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1세기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

21세기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수용)

손민경 (지은이)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4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6,000원 -0% 0원
2,300원
43,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43,01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1세기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1세기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수용)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음악
· ISBN : 9788952132246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4-01-10

책 소개

글로벌 시대에 들어 전 세계적으로 이질적인 문화 간 혼종화가 커지면서 일어난 ‘서양 예술음악의 탈중심화’를 조명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구체적으로 서양과 한국을 비롯한 자문화와 타문화, 주체와 타자, 동양과 서양 관계 속에서 미적 감수성을 탐색해 본다.

목차

서문

들어가는 글
1. 논의의 출발점
2. 책의 구성과 목적

1부 글로벌 시대의 서양음악, 탈중심화로 가다
1. 문화계 내 이분법 구도 해체
2. 현대음악에서 국가 간 위계질서 변화

2부 21세기 서양 예술음악과 한국음악의 상호문화적 만남
1.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접근 계기
1.1. 해외에서 한국음악 공연의 활성화
1.2. 한국 연주자와 앙상블을 통한 상호 협업
1.3. 한국음악 관련 워크숍과 학술적 상호 교류

2. 서양 예술음악에서 한국음악의 수용 전개
2.1. 20세기 서양 작곡가들의 아시아 인식
2.2. 한국 음악가들의 세계 진출 및 서양 작곡가와의 교류
2.3. 21세기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탐색 현황

3부 서양이 구현한 한국, 유형별 음악 읽기
1. 작품에 스며든 한국의 전통문화
1.1. 한국의 문학작품 참조하기
- 오스본의 〈해를 잡아매야〉|슈타머의 〈풀잎 소리〉|레드몬드의 〈캄캄한 눈을 감았네〉
1.2. 한국의 시각적 형상물 참조하기
- 레드몬드의 〈여백〉|드제르의 〈잠시 눈을 감으면〉|모저의 〈살풀이〉
1.3. 대표작: 마이어링의 〈마르시아스〉 톺아보기

2. 이중문화적 악기의 교차 및 대결
2.1. 상대 악기의 아티큘레이션을 이식한 상호교차
- 블루멘탈러의 〈근사치〉, 〈칸티코〉
2.2. 이질적인 두 세계를 형성하는 악기 간 대조
- 메히노빅의 〈세계 사이〉
2.3. 대표작: 워맥의 〈뒤얽힘〉 톺아보기

3. 전통 주법과 기보의 현대적 변용
3.1. 시김새와 농현 맵시의 다변화
- 위푸르드의 〈농현〉|루이스의 〈여행자의 꿈〉|슈넬러의 〈전이〉
3.2. 신체 개입으로 악기의 음색 확장
- 하켄베르크의 〈도날드 경〉|마틴의 〈선택적 유사성〉, 〈아인플루스〉
3.3. 오선보의 변용과 정간보의 재해석
- 존 유의 〈솜〉|레드몬드의 〈영영 사그라지는 불〉, 〈검은 꽃 피다〉, 〈신탁〉
3.4. 대표작: 존 유의 〈목구멍 없이 흥얼거리는 척추〉 톺아보기

4. 한국 전통 형식의 해체
4.1. 전통 산조 선율의 해체 및 재조합
- 폴러의 〈6개의 허튼가락들〉, 〈산조 리믹스〉
4.2. 뉴컴플렉시티 기류에서 전통 형식의 파편화
- 클라렌의 〈끝없는 여름〉
4.3. 대표작: 클라렌의 〈오늘, 나는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 톺아보기

4부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 새로운 미학적 의미
1. 문화적 소리: 틈새의 미학
2. 창작 원리: 헤테로포니 텍스처와 혼종성 미학
3. 정신: 서양 작곡가들의 성찰적 의식과 포스트식민주의 미학

맺음말: 반성적 글로벌라이제이션을 향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손민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작곡과(이론전공)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음악학으로 석사 학위를 받은 뒤 “Western Composers’ Encounter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을 주제로 서울대학교에서 음악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022-23년 풀브라이트 장학금을 수혜하여 하버드대학교 음악학과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였고, 현재 서울대학교 동양음악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글로벌 시대 서양과 한국의 음악 문화 교류 현상을 추적하고, 음악의 예술 미학적 의미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창작음악-비평과 해석 사이 시리즈 1-7권 필진과 편집위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대회와 저널에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하였다. 주요 논문으로 “Negating Nationalist Frameworks: Aesthetics of Unsuk Chin’s Musical Individualism in Twenty-First-Century East Asian Composition”(Asian Music, 2022), 「미국 포스트모더니즘 작곡가 존 존의 음악에서 문화 전유된 한국 여성: 두 명의 드러머와 여성 소프라노를 위한 〈황진이〉(1997)를 중심으로」(한국예술연구, 2022), 「다니엘 모저(Daniel Moser)의 작품 《살풀이》를 통해 본 21세기 음악에서의 탈식민주의 담론」(음악이론연구, 2023), 「서울시향 초대 지휘자 김생려의 한국 교향악운동: 20세기 중반 한-미교류를 중심으로」(음악이론연구, 2024), 「미국 현대음악 속 국악 연주자의 협업 음악 연구: 가민-로텐베르크(Ned Rothenberg), 김도연-모린(Chase Morrin)을 중심으로」(이화음악논집, 2024), “Reflections on the Challenges of Musical Representations of Korean Historical Texts”(Music & Politics,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