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신앙생활 > 간증/영적성장
· ISBN : 9788953148949
· 쪽수 : 316쪽
· 출판일 : 2024-08-14
책 소개
목차
Part 1 싱글 미니스트리의 토대
1 싱글 미니스트리의 필요성과 개념
2 싱글 사역의 시작
3 싱글 사역자의 역할과 자격
4 싱글 그룹 빌드업의 원리
5 싱글 리더 모집과 훈련
6 싱글 사역의 목적과 목표 그리고 계획
7 싱글 공동체의 성장 원리
8 싱글 성경공부
9 싱글 소그룹 성장의 원리
Part 2 싱글을 위한 프로그램
1 싱글 수련회
2 싱글 콘퍼런스
3 싱글의 교회 적응 원리
4 중소형 교회에서의 싱글 사역
5 대형 교회에서의 싱글 사역
Part 3 싱글의 사역
1 새가족팀 사역 - 방문자 & 졸업자
2 싱글이 싱글을 돕는 법
3 기혼자가 싱글을 돕는 법
4 한부모 가정 사역
5 실버세대 사역
Part 4 싱글의 실제 문제와 방안
1 싱글의 데이트와 사랑
2 싱글의 능력
3 싱글의 영성
부록
1 MBTI와 교회 봉사
2 싱글 새가족 교육 교재
저자소개
책속에서
만일 싱글 미니스트리가 활성화되면 싱글이 청소년부처럼 사역의 대상이 아니라 사역의 주체가 된다는 사실이 확연하게 드러날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싱글들은 교회의 중요하고도 없어서는 안 될 일꾼들이란 말입니다. 싱글은 사역팀의 일원으로서 중요한 부분을 수행하며 그리스도의 몸된 교회를 세우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반신불수 상태가 된 결정적인 이유는 무엇입니까? 싱글이 없기 때문입니다. 싱글을 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싱글을 일꾼으로 세우지 않기 때문입니다. 한국 교회의 비전은 이것밖에 없습니다. 한국교회의 생장점은 확신하건대 싱글 계층입니다. 그리고 싱글 미니스리트가 한국교회에 정착되고 확산되는 것입니다. 싱글을 포용하여 교회 생활에 적응하게 하는 것은 오늘날 교회 사역에서 근본에 해당합니다.
싱글 미니스트리가 가장 잘 정착되어 있고 이로 인해 교회의 중흥기를 맞는 나라가 있습니다. 바로 미국입니다. 1970년대 후반 존 트라볼타가 무대에서 춤을 추고 있는 동안, 미국교회는 골머리를 앓았습니다. 이혼율은 증가하고, 경력을 중시하는 전문직 종사자들은 가정을 꾸리기보다 직장을 우선시하며, 결혼을 미루거나 마다했습니다. ‘늘어나는 싱글들을 교회는 어떻게 다룰 것인가?’ 힘겨운 문제였습니다. 교회에는 미혼 성도 수가 급격히 줄고 있었습니다.
미국교회의 지도자들은 이러한 시류를 방관하지 않고 재빠르게 대처해 나갔습니다. 새로운 전문 사역 영역을 탄생시켰습니다. 바로 싱글 미니스트리입니다. 싱글에게 다가가려는 경쟁이 시작되었습니다. 결국 1980년대 후반에는 대다수 교회에서 싱글 사역이 주일학교나 청년 사역처럼 주요 사역으로 자리를 잡았습니다.
무엇보다도 교회는 싱글로 존재하는 것 자체에 대하여 편안히 느낄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조바심과 초조함은 백해무익하며 매력과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합니다. 특별히 결혼을 위해서가 아니라 싱글이든 아니든 인간됨 자체가 성장하도록 인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교회가 싱글 사역을 시작하면서 준비해야 할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싱글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왜 결혼하지 않느냐고 묻는 것’은 관심이 아니라 팩트 폭행에 불과합니다.
2. 싱글에 대한 성경적 관점과 신학을 정립하고 이를 교우 전체를 대상으로 교육해야 합니다. 무관심은 곧 무지함으로 이어집니다.
3. 싱글들에게 전적으로 책임지며 섬길 기회를 주어야 합니다. 처음에는 단회적인 봉사가 적절합니다.
4. 싱글들의 활동을 공개적으로 칭찬하며 격려해야 합니다. 그러면 더욱 소속감을 느끼며 기쁨으로 자리를 지킵니다.
5.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싱글 소그룹을 구성해 주어야 합니다. 처음에는 남녀를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매님들 그룹을 먼저 구성하는 것이 수월합니다.
6. 싱글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꾸려야 합니다. 말보다 적절한 행동이 진정한 설득력을 줍니다.
7. 싱글이 만군의 하나님 여호와의 군사 중에서도 첨병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