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논술참고도서
· ISBN : 9788952205674
· 쪽수 : 408쪽
· 출판일 : 2006-10-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문학은 닫혀 있는 사회를 열어주는 축복의 통로이다
I. 하나의 주제로 한 작품 살펴보기
1. ‘모두’가 잘 사는 사회는 불가능한 꿈인가?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조세희
2. 사회는 누구에 의해 움직이는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문열
3. 우리 사회의 평화와 정의는 무엇인가?
『태평천하』 채만식
4. 앎이란 무엇인가?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 최시한
5. 복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홍염」 최서해
II. 하나의 주제로 다양한 작품 살펴보기
1. ‘흥부’는 악하고 ‘놀부’는 선한가?
『신재효 판소리 사설』 신재효, 『놀부뎐』 최인훈
2. 가난하면 사랑도 버려야 하는가?
「가난한 사랑 노래」 신경림, 「노동의 새벽」 박노해
3. 노인은 소외될 수밖에 없는가?
「황혼」 박완서, 「흐르는 북」 최일남
4. 동료의 비윤리적 행위를 고발하는 것은 과연 비윤리적인 행위인가?
『국물 있사옵니다』 이근삼,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이문열
5. 생계를 위한 매춘은 정당화될 수 있는가?
「소낙비」 김유정, 「서울길」 김지하
6. 인간의 허황된 꿈의 끝은 어디인가?
「복덕방」 이태준, 「금 따는 콩밭」 김유정
7. 정상인과 다르면 비정상적인 사람인가?
「인간단지」 김정한, 「전라도 길」 한하운, 「문둥이」 서정주
III. 다양한 주제로 한 작품 살펴보기
『그 여자네 집』 박완서
1. 진정 국가는 개인을 위해 존재하는가?
개인과 국가로 읽는 『그 여자네 집』
2. 행복의 파랑새는 어디에 있는가?
개인과 행복으로 읽는 『그 여자네 집』
3. 우리의 역사 ‘서술’되고 있는가, ‘왜곡’되고 있는가?
개인과 역사로 읽는 『그 여자네 집』
「레디메이드인생」 채만식
4.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는 사람들 무엇이 문제인가?
고학력과 실업으로 읽는 「레디메이드 인생」
5. 학력 제일주의 무엇이 문제인가?
교육과 계층으로 읽는 「레디메이드 인생」
「규원가」 허난설헌
6. 과연 21세기를 여성들의 시대라고 할 수 있는가?
남성과 여성으로 읽는 「규원가」
7. 외모는 경쟁력이 될 수 있는가?
외모열풍으로 읽는 「규원가」
리뷰
책속에서
저명한 사회학자 롤스(John Rawls, 1921~2002)는 인간이 불평등하게 되는 데는 사회적 우연과 자연적 우연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사회적 우연이란 이를테면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나는 것과 같은 것이고 자연적 우연이란 타고난 능력이나 조건의 차이를 말한다. 이 두 가지 우연은 도덕적인 관점에서 볼 때 모두 정당화될 수 없는 자의적인 요인들이다. 따라서 롤스는 이러한 우연에 의한 기득권을 그대로 방임하는 것은 정의가 아니라고 한다.
그러니까 소설 <난쟁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 속 난쟁이 가족 빈곤의 원인은 그들에게 있다기보다는, 사회적 우연과 자연적 우연 등에 의해 발생하는 사회적 불평등을 그냥 내버려 둔 채 달려온 1970년대 우리 사회의 낮은 수준의 정의관 및 불평등을 잔인할 정도로 확대재생산해 온 구조적 문제에 있다고 하겠다. - 본문 27쪽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