 천재를 위하여 ●355
부록 | 음악적 천재에 대하여: 슈바르트(Christian Friedrich Daniel Schubart) ●365
참고문헌 ●370
그림 출처 ●383
찾아보기 ●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