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88952130730
· 쪽수 : 448쪽
· 출판일 : 2022-03-20
책 소개
목차
1장 수목의 가치와 종류
1.1 수목의 이용 역사
1.2 수목의 가치
1.3 수목의 종류
1.4 수목관리학
2장 수목의 구조
2.1 수목의 특징
2.2 수목의 구조: 잎, 눈, 줄기, 뿌리
3장 수목의 생장
3.1 수고생장
3.2 직경생장
3.3 뿌리생장
3.4 생식생장
3.5 수형과 수관형
3.6 생장과 햇빛과의 관계
4장 조경수 선택
4.1 식재 목적
4.2 수종 고유의 특성
4.3 환경내성
4.4 적지적수 개념
4.5 사회적 요구
4.6 법적 권장과 제한
4.7 미래의 재산가치
4.8 용도별 수종 선택
4.9 가로수종 선택
5장 전정과 수형 조절
5.1 기초지식: 침엽수와 활엽수의 차이
5.2 전정의 목적
5.3 전정
5.4 수형 조절
5.5 특수전정
6장 조경수 이식
6.1 이식목의 품질, 규격, 이식성공률
6.2 이식 시기
6.3 사전작업
6.4 굴취와 근분 제작
6.5 운반과 보관
6.6 식재
6.7 사후작업
6.8 수목이식 시 주의사항과 실패 사례
7장 토양 관리
7.1 기초지식: 토양의 성질
7.2 시비
7.3 관수
7.4 토양개량
7.5 멀칭
7.6 유실토양 관리
7.7 토목공사로 인한 토양 변경
8장 특수지역 식재와 수목관리
8.1 포장지역 식재
8.2 경사지와 절개지 식재
8.3 성토지와 매립지 식재
8.4 플랜터 식재
8.5 실내 조경
8.6 방음식수대 조성
8.7 방풍림 조성
8.8 공업단지 주변 식재
8.9 옥상 조경
8.10 내화조경
8.11 하수관 침투 뿌리관리
8.12 수목생장 조절
9장 비전염성병 관리
9.1 비전염성병
9.2 피해진단: 전염성병과 비전염성병의 구별
9.3 토양적 요인에 의한 피해
9.4 기상적 피해
9.5 생물적 피해
9.6 인위적 피해
9.7 월동 대책
10장 전염성병 관리
10.1 기초지식
10.2 수목병의 진단
10.3 병균과 발병부위에 따른 수목 전염성병의 구분
10.4 주요한 수목 전염성병
10.5 수병과 수목생육환경과의 관계
10.6 수목병의 방제와 치료
11장 해충관리
11.1 수목해충의 종류
11.2 피해 증상과 가해 흔적에 의한 해충 구분
11.3 국내 주요 조경수 해충
11.4 해충과 수목생육환경과의 관계
11.5 해충의 방제
12장 상처치료와 외과수술
12.1 지지력 보강
12.2 상처치료
12.3 뿌리수술
12.4 수간외과수술
13장 농약관리
13.1 농약의 종류와 분류
13.2 농약 사용 적기
13.3 농약의 사용법
13.4 농약 사용상의 주의사항
13.5 약해
13.6 농약중독과 해독
14장 위험수목 관리
14.1 수목위험을 유발하는 상황
14.2 수목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4.3 수목위험 평가기준
14.4 목재 부패 측정법
14.5 수목위험 평가방법
14.6 수목위험 평가 사례
14.7 수목위해 저감 대책
14.8 위험수목 제거
15장 관리장비와 자재
15.1 조경수 관리장비
15.2 조경수 관리자재
참고문헌
찾아보기(국문)
찾아보기(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