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태비평

생태비평

그렉 개러드 (지은이), 강규한 (옮긴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생태비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태비평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태학
· ISBN : 9788952115645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14-11-30

책 소개

과연 인간중심에서 벗어나 비인간 실체와의 합일이나 진정한 이해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모색이 생태비평의 핵심과제일 수 있지만, 이러한 추구로 말미암아 다른 중요한 당면과제를 간과하는 위험성이 있음을 환기시킨다.

목차

감사의 말

1. 시작: 오염

2. 입장
풍요의 뿔
환경주의
심층생태학
에코페미니즘
사회생태학과 생태마르크스주의
하이데거 생태철학

3. 목가
고전적 목가
낭만적 목가: 워즈워스 대 클레어
미국 목가
목가적 생태학

4. 황야
구세계 황야
숭고함
신세계 황야
‘황야와 관련된 문제점’
오스틴, 리어폴드, 애비: 20세기 자연기 문학
황야를 넘어서?

5. 종말
종말과 천년왕국
세속적 종말론
환경적 종말주의
종말과 관련된 문제점

6. 거주
농경시
현대적 농경 철학: 베리, 버거, 세일
‘생태적 인디언’
‘관계’에 대해 쓰기: 실코와 어드릭
물활론의 문제점

7. 동물
가축과 사이보그
야생동물과 생명다양성

8. 미래: 대지
지구
가이아
생태비평의 미래: 대지의 두 시뮬레이션 사이에서

용어해설
더 읽을거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역자 후기

저자소개

그렉 개러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생태비평』 저술 당시에 영국 바스 스파 대학(Bath Spa University College)에서 영문학을 가르치다가 현재는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비평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영국/아이랜드 문학과환경학회(ASLE-UKI)의 핵심회원이자 학술지 Green Letters(녹색문학)의 공동편집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Teaching Ecocriticism and Green Cultural Studies(2011), The Oxford Handbook of Ecocriticism(2014) 등이 있다.
펼치기
강규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39대 한국영어영문학회 회장, 12대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회장 역임. 『사냥하기, 친구 되기, 고기 먹기: 미국문학에 형상화된 동물/인간 관계의 생태비평적 조망』, 『미국의 자연관 변천과 생태의식』(공저), 『캐나다아동문학』(공저), 『영어교육의 인문적 전망』(공저), 『생태비평』(역서) 등의 저서가 있으며, 「인간과 동물 사이: 아동문학의 동물 형상화」, 「『월든』 다시 읽기: 문학생태학의 새로운 모형」, 「인간과 기계 사이: 『브이』, 『브레이드 러너』, 『2백년을 산 사나이』에 나타난 인조인간의 문제」, “Going Beyond Binary Disposition of 0/1: Rethinking the Question of Technology” 등 다수의 논문이 있음.
펼치기
강규한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이제 생태비평의 잠정적인 정의를 살펴보자. 최초의 정의는 미국 생태비평의 주요 논문 선집인 『생태비평 독본』(The Ecocriticism Reader, 1996)의 「서문」에서 발견된다.

생태비평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 생태비평은 문학과 물리적 환경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페미니즘 비평이 언어와 문학을 성차 의식 관점에서 점검하고, 마르크스주의 비평이 생산 양식과 경제적 계급에 대한 인식을 텍스트 읽기에 불러오듯이 생태비평은 문학연구에 대지 중심적으로 접근한다. (xix)

셰럴 그롯펠티(Cheryll Glotfelty)에 의해 생태비평이 이렇게 정의된 이후, 다음과 같은 생태비평적 질문들이 제시된다. 그 질문들은 ‘이 소네트에는 자연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가?’로부터 ‘야생성의 개념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 또한 ‘과학 그 자체가 문학 연구에 어떻게 열려 있는가?’ 그리고 ‘역사, 철학, 심리학, 예술사, 윤리학 등 환경 관련 인접 학문과 문학 연구 사이에는 어떠한 긍정적인 상호 영향이 가능할 것인가?’로 이어진다.


『침묵의 봄』을 수사로 읽는 것은 공공연히 정치 이슈화되는 비평의 여러 이점을 지닌다. 정치 이슈화되는 비평에 대해서 마르크스주의비평가 테리 이글턴(Terry Eagleton)은 다음과 같이 개진한 바 있다.

제가 염두에 두고 있는 연구에서 특징적인 것은 … 담론이 생산해 낸 ‘효과’의 종류와 담론이 ‘효과’를 생산해 내는 양상이다. 기린에 대해 알아보려고 동물학 교과서를 읽는 것은 동물학 연구의 일부분이다. 그러나 그것의 담론이 어떻게 구성되고 조직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읽는 것, 그리고 이러한 형식과 장치가 실제 상황에서 구체적인 독자에게 어떠한 종류의 효과를 산출해 내는지를 점검하는 것은 다른 종류의 프로젝트이다. 사실, 그것은 아마도 수사학으로 알려진,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문학 비평 형식일 것이다. (1996: 205)

필자는 문화를 수사로 읽을 것이다. 수사학자들이 이해하는 엄밀한 의미의 수사가 아니라, 대규모 메타포의 생산, 재생산, 변형으로서의 수사로서 말이다.


이 책 3~5장은 타락하고 쫓겨난 인간이 재기를 도모하지만 최후의 심판을 두려워하는, 유럽-아메리카, 유대기독교 서사에 깊이 영향을 받은 일련의 비유, 즉 ‘목가’, ‘황야’, ‘종말’을 검토하고, 이 비유들이 현대 세계에서 형성한 결과의 의미에 대해 평가한다. 6장은 대지 위의 ‘거주’에 관련된 서로 다른 두 개념 즉, 땅에서 일하는 것에 관해 기록하는 유럽의 ‘농경시’ 전통과 최근에 많이 논의되고 있는 조화로운 존재의 잠재적인 모형으로서의 토착적 생활방식을 비교한다. 그러나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이렇게 구성되었다는 논의 과정에서 인간 종과 다른 종 사이의 차이가 당연시되는 문제점이 노정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7장은 야생 및 가축 동물이 재현되고 개념화되는 다양한 방식을 조망한다. 필자는 ‘인간이라는 것’에 대한 재검토가 생태비평의 핵심 과제라고 생각하는데, 이것은 생태비평을 목가 전통과 자연기 문학으로부터 글로벌화나 인간과 과학기술의 사이보그 중첩과 같은 포스트모던적 관심으로 견인하게 될 것이다. 마지막 장에서는, 우주에 떠있는 지구라는 특별한 이미지에 관련되는, ‘글로벌 시장’으로부터 ‘소중한 거대 유기체’에 이르기까지의 여러 의미들을 탐색하게 될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