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88952129437
· 쪽수 : 468쪽
· 출판일 : 2020-02-05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수목의학의 역사
1-1 의학과 수의학
1-2 식물의학
1-3 수목의학
1-4 외국 수목의학의 발달 역사
1-5 국내 수목의학의 발달 역사
제2장 수목의 구조
2-1 구조와 기능의 연관성
2-2 수목의 특성
2-3 수목의 연령별 형태
2-4 수목의 기본구조
제3장 수목의 생장
3-1 수목의 생장점
3-2 수고생장과 수고생장형
3-3 직경생장
3-4 뿌리생장
3-5 생식생장
제4장 수목의 생리
4-1 햇빛에 대한 생리적 반응
4-2 에너지 대사
4-3 물질이동과 배분
4-4 수분 생리
4-5 유기물 대사
4-6 무기영양
4-7 식물호르몬 생리
4-8 개화 생리
제5장 수목의 발병
5-1 수목의 병
5-2 수목 병의 원인 분류
5-3 병해충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5-4 발병기작
5-5 환경 영향과 발병
5-6 수목 피해의 결과: 죽은 부분과 산 부분의 분리
제6장 수목의 병해충 진단
6-1 인체 진단의학과 수목 진단의학
6-2 진단전문가의 자세
6-3 피해발생상황 조사
6-4 수목 진단 기구
6-5 검사실 분석과 조사
6-6 샤이고메터
6-7 진단과정
6-8 전염성 병과 비전염성 병의 구별
6-9 병징과 표징
6-10 해충 피해진단
6-11 피해원인별 병징과 진단법
제7장 수목의 전염성 병
7-1 수목 전염성 병원균의 종류
7-2 전염성 병의 발병 부위와 공통 병징에 따른 분류
7-3 곰팡이병
7-4 세균병
7-5 바이러스병
7-6 파이토플라스마병
7-7 선충병
7-8 조류에 의한 병
7-9 기생식물에 의한 병
7-10 주요 조경수의 주요 전염성 병
제8장 수목의 해충
8-1 곤충의 특성
8-2 곤충의 분류
8-3 해충의 종류
8-4 가해습성에 의한 해충의 분류
8-5 피해증상과 가해흔적에 의한 해충 구분
8-6 주요 조경수 해충의 종 다양성
8-7 국내 주요 해충
제9장 수목의 비전염성 병
9-1 기상적 요인에 의한 병
9-2 토양적 요인에 의한 병
9-3 생물적 요인에 의한 병
9-4 인위적 요인에 의한 병
9-5 기타 요인에 의한 비정상적인 현상
제10장 수목의 치료
10-1 수간주사
10-2 엽면시비
10-3 토양관주
10-4 부러진 가지 치료: 전정
10-5 수피 상처치료
10-6 수간 외과수술
10-7 뿌리 외과수술
10-8 지지보조물 설치
제11장 수목의 병해충 방제
11-1 수목의 병해충 저항성
11-2 국가적 및 법적 방제
11-3 유전적 방제
11-4 생물적 방제
11-5 재배적 방제
11-6 매개충 제거
11-7 기계적 방제
11-8 화학적 방제
제12장 수목의 건강관리
12-1 수목의 자연방어능력
12-2 환경스트레스와 수목의 건강
12-3 식물건강관리
12-4 건강증진을 위한 수목관리
인용 및 참고 문헌
찾아보기(국문/영문)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목의학은 다른 학문, 특히 식물의학에 없는 고유한 영역도 가지고 있다. 수종별 전염성 병, 줄기 궤양, 수간 천공성 해충, 잦은 기상재해와 인위적 피해, 이로 인한 비전염성 병의 치료, 가지치기 이론과 실제, 줄기 상처의 보호와 방어, 수간주사, 수간의 외과수술 등의 기술은 독특한 영역이며, 이 책에서 자세히 다루게 된다.
식물에서 생명현상을 나타내는 부분은 모두 살아 있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생명현상이란 세포분열, 세포신장, 세포분화, 광합성, 호흡, 기공개폐, 물질저장, 분비 등의 기능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러한 생명현상은 모두 살아 있는 유세포(柔細胞, parenchyma cell)에서만 나타난다. 그 이유는 유세포에만 위의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관련 효소(酵素, enzyme), 원형질(原形質, protoplasm), 세포막(細胞膜, cell membrane)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자유생장을 하는 수종일수록 나이를 먹으면서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한 개체 내에 불규칙하게 고정생장과 자유생장을 하는 가지가 섞여 있어 수형(tree form)이 불규칙하게 된다. 느티나무는 기본적으로 자유생장을 하지만, 성숙하면 고정생장을 하는 가지의 비율이 늘어나서 수형이 불규칙해진다. 일부 단풍나무도 자유생장을 하지만, 일부 가지에서만 자유생장을 하여 수형이 균형을 잃어버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