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음악
· ISBN : 9788952132246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4-01-10
책 소개
목차
서문
들어가는 글
1. 논의의 출발점
2. 책의 구성과 목적
1부 글로벌 시대의 서양음악, 탈중심화로 가다
1. 문화계 내 이분법 구도 해체
2. 현대음악에서 국가 간 위계질서 변화
2부 21세기 서양 예술음악과 한국음악의 상호문화적 만남
1.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접근 계기
1.1. 해외에서 한국음악 공연의 활성화
1.2. 한국 연주자와 앙상블을 통한 상호 협업
1.3. 한국음악 관련 워크숍과 학술적 상호 교류
2. 서양 예술음악에서 한국음악의 수용 전개
2.1. 20세기 서양 작곡가들의 아시아 인식
2.2. 한국 음악가들의 세계 진출 및 서양 작곡가와의 교류
2.3. 21세기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탐색 현황
3부 서양이 구현한 한국, 유형별 음악 읽기
1. 작품에 스며든 한국의 전통문화
1.1. 한국의 문학작품 참조하기
- 오스본의 〈해를 잡아매야〉|슈타머의 〈풀잎 소리〉|레드몬드의 〈캄캄한 눈을 감았네〉
1.2. 한국의 시각적 형상물 참조하기
- 레드몬드의 〈여백〉|드제르의 〈잠시 눈을 감으면〉|모저의 〈살풀이〉
1.3. 대표작: 마이어링의 〈마르시아스〉 톺아보기
2. 이중문화적 악기의 교차 및 대결
2.1. 상대 악기의 아티큘레이션을 이식한 상호교차
- 블루멘탈러의 〈근사치〉, 〈칸티코〉
2.2. 이질적인 두 세계를 형성하는 악기 간 대조
- 메히노빅의 〈세계 사이〉
2.3. 대표작: 워맥의 〈뒤얽힘〉 톺아보기
3. 전통 주법과 기보의 현대적 변용
3.1. 시김새와 농현 맵시의 다변화
- 위푸르드의 〈농현〉|루이스의 〈여행자의 꿈〉|슈넬러의 〈전이〉
3.2. 신체 개입으로 악기의 음색 확장
- 하켄베르크의 〈도날드 경〉|마틴의 〈선택적 유사성〉, 〈아인플루스〉
3.3. 오선보의 변용과 정간보의 재해석
- 존 유의 〈솜〉|레드몬드의 〈영영 사그라지는 불〉, 〈검은 꽃 피다〉, 〈신탁〉
3.4. 대표작: 존 유의 〈목구멍 없이 흥얼거리는 척추〉 톺아보기
4. 한국 전통 형식의 해체
4.1. 전통 산조 선율의 해체 및 재조합
- 폴러의 〈6개의 허튼가락들〉, 〈산조 리믹스〉
4.2. 뉴컴플렉시티 기류에서 전통 형식의 파편화
- 클라렌의 〈끝없는 여름〉
4.3. 대표작: 클라렌의 〈오늘, 나는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 톺아보기
4부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 새로운 미학적 의미
1. 문화적 소리: 틈새의 미학
2. 창작 원리: 헤테로포니 텍스처와 혼종성 미학
3. 정신: 서양 작곡가들의 성찰적 의식과 포스트식민주의 미학
맺음말: 반성적 글로벌라이제이션을 향하여
참고문헌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