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사/건축일반
· ISBN : 9788952730220
· 쪽수 : 313쪽
· 출판일 : 2003-08-04
책 소개
목차
- 한국어판를 위한 서문
Ⅰ 근대의 여러 조건
1. 영국의 산업혁명 2. 새로운 공간 3. 이념 모델
Ⅱ 합리주의 이념
1. 신고전주의 2. 고전 모델
Ⅲ 초기공업화 시대의 재료와 양식
1. 초기공업화 시대의 기술 2. 엔지니어의 양식
3. 새로운 재료의 양식 - 철 4. 새로운 재료의 양식 - 유리
Ⅳ 도시와 교외주택
1. 도시와 도로 - 런던 개조 2. 도시와 광장 - 파리 개조
3. 이상적인 집합주택 4. 유토피아 사상 5. 전원도시와 교외주택
Ⅴ 리바이벌리즘
1. 픽처레스크 2. 낭만주의적 리바이벌 3. 고딕 리바이벌 4. 내셔널리즘과 양식
Ⅵ 초기근대의 운동
1. 아르누보 2. 로맨틱 내셔널리즘 3. 빈의 움직임 4. 독일공작연맹
Ⅶ 근대 운동과 건축가
1. 건축가의 존재 양상 2. 바우하우스 3. CIAM에서 UIA로
Ⅷ 전위운동
1. 미래파 2. 표현주의 3. 데 스틸 4. 러시아 구성주의 5. 르 코르뷔지에
Ⅸ 현실의 표현
1. 시카고파 2.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3. 암스테르담파와 영국 경험주의 4. 아르 데코
Ⅹ 공업화 사회의 건축
1. 20세기의 고전주의 2. 미국의 고전주의 3. 근대적 마천루로 가는 길
4. 고전주의의 또 다른 귀결 5. 미스 반 데어 로에
6. 표현주의적 유리 7. 전후의 마천루
전후에서 현대로
1. 현대의 시작 2. 근대 건축의 종언 3. 보편성에서 고유성으로
참고문헌 목록 / 도판 목록 / 도판 출전 / 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건축이란 어떠한 사람들이 무엇에 의지해서, 무엇을 이미지화해 만들어냈는가를 분석하는 것으로 상당한 부분 본질을 밝힐 수 있다. 개개의 근대 건축사를 볼 때도, 각각의 움직임이 어떤 이념을 모델로 하고 있는지를 상기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근대화 과정에서 무엇을 보았는지 드러나기 때문이다. (p. 2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