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52117595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15-08-3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v
제 1 장 서론 1
제 2 장 텍스트 시간 정보 7
2.1 시간 정보의 형식화 9
2.1.1 시점 시간 정보 9
2.1.2 시구간 및 양적 시간 정보 11
2.1.3 시간 관계 정보 13
2.2 시간 정보 마크업 14
2.2.1 STAG 14
2.2.2 TimeML 15
2.2.3 ISO-TimeML 18
2.3 시간 정보 주석 말뭉치 22
2.4 한국어 텍스트 시간 정보 23
2.4.1 한국어 TimeML 23
2.4.2 행내 주석과 격리 주석 25
2.4.3 어절 단위 주석과 형태소 단위 주석 26
2.4.4 토큰 주석과 범위 주석 28
제 3 장 사건 표현 31
3.1 사건 표현의 개념 33
3.2 사건의 판별 34
3.2.1 어휘의미론적 판별 34
3.2.2 텍스트 내에서 시간성의 확보 35
3.2.3 사건 판별의 대상 단위 37
3.3 어휘 부류와 사건 표현 39
3.3.1 행위 명사 40
3.3.2 사건 명사 43
3.3.3 상태 명사 45
3.3.4 구체 명사 46
3.3.5 수량 표현 49
3.3.6 형식 용언 및 형식 명사 50
3.3.7 어미 53
3.4 사건의 부류 56
3.4.1 분류 목적과 기준 56
3.4.2 발생 부류 59
3.4.3 상태 부류 59
3.4.4 상적 부류 60
3.4.5 보고 부류 61
3.4.6 지각 부류 62
3.4.7 내포 행위 부류 64
3.4.8 내포 상태 부류 66
3.5 사건의 시간 속성 67
3.5.1 문법적 속성과 시간 의미 67
3.5.2 시상 체계 68
3.5.3 상 69
3.5.4 시제 72
3.5.5 법과 양상 73
3.6 사건 정보의 형식화 73
제 4 장 시간 표현 77
4.1 시간 표현의 개념 78
4.2 시간 표현의 판별 82
4.2.1 어휘론적 기준 82
4.2.2 텍스트 내 시간성의 확보 83
4.3 시간 표현의 유형 86
4.3.1 시간 86
4.3.2 날짜 87
4.3.3 기간 87
4.3.4 집합 88
4.4 시간 표현의 속성 89
4.4.1 기본 속성 89
4.4.2 시점 표현의 속성 91
4.4.3 시구간 표현의 속성 92
4.4.4 집합 시간 표현의 속성 93
4.4.5 시간 값의 형식화 94
4.5 시간 정보의 추론 99
제 5 장 시간 관계 103
5.1 시간 관계의 체계 104
5.2 시간 관계의 언어 정보 105
5.3 상적 연결 106
5.3.1 상적 연결 분석의 필요성 106
5.3.2 상적 연결의 유형 107
5.3.3 상적 연결과 문형 108
5.3.4 상적 연결에 의한 유형 강제 110
5.4 종속적 연결 112
5.4.1 종속적 연결의 분석 대상 112
5.4.2 종속적 연결의 유형 114
5.4.3 종속적 연결과 문형 122
5.5 시간적 연결 128
5.5.1 분석 대상 128
5.5.2 시간적 연결의 유형과 속성 134
5.5.3 시간적 연결과 문형 136
제 6 장 결론 153
부록 157
A 한국어 타임뱅크 158
B 사건 표현 사전 165
C 시간 표현 사전 312
참고 문헌 405
찾아보기 417
책속에서
이 책에서는 실제로 텍스트를 분석하여 사건과 시간 표현의 시간 의미를 ISO-TimeML이라는 형식 언어의 틀을 빌려 주석하기 위한 연구이며 더 나아가 이렇게 주석된 시간 의미 분석 말뭉치를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에 이용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기능 요소들을 분리하여 분석하고 그 의미를 주석하는 것은 자연언어처리를 위한 유용한 자원이 된다.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어 시간 의미의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국어학 및 언어학에서도 문장 단위의 시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텍스트 차원에서의 시간 의미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해외에서도 최근에서야 선도적인 연구자들이 논의를 집중하기 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