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88953134515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19-04-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12
1장 이단이란 무엇인가 • 16
1. 이단이란 무엇인가
2. 무엇이 문제인가
3. 왜 일어나는가
4. 어떻게 판별할 수 있는가
5.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1부 고대 교회와 이단 논쟁
2장 신약성서와 도마복음 • 38
1. 나그함마디 문서
2. 도마복음
a. 저자
b. 저작 연대
c. 저작 장소
d. 특징
3장 기독교와 영지주의 • 67
1. 기독교적 영지주의
a. 영지주의의 기원
b. 영지주의의 특징
c. 영지주의 교사
2. 영지주의의 교리
a. 이원론
b. 하나님
. 인간
d. 그리스도
e. 구원
3. 반영지주의 교부
4장 사람으로 오신 하나님 • 96
1. 에비온주의
2. 역동적 군주론
3. 가현설
4. 아폴리나리우스주의
5. 네스토리우스주의
6. 유티케스주의
5장 삼위일체 하나님 • 123
1. 아리우스
2. 아타나시우스
3. 아리우스 논쟁
a. 니케아공의회
b. 콘스탄티노플 공의회
6장 새 계시와 시한부 종말 • 144
1. 몬타누스와 여선지자들
a. 보혜사 성령
b. 삶의 개혁
c. 몬타누스주의의 확산
2. 새 계시와 성도들의 무리
a. 교회의 분열
b. 새 계시
c. 신비주의 현상의 극단적 강조
3. 몬타누스주의 출현의 의의와 영향
7장 하나님의 은총과 자유의지• 160
1. 펠라기우스
a. 자유의지
b. 원죄
c. 하나님의 은총
2. 어거스틴
a. 자유의지
b. 원죄
c. 하나님의 은총
3. 펠라기우스 논쟁
a. 펠라기우스 논쟁
b. 반(半)펠라기우스 논쟁
8장 동방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 • 191
1. 동방 정교회
2. 동서방 교회의 분열
3. 교리 논쟁
a. 교황의 수위권
b. 성령의 기원
2부 프로테스탄트 교회와 이단 논쟁
9장 로마 가톨릭 교회와 프로테스탄트 교회 • 220
1. 칭의의 교리
a. 가톨릭 교회
b. 프로테스탄트 교회
2. 교황제도
a. 수위권
b. 교도권
c. 사면권
3. 성모 마리아
a. 가톨릭 교회
b. 프로테스탄트 교회
4. 성례전
a. 가톨릭 교회
b. 프로테스탄트 교회
5. 연옥
a. 가톨릭 교회
b. 프로테스탄트 교회
10장 칼빈주의와 알미니우스주의 • 266
1. 알미니우스의 생애
2. 도르트회의
3. 알미니우스의 신학
a. 하나님의 예정
b. 인간의 타락
c. 인간의 자유
d. 하나님의 은총과 인간의 업적
4. 항의파와 반항의파
5. 복음적 알미니우스주의와 웨슬리
11장 예수그리스도후기성도교회: 몰몬교 • 305
1. 조셉 스미스와 몰몬교의 태동
2. 새 계시와 참된 교회
a. 새 계시
b. 참된 교회
3. 육체를 지닌 하나님
4. 세 아내를 둔 그리스도
5. 누구나 가는 천국
12장 여호와의증인 • 333
1. 찰스 러셀과 여호와의증인의 태동
2. 하나님의 피조물 그리스도
3. 14만 4천 명과 다른 양
4. 지옥은 없다
a. 영혼의 소멸과 수면
b. 지옥은 없다
5. 이미 재림한 그리스도
6. 여호와의 왕국
3부 한국 교회와 이단 논쟁
13장 문선명과 통일교 • 362
1. 문선명과 통일교의 태동
a. 문선명의 생애
b. 통일교의 태동
c. 원리강론
2. 실패자 그리스도
a. 인간의 타락과 탕감 복귀
b. 예수 그리스도
c. 구속 사역의 실패자 그리스도
d. 기독교적 반론
3. 문선명과 재림주
a. 문선명과 재림주
b. 기독교적 반론
14장 박태선과 전도관 • 391
1. 기독교 장로 박태선
2. 전도관 교주 박태선
3. 천상천하의 하나님
a. 감람나무
b. 이슬 같은 은혜
c. 생수
d. 안찰
15장 김기동의 귀신론과 무속신앙 • 409
1. 김기동과 베뢰아 계열
2. 마귀와 귀신
a. 김기동 계열
b. 한국 무속신앙
. 전통 기독교
d. 비교
3. 질병과 치유
a. 김기동과 베뢰아 계열
b. 한국 무속신앙
c. 전통 기독교
d. 비교
16장 이장림과 시한부 종말론 • 439
1. 몬타누스주의
2. 밀러의 종말운동
3. 이장림의 다미선교회
17장 이윤호와 가계치유론 • 460
1. 조상에 대한 저주가 후손에게 전달되는가
a. 보편적 저주
b. 개별적 저주
c. 요약
2. 신자도 가계 저주 아래 있는가
a. 가계저주론
b. 그리스도인의 자유
. 비교
부록
1장 이초석과 예수중심교회 •486
1. 이초석 목사는 누구인가
2. 무엇을 주장하는가
3. 무엇이 문제인가
2장 이명범과 레마선교회 •499
1. 이명범과 레마선교회
2. 이명범과 김기동의 귀신론
3. 이명범과 트레스디아스
3장 이재록과 만민중앙교회 •507
1. 이재록은 누구인가
2. 무엇이 문제인가
a. 직통 계시와 대언
b. 이재록의 신격화
c. 만민중앙교회의 특수화
4장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 •521
1. 이만희와 신천지의 태동
2. 무엇을 주장하는가
a. 재림 주, 보혜사 성령
b. 성경 암호를 푸는 짝짓기
c. 실상으로 나타난 계시
d. 14만 4천 명만 가는 천국
5장 하나님의 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537
1. 안상홍과 하나님의 교회 태동
2.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
a. 아버지 하나님
b. 재림 예수
c. 보혜사 성령
. 어머니 하나님
3. 유월절과 안식일
4. 십자가 없는 교회
참고 문헌 •554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단은 기독교 내부에서 일어난 기독교 신앙의 적대 세력이다. 그것은 외관상 기독교처럼 보이고 기독교 신앙을 고백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기독교 신앙을 파괴하고 기독교 교리를 오염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단은 기독교를 비판하거나 공격하는 외부의 박해자들보다 교회에 더 큰 폐해를 끼치고 기독교 신앙에 심각한 도전이 되고 있다. 교리적인 면에서 이단의 가장 큰 문제는 기독교 진리를 왜곡하는 것이다.
첫째, 이단은 성경의 교훈과 교회의 교리에 배치되는 것을 진리라고 가르치거나 성경의 권위에 도전하여 새로운 계시 혹은 예언을 주장하며 그것에 더 큰 권위를 부여한다. 고대 교회의 몬타누스파(Montanism)나 현대의 몰몬교가 그와 같은 사례다.
둘째, 이단은 교회가 인정하는 일부 교리를 부정하거나 또는 반대로 과도하게 강조하기도 한다. 삼위일체 교리를 부정한 고대의 아리우스주의(Arianism)나 현대의 유니테리언파(Unitarianism), 그리고 그리스도의 신성이나 인성을 부정한 고대의 에비온주의(Ebionism)나 현대의 여호와의증인이 그런 것이다.
셋째, 이단은 그들의 교주를 메시아나 재림주로 신격화하여 예수 그리스도 이외의 다른 예수를 주장하는 경향이 있다. 몰몬교는 교주 스미스를 멜기세덱의 제사장직을 받은 자로, 통일교나 신천지는 교주 문선명이나 이만희를 재림주로, 천부교는 교주 박태선을 참 하나님으로 믿는다.
넷째, 이단은 제도적인 교회를 부정하거나 교회의 단일성을 파괴한다. 이단은 흔히 정통 기독교 교회를 적대시하며 자신들만이 구원을 받는다고 주장한다. 고대의 도나투스주의(Donatism)나 종교개혁 시대의 재세례파(Anabaptists), 그리고 현대의 몰몬교 등이 그러하다.
이렇듯 이단은 그리스도의 복음과 다른 복음을 가르치거나 성경 말씀을 변조 또는 곡해하여 기독교의 교리에 배치되는 거짓 교리를 주장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단은 실제적인 면에서도 많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이단은 그들 자신이 잘못된 교리를 신봉할 뿐만 아니라 교회 속으로 들어와 간교한 궤변으로 성도들을 미혹하여 교회에 심각한 폐해를 끼치고 있다. 따라서 이단은 트로이의 목마와 같은 존재다. 박해자는 단지 성도의 육체적 생명만 빼앗아 갈 수 있지만, 이단은 그의 영원한 생명을 빼앗아 갈 수 있다.
그렇지만 이단은 교회에 대해 부정적인 기능만 하는 것은 아니다. 긍정적인 기능도 없지 않다.
첫째, 정통 교리 형성에 촉매 역할을 한다. 이단이 잘못된 교리를 전파하는 것이 전통 신앙의 수호자들에게 그 오류를 고발하고 진리를 밝히게 하는 자극제가 되고 정통 교리 정립의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런 면에서 이단은 정통의 존재에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고대 교회가 아리우스주의와의 논쟁을 통해 삼위일체 교리를 정립하고 네스토리우스주의와의 논쟁을 통해 그리스도의 양성 교리를 확립한 것이 그 예다.
둘째, 교리에 대한 신학적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성경의 메시지는 항상 변조와 오해에 노출되어 있다. 이단의 출현은 교회로 하여금 성경의 메시지나 기독교 교리 가운데 혹시 간과하거나 소홀히 한 것 또는 무관심하거나 오해한 것이 있지 않나 되돌아보는 자기 성찰을 촉구한다. 왜냐하면 정통에 대한 의식이 존재하지 않는 곳에는 이단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셋째, 이단의 도전은 화석화된 교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부패한 교회를 개혁시키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이단은 맹목에 가까운 열정적인 신앙과 그들 교주와 집단에 대한 물불을 가리지 않는 충성심, 그리고 불타는 활동력을 지니고 있다. 열심이 없는 사람은 이단이 되기 힘든 것이다. 이런 이단의 열정과 에너지는 무관심과 나태에 빠지기 쉬운 정통 교회와 성도들에게 큰 도전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단을 판별하는 기준을 살펴본다면, 한국 교회의 보수적인 입장을 대변하는 한국기독교총연합회는 다섯 가지 기준을 제시한다.
첫째, 성경의 가감이다. 교회는 성경 66권을 기독교 유일의 경전으로 믿고 신앙과 생활의 규범으로 삼는다. 반면, 이단은 성경의 완전성을 부정하고 성경 이외에 또 다른 경전을 주장하며 그것에 최종 권위를 부여한다.
둘째,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을 제한하거나 부인하는 것이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유일한 구세주로 믿는다. 반면, 이단은 그들의 교주 혹은 창시자를 신격화한다.
셋째, 새 계시와 영감(靈感)이다. 교회는 정경의 완성과 더불어 성서적 계시, 규범적 계시는 종료되었으며, 성령의 조명은 계속된다고 믿는다. 따라서 성경의 내용이나 권위를 능가하는 또 다른 계시는 존재할 수 없다. 반면, 이단은 성경의 완전성을 부정하고 성경 이외에 또 다른 계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며 새 계시, 환상, 직통 계시, 신비적 체험을 자신들의 교리를 합리화시키는 근거와 수단으로 제시한다.
넷째, 비윤리적이며 반사회적 집단이다. 이단은 교회와 교인의 신앙을 혼란케 할 뿐 아니라 건전한 상식을 벗어난 극단적 태도나 행동으로 사회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다섯째, 혹세무민이다. 이단은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의 장소와 날짜를 말하여, 신자들을 미혹하여 금품을 사취하기도 한다.
도마복음이 정경에서 제외되고 이단적인 문서로 밀려나게 된 근본적 이유는, 교회가 전통적으로 알고 있고 믿는 것과 전혀 다르고, 사도적인 교회와 신학적인 연속성도 없으며, 그 기원과 출처도 의심스러운 내용을 가르치기 때문이다. 특히 예수가 구원과 생명에 이르는 유일한 길이요, 구원은 그의 희생적 죽음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기독교 핵심 교리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한편, 인간 자신의 참 본성을 깨닫는 것, 즉 지식을 통해 구원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이 문제였다. 도마복음이 믿음이 아니라 깨달음을 강조한 것이 정경에 포함되지 못한 이유 중 하나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