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52234698
· 쪽수 : 480쪽
· 출판일 : 2016-09-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이제, 미래는 인도에 있다!
제1부 지구의 Next 시장, 인도 & 인도의 Next 세대
---청년, 인도의 비밀무기
제1장 왜 중국이 아니고 인도지?
제2장 젊은 인도인들, 넌 어느 별에서 왔니?
제3장 그들의 고민: 가족, 미래, 그리고 탈출구
제4장 강남도 울고 갈 인도 교육시장
제2부 인도 소비자 & 인도 마케팅
---넓은 나라 인도에서 고객 찾기
제1장 인도 소비자를 알면 시장이 보인다
제2장 변화하는 인도 소비자, IT가 소비를 바꾼다
제3장 최신 인도 마케팅 트렌드와 마케팅 비법 하나
제4장 인도에서 우리 고객 찾기
제3부 스타트업 인디아 & 스탠드업 인디아
---디지털, 앱, 게임 없이는 살 수 없다
제1장 디지털과 콘텐츠에 열광하는 인도
제2장 어플리케이션이 만들어낸 디지털 부자
제3장 게임, 날씨만큼 뜨거운 시장
제4부 콘텐츠의 진화 & 진화된 콘텐츠가 만드는 세계
---영화, 음악, 애니를 활용하라
제1장 영화, 인도인 삶의 중심 콘텐츠
제2장 음악, 영화 음악과 디지털 시장만 남다
제3장 애니메이션, 디지털 생태계 성장의 핵심
제5부 인도를 알기 & 인도인과 일하기
---곧바로 써먹을 수 있는 꿀팁
제1장 인도를 알자, 인도라는 브랜드를 알자
제2장 인도 사람과 함께하기
제3장 그래도 인도에 진출하겠다면
맺음말 책으로 체험하는 마지막 선택지로서의 인도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인도가 불확실한 시장이라고 알고 있는데 왜 인도를 미래 시장이라고 말하죠?
하지만 중국과 다른 인도시장의 진정한 매력은 뭘까? 바로 인도의 미래인 젊은이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들은 중국과 다른 차별적 가치를 지닌다. 즉 소비하는 소비자이면서 생산자이자 또 그것을 글로벌로 수출하는 개척자다.
최근 뜨고 있는 콘텐츠를 예를 들자면, 인도에서 만들어진 콘텐츠들은 중국과는 달리 자국에서만 소비되지 않고 영어라는 무기와 해외 거주 인도인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널리 퍼져나가고 있으니 말이다. 때로는 그들 자신이 훌륭한 수출품(?)이 되어 해외를 개척하고 있다.
왜 인도는 한국에 관심을 갖고 있나요?
필자가 기업에서 글로벌 브랜드 전략을 담당했을 때와 대통령직속국가브랜드위원회에서 근무하면서 우리나라의 글로벌 이미지를 조사한 적이 있다. 그런데 아쉽게도 선진국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낮았다. 하지만 한 인도 언론인은 성격 급한 인도인들에게 한국인들의 빨리빨리 문화가 딱 들어맞는다고 언급했다. 인도인은 급하기만 했지 업무 효율과 퀄리티는 낮은 반면 한국인은 일처리도 빠르고 퀄리티도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는 인도인이 한국인에게 배워야 할 점이라고 의아하게 생각했던 나에게 설명했다.
인도는 세계에서 몇 안 되는 우리나라 기업 브랜드 이미지가 일본 브랜드 이미지와 비슷한 나라 중 하나다. 일본 미쓰비시와 함께 뉴델리 지하철에도 한국이 참여했고, 전자 분야에서는 일본을 누른 지 오래고, 자동차 시장에서도 일본 브랜드보다 한국 브랜드 이미지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인도에서 한국 기업들이 성공을 하는 이유는 인도가 세계에 문을 열었을 때 일찌감치 진출한 선점 효과와 더불어 일본이 가지지 못한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가장 최근에 인도가 원하는 성공의 모델을 가지고 있고, 또한 성공하는 방법도 공유하기 때문이다.
인도가 그렇게 부패도 심하고 사업하기 어렵다고 하던데 어떤가요?
친한 친구가 나에게 “넌 인도에서 살아봤잖아? 인도에서 사업하기 어때?”라고 묻는다면 ‘온탕과 냉탕이 공존하는 혼돈의 시장’이라고 답해줄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 VUCA, 즉 상황이 ‘변동적이고(Volatile) 불확실하며(Uncertain) 복잡하고(Complex) 모호한(Ambiguous)’ 시장이다. 인도의 경제수준은 흔히 이야기하는 1인당 국민소득으로 따져보면 2015년 기준 1,834달러(명목소득 기준, IMF 자료)로, 중국 8,280달러에 비해 현저한 차이가 난다(참고로 한국은 2만 7,513달러). 하지만 최근 일반적으로 쓰는 PPP 기준으로 따지면 6,266달러로 상당히 높은 수준까지 올라간다.
경제규모 면에서만 따져본다면, 인도는 세계 7위의 GDP(명목소득 기준, 2014년 IMF 자료) 수준이며, PPP 기준으로 우리 이웃인 일본을 2012년에 일찌감치 제쳐 이미 세계 3위의 경제대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