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88952238535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0-03-02
책 소개
목차
머리말|도자기를 통해 보는 새로운 역사
제1장 최초의 도자기, 청자의 탄생
01 중국인의 옥에 대한 환상
02 청동 그릇을 본뜬 원시 청자
03 청자가 널리 퍼지다
04 옥에 비유되는 청자의 등장
05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중국 청자
제2장 전성기를 맞이하는 청자
01 송나라, 문화 부흥기를 맞이하다
02 여요와 관요
03 고려청자의 탄생
04 청자의 완성, 용천요 청자
05 청자를 만날 수 있는 박물관
제3장 새로운 제국 질서와 청화백자의 탄생
01 드디어 밝혀진 청화백자 역사의 공백
02 원나라 도자기 산업
03 원나라 청화백자의 특징
04 세계로 퍼져나간 원나라 청화백자
05 청화백자를 만날 수 있는 박물관
제4장 명·청 청화백자의 전성기
01 명나라 개국과 청화백자의 발전
02 수출용 도자기, 엄청난 인기를 누리다
03 청나라로 이어진 청화백자
04 새로운 주인공이 된 채색 자기
05 조선의 청화백자
제5장 세계로 퍼져나가는 도자기 문화
01 서아시아의 도자기 산업
02 임진왜란과 일본의 도자기
03 중세·근대 유럽의 도자기 열풍
04 일본에서 유행한 조선의 도자기
05 세계 곳곳에 들어선 도자기 전시실
맺음말|우리와 가장 가까운 공예품
참고문헌
연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세계사를 읽는 방법은 대부분 인물·국가·사건을 중심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바로 옆에 있는 흔해 보이는 상품도 역사적 의미를 깊이 살펴보면 뜻밖에 수많은 사람과 세월을 거치면서 현재의 모습으로 자리 잡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도자기다. 도자기를 통해 그 기물이 만들어지던 사회의 모습과 흐름을 읽어본다면 역사를 새로운 각도로 해석하는 눈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청자가 이렇게 도자기를 상징하는 얼굴이 되니 곧 인기 있는 수출용 상품으로도 자리매김했다. 9세기 들어 월주요 청자는 한반도와 일본을 넘어 동남아시아, 서아시아, 멀리는 이집트 지역까지 수출되었으며, 당나라 멸망 후 월주요 청자 생산 지역에 세워진 오월국에서는 청자 생산으로 국가를 운영할 자금까지 마련할 정도였다. 사실 오월국은 나라 규모가 크지 않아서 분열기인 오대십국 시대에도 대외적으로는 감히 황제라 부르지 못하고 왕이라 부를 정도로 위세가 작았다. 그럼에도 청자가 지닌 힘으로 오랜 기간 국가를 지속할 수 있었다. 비색 청자를 중국 내 세력이 큰 국가에공납 형식으로 제공함으로써 끈질긴 수명을 유지했기 때문이다.
한국의 대표 유물이 중심이 된 전시임에도 한국 기관만 빠진 채 이루어진다는 것은 묘한 아쉬움으로 다가온다. 요즘은 박물관이 단순히 소장품 수준만으로 평가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관과 교류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 관람객에게 보여주는 능력이 뛰어날수록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사실을 비추어볼 때 한국 박물관도 조금 더 열린 사고로 다양한 도전을 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한국 박물관에 부족한 중국 청자도 세계 박물관과 교류한다면 상당한 부분을 메울 수 있을 테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