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공삼 민병태 교수의 정치학

공삼 민병태 교수의 정치학

(해방 이후 한국에서 정치학이 소생-성장-발전한 과정의 맥락에서)

김학준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000원 -0% 0원
1,750원
33,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공삼 민병태 교수의 정치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공삼 민병태 교수의 정치학 (해방 이후 한국에서 정치학이 소생-성장-발전한 과정의 맥락에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학
· ISBN : 9788952114013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13-02-28

책 소개

별세한 1977년 11월로부터 36년이 지난 오늘날까지도 '한국 정치학의 태두'로 존경을 받는 공삼 민병태 교수의 탄생백주년에 즈음해 정치학자로서의 65년 생애를 정치학 수학과 연구 및 교육에 초점을 맞춰 살핀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 v
감사의 말씀 / xi

제1장 이 책의 목표, 자료, 그리고 구성 1
제1절 선행연구들 / 2
제2절 이 책의 목표: 선행연구들에서 미진한 점들에 대한 해명과 그 해명을 통한 ‘공삼 정치학’의 전체상(全體像) 정립 / 12
제3절 새로 발굴한 자료들 / 15
제4절 이 책의 구성 / 20

제2장 ‘한국 정치학의 동면기’에 게이오에서 ‘미래 한국의 정치학’을 준비하다(1931∼1945) 25
제1절 가정교육에서 중등교육까지 / 26
제2절 게이오대학 예과 3년의 서양고전 수학 / 38
제3절 게이오대학 본과 3년의 정치학 교육 / 45
제4절 게이오대학 대학원과 아세아연구소에서의 연구생활과 연구실적 / 55

제3장 ‘한국 정치학의 소생기’에 라스키의 국가다원론을 소개하다(1945∼1950) 75
제1절 연희전문학교-연희대학교에서 정치학교수직을 시작하다 / 76
제2절 한국에서 정치학의 소생과 정치학 지망생들의 운집 / 89
제3절 이 시기에 출판된 정치학 저술들 / 102
제4절 한국정치학계에 ‘라스키 시대’를 열다 / 120

제4장 ‘한국 정치학의 위축기’에 정치학 교육에 진력하다(1950∼1953) 131
제1절 6·25전쟁이 한국정치학계에 끼친 영향 / 132
제2절 피난생활 시기에 대구대학과 동국대학 및 고려대학교에서 강의하다 / 144
제3절 라스키의 영향이 나타난 정치평론들을 발표하다 / 148
제4절 서울대 교수로 부임해 본격적인 저술활동에 들어가다 / 156

제5장 ‘한국 정치학의 재활기’에 ‘전통적’ 정치학을 고수하며
‘과학적’ 정치학의 한계를 지적하다(1954∼1958) 171
제1절 정치학이 재활하면서 자신의 영역을 넓히다 / 172
제2절 국가, 그리고 민주주의의 이론과 제도에 관한 저술들을 번역 또는 출판하다(1954~1957) / 192
제3절 <정치학>을 출판하다(1958년 5월) / 215
제4절 국내외정세에 대한 평론들을 발표하다(1954∼1958) / 224

제6장 ‘한국 정치학의 성장기’에 ‘과학적’ 정치학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이다(1958∼1961) 241
제1절 한국정치학계에 인적-제도적 성장이 뚜렷해지고 동시에 주제가 넓어지다(1958∼1961) / 242
제2절 과학주의에 관심을 쏟은 1958∼1959년의 저술들 / 259
제3절 신진회 지도교수 활동으로 음해를 받다 / 302
제4절 4월혁명 이후에 행한 발언들 / 318

제7장 ‘한국 정치학의 전환기’에 ‘전통적’ 정치학을 옹호하다(1961∼1966) 327
제1절 5·16군사정변이 한국정치학계에 미친 영향 / 328
제2절 5·16군사정부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다 / 362
제3절 ‘전통적’ 방법론에 서서 저술활동을 활발히 전개하다 / 374
제4절 정치학계에 새롭게 등장한 주제들에 대한 평론들을 발표하다 / 388

제8장 ‘한국 정치학의 자기정체성탐색기’에 대학행정가로(1966∼1971),
한국정치학계의 원로로(1971∼1977) 후학들을 이끌다 407
제1절 서울대 문리대 학장 시절 / 408
제2절 서울대 대학원 원장 시절 / 431
제3절 정치학과 교수로의 복귀와 투병, 그리고 별세 / 439
제4절 강의와 인품에 대한 회상 / 442

제9장 요약, 그리고 ‘공삼 정치학’의 유산 455
제1절 요약 / 456
제2절 ‘공삼 정치학’의 유산 / 463

공삼 연보 / 477
공삼의 저작 및 발언 목록 / 481
참고문헌 / 489
Abstract: Political Science of Professor Gongsam Min Byung-tae / 505
찾아보기 / 509

저자소개

김학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3년에 중국 선양瀋陽에서 태어났다. 인천대학교 총장, 동아일보사 사장 및 회장, 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보정석좌교수金寶鼎碩座敎授, 단국대학교 이사장을 역임했으며, 2012년 9월 이후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및 단국대학교 석좌교수로 봉직하고 있다. 최근 저서들로 『북한의 역사 1·2』(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08), 『서양인들이 관찰한 후기 조선』(서강대학교출판부, 2010)을 비롯해 ‘한국정치학의 뿌리를 찾아서’ 3부작인 『구한말의 서양정치학 수용 연구』(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두산 이동화 평전』(단국대학교출판부, 2012), 『공삼 민병태 교수의 정치학』(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조선이 일본과 수교함으로써 개국한 1876년 이후 조선의 지도층 가운데 개화를 지향하는 지식인들에게 게이오는 자연히 큰 관심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이 점은 개화를 꿈꾸던 청년 지식인으로 최초의 일본유학생이 되는 유길준(兪吉濬)과 그의 매부 유정수(柳定秀)가 1881년 6월에 게이오를 선택한 사실에서 부분적으로 증명된다.


이상에서 살핀 공삼의 중앙아시아 연구는 미국의 중앙아시아 전문학자 오언 래피모어(Owen Lattimore) 교수의 연구를 연상하게 만든다. 래티모어는 1900년에 출생했으니, 공삼보다 13년 연상이다. 그는 1925년부터 중앙아시아에 대해 깊은 학문적 관심을 키웠으며, 1970년대 초에 이르기까지 중앙아시아에 관한 선구적 저술들을 열 편 이상 출판했다. 이로써 그는 미국의 학계에서는 물론이고 인도와 영국의 학계에서도 중앙아시아 분야의 최고 석학으로 대접을 받았다.
중앙아시아에 관한 공삼의 역서들과 논문을 읽어보면, 공삼은 조선인으로 이 분야의 개척자였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라스키는 유럽에서이건 동북아시아에서이건 파시즘은 평등을 요구하는 다수의 노동계급이 혁명을 일으킬 개연성을 예방하기 위해 소수의 자본계급이 폭력적이며 억압적인 통치체제를 국가라는 이름 아래 만들어낸 것으로 인식했다. 이러한 인식으로부터, 라스키는 서구민주주의가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먼저 유산계급이 양보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만일 그렇게 하지 않는다면 무산계급의 폭력혁명이 뒤따를 수 있음을 경고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