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설교/성경연구
· ISBN : 9788953129313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7-07-24
책 소개
목차
[역대상]
서론 10
개요 18
주해 22
I. 족보들(1~9장)
A. 족장의 족보들(1장) 24
B. 유다의 족보(2장) 28
C. 다윗의 족보(3장) 31
D. 유다의 족보(4:1~23) 35
E. 시므온의 족보(4:24~43) 37
F. 요단강 건너편의 부족들의 족보(5장) 38
G. 레위의 족보(6장) 41
H. 북쪽 여섯 부족들의 족보(7장) 47
I. 베냐민의 족보(8장) 52
J. 예루살렘의 사람들(9:1~34) 54
K. 사울의 족보(9:35~44) 58
II. 다윗의 통치(10~29장)
A. 사울의 죽음(10장) 59
B. 다윗의 용사들(11~12장) 60
C. 언약궤의 운반(13장) 65
D. 다윗의 예루살렘에서의 통치(14~16장) 66
E. 성전에 대한 다윗의 열정(17장) 72
F. 다윗의 대외전쟁(18~20장) 73
G. 다윗의 인구조사와 하나님의 징계(21:1~22:1) 80
H. 성전을 위한 다윗의 계획(22:2~19) 83
I. 다윗의 신정 조직(23~27장) 86
J. 다윗의 고별연설(28:1~29:22상) 97
K. 다윗의 후계자(29:22하~30) 100
참고문헌 102
[역대하]
개요 104
주해 110
I. 솔로몬의 통치(1~9장)
A. 솔로몬의 지혜와 번영(1장) 112
B. 성전 건축(2:1~5:1) 115
C. 성전의 봉헌(5:2~7:10) 125
D. 하나님의 축복과 저주(7:11~22) 130
E. 솔로몬의 업적들(8~9장) 132
II. 다윗왕조의 통치(10~36장)
A. 르호보암(10~12장) 138
B. 아비야(13장) 143
C. 아사(14~16장) 145
D. 여호사밧(17~20장) 152
E. 여호람(21장) 160
F. 아하시야(22:1~9) 163
G. 아달랴(22:10~23:21) 164
H. 요아스(24장) 166
I. 아마샤(25장) 169
J. 웃시야(26장) 173
K. 요담(27장) 176
L. 아하스(28장) 178
M. 히스기야(29~32장) 181
N. 므낫세(33:1~20) 192
O. 아몬(33:21~25) 194
P. 요시야(34~35장) 195
Q. 여호아하스(36:1~4) 201
R. 여호아김(36:5~8) 202
S. 여호아긴(36:9~10) 203
T. 시드기야(36:11~16) 204
U. 바벨론의 예루살렘 정복과 포로생활의 시작(36:17~21) 204
V. 고레스의 칙령(36:22~23) 205
참고문헌 207
책속에서
서론
초기의 히브리어 사본에서 역대상과 역대하는 한 권의 두루마리였다. 그 책이 둘로 갈라진 것에 대한 최초의 증거는 70인역인데 이것은 BC 200년 무렵의 일이다. 원래의 자료가 역사의 기록을 하나의 나뉘지 않은 기사로 소개하였으므로, 독자는 이 책의 주장의 일관성과 발전적 인 전개를 이해하기 위하여 역대상과 역대하를 함께 읽고 연구해야만 한다.
저자
역대상·하의 저자는 구약성경에는 언급되어 있지 않지만 유대의 전승은 에스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문제에 있어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리하여 저자를 ‘역대기 기자’라고 습관적으로 언급하고 있는데, 완전히 만족할 수는 없지만 더 중요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 서는 적절한 것이라 하겠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작품 문체의 통일성, 기호, 관점으로 보아 저자가 한 사람일 것이라는 사실에 동의한다. 하지만 역대상과 역대하에서는 어느 다른 구약성경보다도 더 초기에 쓰인 여러 개의 자료들에 의존했음을 증거하고 있다. 역대상과 역대하의 반 이상이 사무엘상과 사무엘하, 그리고 열왕기상과 열왕기하에 기록되어 있는 같은 구절들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그 증거이다. 하지만 이것은 역대기 기자가 이 책들을 직접적인 자료로서 사용했다는 의미는 아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이 역대상과 역대하가 앞서 언급한 성경에서 인용했다는 증거가 거의 없다는 점에 동의한다. 반면에 ‘다윗 왕의 역대 지략’(대상 27:24), ‘이스라엘과 유다 열왕기’(대하 27:7 35:27 36:8), ‘유다와 이스라엘 열왕기’(대하 16:11 25:26 28:26 32:32), ‘이스라엘 열왕기’(대상 9:1 ‘이스라엘 왕조실록’ 대하 20:34 ‘이스라엘 열왕기’ 33:18 ‘이스라엘 왕들의 행장’), ‘선견자 사무엘의 글’(대상 29:29), ‘선지자 나단의 글’(29:29 대하 9:29), ‘선견자 갓의 글’(대상 29:29), 그 외의 기록들(대하 9:29)이 있다. 저자가 누구였든지 간에, 역대기 기자는 공식 또는 비공식 문서들을 조심스럽게 사용한 꼼꼼한 역사가였다.
저작 시기
거의 모든 성경학자들은 역대상·하는 BC 5세기말 이후에 기록된 것은 아니며 아마도 BC 400년 무렵이었을 것이라는 데 동의한다. 자유주의 비평가들은 한 때 제사장들과 레위인들에 관한 고도의 발전된 조직에 대한 자료들, 예배 중 성악과 기악의 사용, 반사마리아적 논쟁, 미드라시식(midrashic) 성경 해석을 사용한 점(설화식의 전개 또는 종교적 교훈들의 예시), 그리고 페르시아 낱말인 ‘다릭’(대상 29:7)을 언급한 점 등 최근에 논의되고 있는 특성들을 바탕으로 BC 300~250년 무렵이 저작 시기로 더 적절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특징들은 BC 5세기 이전에는 사용하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역대상과 역대하의 히브리어 특징으로 보아 BC 5세기 말보다는 초가 더 타당한 것으로 보 인다. 역대상·하에 명명된 가장 마지막 인물은 아나니, 즉 여호야긴의 8대손이다(대상 3:24). 여호야긴은 BC 598년에 바벨론에 포로로 끌려갔다. 만약 각 세대가 25년씩 할당이 된다면, 아나니는 BC 425년과 400년 사이에 태어난 것이 된다. 만약 다윗의 후손이 역대기 기자에 게 그처럼 중요했다면 부인할 수 없는 한 가지 사실이 있다. 만약 그 책 이 그 당시보다 후에 쓰였다면, 그가 400년경 이후의 다윗의 후손들을 하나도 기록하지 않았다는 것은 믿을 수 없는 일이다. 또한 이 계보론 적 자료들은 역대상·하를 제작했을 가장 최근의 시간을 정하는 데 도 움이 되는데, 이는 8세대를 계산했을 때 BC 598년과 BC 400년보다 더 빠른 어느 특정 시간 사이에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본서는 BC 400년 이전에는 기록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