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53150157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5-01-24
책 소개
목차
기념사 이재훈
축하의 글 김영심
편집 서언 구성모
1 | 로잔운동의 배경과 태동 | 김성욱
2 | 로잔운동의 이해와 신학 | 신경규
3 | 로잔운동의 주요 인물들 | 안희열
4 | 제1차 로잔대회 의의와 로잔 언약의 이해 | 김승호
5 | 제2차 로잔대회 의의와 마닐라 선언문의 이해 | 안승오
6 | 제3차 케이프타운 로잔대회의 의의와 문서 이해 | 김은수
7 | 제4차 로잔대회의 의의와 선교학적 주제 | 최형근
8 | 한국 로잔운동의 역사와 의의 | 전석재
9 | 로잔운동과 선교적 영성 | 구성모
10 | 로잔운동과 복음 전도 | 황병배
11 | 로잔운동과 세계 선교 | 김한성
12 | 로잔운동과 세계 기독교 | 박형진
13 | 로잔운동과 디아스포라 선교 | 김광성
14 | 로잔운동과 한국 교회의 갱신 | 김현진
15 | 제4차 로잔 총회와 로잔운동의 미래 | 장성배
저자소개
책속에서
초대교회 선교사역 이후 지난 2천 년동안 이어 온 성경적 복음주의 선교사역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 로잔운동은 역사적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 그리고 한국 교회와 한국 선교의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사역을 위하여 로잔운동이 가지는 역할은 크다고 본다. 한국 교회가 이번에 제4차 로잔대회 개최를 통해 로잔운동을 섬기게 된 것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이며 축복이다. 종교 다원주의와 급진적 선교 신학은 지난날의 선교 강국이던 유럽 교회들에 교회는 물론 선교의 쇠락을 가져왔다고 본다. 로잔운동은 세계 교회와 함께 한국 교회에 성장과 선교 부흥을 위한 성경적 선교 신학을 제공하고 있으며 협력의 발판이 되고 있다고 본다. 지금은 한국 교회뿐만 아니라 남미와 중국, 아프리카 교회들이 성장하여 21세기 세계 선교사역을 이끌어 가는 세계 기독교(World Christianity) 시대가 되었다. 한국 교회는 이러한 다중심적인 기독교 선교의 시대적 흐름을 직시하고 지속적인 선교사역을 위하여 성경 중심적이며 철저한 복음주의 선교 신학을 정립하고 발전시키는 데 더욱 매진하여야 할 것이다.
서문은 로잔운동의 전통적 표제인 ‘온전한 복음, 온 교회, 온 세상’을 언급하며 로잔 신학의 총체적 성격을 재차 확인한다. 로잔신학위원회가 마태복음의 대위임령에 나타난 복음 전도적 과업과 목회적 과업을 언급하며 사도적 우선순위(apostolic priority)라는 새로운 용어를 사용한 것은, 복음전도와 그리스도인의 사회적 책임 간의 우선순위 논쟁을 재점화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세상으로 보냄 받은 하나님 백성의 정체성(복음의 전함과 복음에 합당한 삶)을 규명하는 ‘사도성’(apostolicity)을 강조하려는 의도라고 볼 수 있다.238 하나님의 선교 관점에서, 마태복음의 대위임령은 ‘예수 그리스도의 주 되심’(28:18)이 전체 맥락의 핵심이기에 십자가를 지고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통치에 근거하여 제자 삼고 세례를 주고 가르치고 지켜 행하게 하는 하나님 백성의 선교적 과업과 통합된다. 이 점에서, 서문에서 서울 선언이 로잔대회 문서들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음을 확실하게 천명한다.
한국 로잔운동은 1-4차 로잔대회를 통해 영혼 구원을 향한 세계 복음화 운동, 미전도 종족을 향한 복음 전도, 선교, 성령의 능력 사역, 미완성 과업을 향한 교회들의 협력과 연대를 강조해 왔다. 교회가 박해와 고난 중에도 최우선으로 놓치지 않고 해야 할 일은 전도다. 한국 로잔운동은 지역 교회에 로잔 정신을 알리고 아시아로잔위원회와 연대해 아시아 지역에 복음을 전하며, 특별히 국제로잔위원회와 파트너십을 가지고 로잔운동을 확산시켰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세계 복음화는 온 교회가 온전한 복음을 온 세계에 전파할 것을 요구한다. 교회는 하나님의 우주적인 목적에서 중심에 서 있다. 하나님은 복음 전도를 위해 교회와 크리스천들을 사용하신다. 이제 50주년을 맞은 로잔대회가 서울에서 개최된 것을 계기로 한국 교회가 세계 선교에 더욱 매진하고, 미전도 종족의 영혼 구원을 위해 세계와 연대하고 협력하며, 지역교회에서 선교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