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부모교육
· ISBN : 9788952775108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5-10-3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부부 사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부부싸움이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부부싸움에도 레벨이 있다 / 부부와 아이는 어떻게 영향을 주고받을까? / 부부 사이는 아이의 신체에 어떤 영향을 줄까? / 부부 사이는 아이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줄까?
BOX. 아이에게 영향을 주는 부부싸움의 6가지 요소
부부 사이 갈등에 따라 달라지는 아이들
폭력적인 아빠, 우울한 엄마-공격적인 아이 / 자주 싸우는 부모-자책하는 아이 / 편 가르는 부모-왕따당하는 아이 / 자녀에게 무관심한 쇼윈도 부부-엇나가는 아이 / 아빠 닮은 아이를 미워하는 엄마-자신감 없는 아이 / 무관심한 부부-비관적인 아이
BOX. 대화를 단절시키는 말 vs. 유지시키는 말
부부 관계의 불안정(외도)에 흔들리는 아이들
부모를 믿지 못하는 아이 / 부모의 이혼에 죄책감을 느끼는 아이 / 부모가 부끄러운 아이 / 사랑과 결혼의 의미에 혼란을 느끼는 성인 자녀 / 배신한 부모에 대한 애증과 배신당한 부모에 대한 원망 / 부모에 대한 분노를 자기파괴적 행동으로 드러내는 아이
BOX. 부모의 외도를 맞닥뜨린 아이에 대한 대처법
자신으로 인한 부부 갈등에 상처받는 아이들
혼내는 아빠, 이르는 엄마 / 아이 교육에 올인하는 엄마, 못마땅한 아빠 / ‘넌 누구 닮았니?’ 탓하는 부모, 주눅 든 아이 / 아이 진로에 생각이 다른 부모, 혼란스러운 아이 / 기러기 가정, 부부간 거리만큼 멀어진 아이의 마음
BOX. 일관성 있는 자녀교육을 위해 알아야 할 것들
부모의 나쁜 점을 닮아가는 아이들
아내를 무시하는 아빠, 여자를 무시하는 아들 / 남편의 결점을 들추는 아내, 아빠를 비꼬는 딸 / 불성실한 아빠를 미워하면서 닮아가는 아들 / 폭력적인 아빠에 폭력적인 아들 / 나쁜 남자만 만나는 딸
BOX. 가정폭력을 참지 말아야 하는 이유
PART 2. 내 아이를 위한 현명한 부부 사이 만들기
결혼생활에서의 갈등 다루기
서로 다른 것이지 틀린 것이 아님을 인정하기 / 무승부법 사용하기 / 조금 더 손해 보고 양보하기 / 부부간 일은 부부끼리 해결하기 / 부부가 함께 결정하기
BOX. 우리 부부 갈등관리법
현명한 싸움의 기술
일어난 일만 가지고 다투기/ 배우자나 그 가족의 약점은 들추지 말기/ 이기려 하지 말고, 먼저 사과하기/당장에 모든 것을 해결하려 하지 말기/싸움 후에는 빨리 화해하기/아이에게 화해했음을 알리기
BOX. 부부싸움에서 이기는 법
부부간 지혜로운 대화법
잘 들어주고 공감하기 / 요구보다 부탁하기 / 나 전달법 사용하기 / 칭찬과 격려하기 / 한 마디로 말하기
BOX. 화목한 가정을 위한 지혜로운 한 마디
부부 사이 단단하게 만들기
역할 바꿔보기 / 관심사나 취미 공유하기 / 관심을 표현하고 감사 전하기 / 부부만의 시간 갖기 / 글로 마음 이어가기
BOX. 부부 사이 가까워지는 법
PART 3. 어쩔 수 없는 선택, 그 후
헤어진 이후 생길 수 있는 일들
아이에게 헤어진 사실을 어떻게 알려야 할까
BOX. 헤어진 이후 아이와의 첫 대화
헤어진 부모, 아이들에 대한 고민
아이가 자기 감정을 전혀 드러내지 않아요 / 같이 살지 않는 아빠만 좋아하는 것 같아요 / 아이와의 사이가 예전 같지 않아요
헤어진 부모, 그 아이들의 고민
엄마 아빠의 이혼으로 모든 게 변할 것 같아 두려워요 / 이제 우리 엄마가 아닌 것 같아요: 따로 사는 부모의 재혼 / 새엄마가 생겼어요: 같이 사는 부모의 재혼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영유아기, 아동기에 부모가 싸우는 모습을 보며 느끼는 공포와 두려움의 수치는 핵전쟁을 경험하고 죽음을 목격하는 공포의 수치와 같다고 합니다. 싸움 시 발생하는 부모의 날카로운 음성, 좋지 않은 표정, 비난, 폭력은 자녀를 불안하고 긴장하게 만듭니다. 이런 가정에서 자란 아이는 자연히 부모의 눈치를 보며 소심하고 우울한 성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부싸움으로 인한 분노와 배우자에 대한 원망을 자녀에게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자녀는 이런 말을 들으면 부모에 대한 신뢰를 잃게 되고, 불안하고 혼란스러워집니다. 자신을 보호해줄 수 있고 옳은 판단을 내려줄 수 있는 믿음직스러운 부모 상을 가질 수 있어야, 이를 바탕으로 자신에 대한 확신도, 남에 대한 신뢰도 생겨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