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53423657
· 쪽수 : 442쪽
· 출판일 : 2009-04-28
책 소개
목차
서 론
제1부 공적신학이란 무엇인가?
Ⅰ. 공적신학의 이해와 접근방법의 역사
Ⅱ. 공적영역들의 공적인 이슈들에 대한 다양한 신학적 이해
제2부 공적신학의 당위성
Ⅰ. 교회와 세상의 이분법을 넘어서서
Ⅱ. 하나님의 선교
Ⅲ. 생명공동체로서 하나님 나라
제3부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윤리학』에 나타난 “종말적인 것”과 “종말 이전 것”의 변증법적인 관계
Ⅰ. 하나님의 말씀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종말적인 말씀’이다
Ⅱ. ‘종말적인 것’을 위한 길 준비
제4부 몰트만 신학에 있어서 미래지향적인 보편적 종말론에서 본 ‘교회와 세상’
A. 『희망의 신학, 1964』
B.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1972)
C. 『오시는 하나님: 기독교적 종말론』(1995)
Ⅰ. “종말론적인 천년왕국”과 “영원한 새 창조의 세계”
Ⅱ. 최후심판과 그것의 두 가지 결과
Ⅲ. 새 하늘 새 땅
Ⅳ. 영광
D. 하나님 나라의 빛에서 본 ‘교회와 세상’
Ⅰ. 하나님 나라의 빛에서 본 교회
Ⅱ. 하나님 나라에 비추어 본 세상
E. 몰트만 신학에 있어서 하나님 나라의 가치들
Ⅰ. 『평화, 정의의 열매』(1988)
Ⅱ. 『혁명, 종교, 그리고 미래』(1989)
Ⅲ. 『하나의 정의로운 미래를 창조하며』(1989)
제5부 하나님 나라에 비추어 본 공적신학들
A. 벤(Robert Benne)의 공적인 신학
Ⅰ. 미국기독교 역사 속에서의 공적신학
Ⅱ. 벤의 역설적인 비전
B. 아더톤(John Atherton)의 공적신학
Ⅰ. 글로벌 맥락을 위한 하나의 공적신학: 방법론
Ⅱ. 방법론 혹은 글로벌 맥락을 위한 공적신학의 적용의 문제
C. 씨먼의 공적신학과 『WARC와 로마가톨릭교회의 양자 간 대화』
Ⅰ. 씨먼의 공적신학
Ⅱ. 『WARC와 로마가톨릭교회의 양자 간 대화』
D. 스택하우스의 공적인 신학
Ⅰ. 전체적인 개괄
Ⅱ. 공적신학의 규범들과 원칙들
나오는 말
A. 공적신학의 지평으로서 미래지향적인 하나님 나라
B. 공적신학들의 퍼레이드가 아니라 다양성 속의 통일성
Ⅰ. ‘화해의 복음’
Ⅱ. 교회
Ⅲ. 하나님 나라의 빛에서 본 ‘교회와 세상’의 존재목적과 존재이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