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52115904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14-09-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영어교육의 현실과 인간화 전망
제1장 영어교육의 인문적 전망에 관하여__김길중
1. 역사적 배경과 문제의식
2. 다른 아시아 나라들의 사례
3. ‘한 가지 말’의 분수와 접촉의 언어학
4. 탈기능주의 혹은 인간화
5. 인문전망의 모색을 위하여
제2장 우리 시대의 영어만능주의__신문수
1. 영어교육의 사회문제화와 그 문제점
2. 영어의 물신화와 그 폐해
3. 영어만능주의의 허실
4. 한국 영어교육의 문제점
제3장 언어의 창조성과 사유의 훈련__김재오
1. 대학의 위기와 인문학의 과제
2. ‘두 문화’의 분리와 문학교육
3. 언어의 창조성과 문학공부
4. ‘비평적 실천’과 사유의 훈련
5. 결론을 대신하여
제4장 문학 텍스트를 통한 통합적 영어교육의 가능성__강규한
1. 의사소통 교수법과 총체적 영어교육
2. 문학을 통한 영어교육의 비판에 대한 재검토
3. 『샬롯의 거미줄』과 다양한 언어 경험
4. 통합적 언어 경험의 모형
5. 맺음말: 하향식 영어교육 및 텍스트 선정의 중요성
제2부
중등 영어교육의 인문적 전망
제1장 중등 영어교육에서 인문적 가치의 중요성__조자룡
1. 영어, 인문적 가치와 의사소통기능
2. 인문적 가치, 중등 영어교육 속 위상과 실재
1) 인문적 가치와 영어교육
2) 중등영어교육 속 인문학 텍스트
3) 교육과정, 교과서, 교재와 인문적 텍스트
3. ‘인문적 가치’를 영어교육의 장으로
제2장 고등학교 영어수업에서 문학 텍스트의 활용 방안__김은실
1. 들어가는 말
2. 외국어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의 중요성
3. 문학 텍스트 현황 및 활용 방안
1) 영어교육에서 활용가능한 문학 텍스트 현황
2) 영어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텍스트 선정 및 활용 방안
3) 문학 텍스트 활용을 위한 실제 수업 운영 방안
4. 고등학교 영어수업에서 문학 텍스트 활용의 실제
1) 과제기반 수업모형을 활용한 영문학 텍스트 수업의 예시:
포의 『도둑맞은 편지』
2) 영화를 활용한 영문학 텍스트 수업의 예시:
디킨스의 『위대한 유산』
3) 국문학의 영어 번역 작품을 활용한 작품 이해활동 수업의 예시:
염상섭의 『삼대』
5. 맺음말
부록
제3장 고등학교 수업시간에 영소설 읽기__윤미정
1. 교실에서 문학작품 읽기
2. 교재로 장편소설 읽기
3. 소설 선정과 학습지도계획 수립
4. 수업시간활동 구성과 수업시간에 고려할 요소
5. 소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
제4장 고등학교 교과서 읽기 자료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의사소통적 관점에서__이진경
1. 들어가는 말
2. 의사소통능력과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3. 의사소통 중심적이지 않은 읽기 텍스트
1) 사건의 나열과 설명 위주의 글
2) 정서적 어휘의 결핍
3) 진정성의 결여
4. 맺음말
제5장 고등학교 학생들 가슴 속에 영문 명연설 담기__정종호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배경: 외국어 교육에서의 내용과 장르
3. 수업의 실제 및 자료의 조사
4. 연구 결과와 논의
1) 명연설은 외국어 학습의 동기를 강화시킬 수 있다
2) 외국어 학습에서 명연설은 내용상으로 가치 높은 교재이다
3) 외국어 학습에서 명연설은 언어상으로 가치 높은 교재이다
4) 외국어 학습에서 학습자들은 내용적 측면을 언어적 측면에 못지않게 중요시한다
5) 연설은 고등학교 외국어 학습의 주요 장르가 될 수 있다
6) 명연설은 교사에게도 가르치는 기쁨을 증진시킨다
5. 요약과 시사점
제3부
대학 영어교육을 위한 새로운 탐색
제1장 절충주의식 셰익스피어 교육방법:『리어왕』을 중심으로__조광순
1. 셰익스피어 교육과 연구의 최근 동향
2. 셰익스피어에 대한 배경지식 강의
3. 『리어왕』의 문학적 요소
4. 『리어왕』의 공연적 요소
5. 결론
제2장 영문학 기반 문화교육과정 개발__김경한
1. 영문학 교육의 문제
2. 문화교육의 필요성
3. 영문학 기반 문화교수요목
1) 서양고전문화
2) 영국문화
3) 미국문화
4) 교수요목 개발 시안
5) 영문학 기반 문화교수학습 모형
4. 문화 교수학습 방안
1) 문화방백
2) 문화캡슐
3) 문화송이
4) 문화동화자
5) 문화 TPR
6) 문화 미니드라마
7) 극화
8) 모의 역할극
5. 결론과 제언
제3장 영어교육과 인문학적 가치의 재정립: 영문학과 교과과정의 경우
__이인기
1. 인문학적 가치의 변화
2. 영문학과 교과과정과 새로운 인문학적 가치의 모색
1) 전공교육과 소통의 확대
2) 교양교육과 텍스트의 진정성
3) 실용영어교육과 교수자의 현존
3. 맺음말
제4장 드라마를 체험하는 교양영어__강유나
1. 교양영어 수업의 딜레마
2. ‘드라마를 통한 영어연습’의 전제
3. 수업의 설계와 실제
1) 수업개요
2) 학습자 구성
3) 교재의 선택
4) 평가방식
4. 반성과 제안
첨부: Syllabus
제5장 웹 기반 학습 환경을 활용한 실용영어와 인문소양의 계발__이원주
1. ‘실용영어’의 의미와 영어교육
2. 웹 기반 학습 환경과 실용영어 교육
3. 영화를 통한 실용영어능력 향상 방안: <영상영어세미나>의 경우
1) 강의 구성
2) 강의 수강
3) 강의 운영
4. 반성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