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병별 > 암
· ISBN : 9788952115485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14-03-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암이란?
01 암의 어원은 ‘게’
02 암은 다단계 연쇄 반응으로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자란다
03 암을 예방하려면 암의 원인을 알아야
04 암 조기 진단에는 사회-경제적인 요인도 관여
담배 이외 폐암의 원인
05 동남아 국가의 배기가스와 폐암
06 아시아의 취약한 가옥 구조: 취사 연기에 발암물질이
07 물담배는 안전할까?
08 사교 활동으로 정착한 물담배
09 베트남의 물담배: 심지어 위암도 일으켜
10 코담배나 씹는 담배도 암을 일으킨다
11 동남아에 자생하는 열대 과일이 구강암을?
12 말레이시아의 지역사회 구강암 조기 검진
13 아시아 담뱃값 너무 싸다
14 금연구역 설정
나라마다 인종마다 다른 암
15 이민 가면 암도 닮아 간다
16 이민자를 연구하면 암의 원인을 알 수 있다
17 노벨상 수상자의 강연: 한국 음식을 주목하라
술 잘 먹는 민족
18 음주도 과하면 암이 생긴다
19 한국인은 술 잘 먹는 민족
20 아시아의 음주 문화
21 독주를 즐기는 민족은 식도암 발생률이 높다
김치가 암을 일으킬까?
22 한국인 위암은 세계 제일
23 위 점막도 혹사당하면 위암이 된다
24 아시아 위암 발생의 패러독스
25 김치는 암을 일으키는가? 암 예방에 좋은가?
26 암은 매운 음식과 상관없다
27 암에 좋은 음식과 암 환자에게 좋은 음식
콩 속에 암 정복의 열쇠가
28 콩 속의 호르몬, 아이소플라본
29 두부는 암 예방, 된장찌개는 암 촉진?
30 베트남의 길거리 음식: 아이소플라본이 듬뿍
31 칡 속에 젊음을 유지하는 비결이
짠 음식을 좋아하는 민족
32 한국의 짠 음식
33 일본의 짠 음식
34 미국에도 짠 음식이 있다
35 카자흐스탄 사람들: 위암 발생률이 높단다
36 카자흐스탄의 위암과 짠 음식
37 소금의 양면
38 한국인 위암이 줄어들고 있다: ‘ unplanned triumph’
39 한국의 음식이 싱거워지고 있다: 문명의 이기 냉장고의 덕
40 탄 음식과 위암에 관한 오해와 진실
신선한 열대 과일이 보약
41 인도네시아 음식을 많이 먹으면 위암에 걸리지 않는다
42 베트남인의 건강식
43 미국의 암 예방 캠페인: ‘하루 5가지 이상의 과일과 채소를 ’
44 외국 여행 가면 배변 습관이 바뀐다
45 녹차의 미스테리
46 커피를 적당히 마시면 암 예방에 도움이 될까?
47 레드 와인으로 암을 예방: 프렌치 패러독스
몽골과 태국의 간암
48 몽골의 사망 원인 1위 간암
49 침묵의 장기 간
50 불결한 주사기, 문신, 침술도 간염을 옮겨
51 모체 태반을 통해 간염바이러스 옮겨
52 간염 예방주사는 간암 예방의 최정예 무기
53 한국은 간염 예방 관리 모범국
54 메콩 강에는 암을 일으키는 기생충이 있다?
아시아 젊은 여성 유방암 급증
55 유방암과 대장암 아시아에서 급증: 더 이상 서구형 아니야
56 한 번에 토끼 두 마리를 잡는다
57 서양 여성보다 적었던 유방암이 급증하는 이유
58 한국 여성 유방암은 85% 이상 완치
59 아시아 여성 유방암은 예후가 나쁘다: 한국-일본은 예외
모유 먹이면 엄마도 아기도 건강
60 원래 주어진 자기 기능을 박탈당한 장기는 암이 되기 쉽다
61 엄마 젖을 먹이면 아기도 엄마도 건강해져
62 젊은 여성에게 유방암 환자가 많은 이유
이슬람권 여성의 유방암
63 이슬람 국가에서 많은 유방암: 음식인가? 관습인가?
64 이슬람 국가 내에서도 인종에 따라 달라
65 여성호르몬을 닮은 성분의 석류
비만은 만병의 근원
66 스트레스 해소에는 휴식이 최고
67 비만은 만병의 근원
68 비만하면 당뇨병도 잘 걸려
69 비만은 가난의 질병
70 걷기만으로도 암을 예방
71 건강을 위한 규칙적인 운동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암
72 인류 고고학적 원류와 ‘ATL 암’
73 한-일 간의 고대사를 푸는 일본의 ATL 암
74 에이즈도 암을 일으키나요?
암의 예방
75 암의 원인은 몰라도 예방할 수 있다: 존 스노우의 교훈
76 윈슬로우 교수의 가르침: 질병은 지역사회에서 생긴다
77 암 예방에는 세 가지 단계가 있다
미국과 일본의 암 관리 전략
78 자네는 연구 그만하고 이제부터 암을 예방하게: 사부님의 가르침
79 암 연구에 자신을 기부한 영국의 의사들/미국의 간호사들
80 철사장과 양성자 치료법
81 아시아의 인구 노령화
82 미국의 암과의 전쟁 선포
83 일본은 암 사망이 줄어들기 시작
84 일본 국립암센터 총재의 고백
85 일본은 한국의 암검진사업을 따라올 수 없다
86 이제는 일본이 한국을 배워야
87 국제암퇴치연맹 회장의 후회
88 우리나라는 암과의 전쟁에서 이기고 있는가?
아시아의 암 예방과 관리
89 한-일-중 공동연구: KOJACH study
90 다지마 선생의 정년을 축하하며
91 말레이시아 국가암관리 유감
92 암 예방은 뒷전, 암 치료부터: 중-저개발국
93 말레이시아 정부에 대한 국가암관리 평가서
94 우리도 국가암관리 시작한다: 베트남
95 못다 한 지역사회의학의 꿈을
96 라오스에서 온 편지: 투게더 까올라
아시아-태평양암예방기구의 국제공조 12년
97 아시아-태평양암예방기구의 출범: 2000년
98 이방인 말콤 박사의 열망
99 이제는 한국이 나설 때
100 아시아-태평양암예방기구의 국제공조 12년
101 미국암학회 참관기: 애나폴리스의 게 요리
에필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