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목회일반
· ISBN : 9788953139923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1-04-14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01 온라인 사역은 처음인데요
온라인 사역 목적과 대상
02 온라인 사역, 어떻게 이루어질까?
교회를 돕는 핫라인 '온라인'
03 온라인 사역,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까?
온라인 사역 목표 정하기
" 온라인 사역 Tip 1
04 스크린 너머 예배자들을 생각하자
'관람'에서 '참여'가 되는 순간
05 어색한 온라인 소그룹을 어떻게 해야 할까?
소그룹 구성과 교재 만들기
06 교회 교육,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자
교회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
" 온라인 사역 Tip 2
07 교회 홈페이지가 성도의 필요를 채운다고?
소통하는 웹사이트 만들기
08 '소셜 미디어'는 또 하나의 사역 현장이다
교회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활용법
09 포기하지 않고 온라인 사역을 하고 싶다면
통계와 이야기를 꾸준히 기록하기
10 온라인 사역은 답이 아니라 방향이다
온라인 사역의 가능성
" 온라인 사역 Tip 3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온라인 사역은 별도의 목적을 갖고 있지 않다. 온라인 사역은 교회의 목적을 실천하는 것이 최우선이어야 한다. 만일 교회의 목적이 성도의 제자화라면, 그 교회의 온라인 사역은 온라인을 통해 성도가 그리스도의 제자로 살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교회의 목적이 선교라면, 그 교회의 온라인 사역은 온라인을 통해 성도가 선교에 적극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온라인 사역의 궁극적인 목적은, 우리 교회의 목적을 온라인을 통해 이루어 내는 것이다.
온라인 사역에 관한 강의를 하다 보면 ‘온라인으로 어떻게 교회 소속감을 갖게 할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을 많이 듣는다. 소속감은 교회에 갖게 하기보다 서로에게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소속감을 나타내는 단어가 ‘책임, 의무’인데, 서로 간에 상호작용 하는 책임감(accountability)을 말한다. 내가 상대방의 삶에 어느 정도 책임을 느끼는 것이다. 내 마음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말씀이 중심이 되어 서로가 서로에게 책임 의식을 갖고 살아가는 교제의 모습이다.
흩어지는 교회에서 사역과 봉사의 핵심은, 지역별로 모인 소그룹들이 어떻게 하면 ‘교회의 빛을 발할 수 있을까’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빛을 발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회의 네 번째 기능인 섬김과 봉사까지도 감당하는 모습이 나타날 것이다. _41p
흩어진 소그룹이 중심이 되는 미래 교회의 가장 큰 개념은, 소그룹이 영적 가족이라는 점이다. 가족과 함께 휴가를 갖고 여행을 가듯이, 영적 가족을 이루는 소그룹/교회와 함께 선교하는 것이다. 소그룹이 하나 되어 전도와 선교에 힘쓰면, 사도행전 2장 47절 말씀과 같이 “주께서 구원 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게” 하실 줄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