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일본 프로문학론의 전개 - 전2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일어일문학
· ISBN : 9788954101462
· 쪽수 : 478쪽
· 출판일 : 2003-12-3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일어일문학
· ISBN : 9788954101462
· 쪽수 : 478쪽
· 출판일 : 2003-12-30
목차
1권
머리말
Ⅰ. 민중문학론
새로운 세계를 위한 새로운 예술·오오츠카 사카에(大衫榮)
민중예술의 출발점과 그 목표·가토 가츠오(加藤一夫)
사상가에게 호소함 - 『씨뿌리는 사람』 사설
노동문학의 주장·미야지마 수케오(宮島資夫)
선언-Ⅰ·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郞)
Ⅱ. 계급문학론
예술운동의 공동전선·고마키 오우미(小牧近江)
계급예술의 문제·타카미 노부루(片上伸)
문예운동과 노동운동·히라바야시 하츠노수케(平林初之輔)
계급투쟁과 예술운동·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일본프롤레타리아문예연맹 규정 초안·일본프로문예연맹
연맹에 대하여·야마타 세이사부로(山田淸三郞)
Ⅲ. 목적의식론
목적의식론·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자연생장과 목적의식 재론·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사회주의 문예운동·『문예전선』 사설
소위 사회주의문예를 극복하라·가지 와다루(鹿地亘)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의 발전·다니 하지메(谷一)
무산자문예의 질적 전환·다니 하지메(谷一)
테제에 관한 오해에 대하여·하야시 후사오(林房雄)
결정(結晶)되고 있는 소시민성·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예술에 관해 휘갈려 쓴 각서·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의 이론적 및 실천적 전개과정·히라바야시 하츠노수케(平林初之輔)
Ⅳ. 비평방법과 예술가치론
외재비평론·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내재비평 이상의 것·가타카미 노부루(片上伸)
외재비평에의 기여·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무산파 문예가 토론회·『신조』 합평회
정치와 예술의 문제·츠보이 시게지(壺井繁治)
형식의 문제·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프롤레타리아예술의 내용과 형식·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형식주의문학설을 배격한다·가츠모토 세이이치로(勝本淸一郞)
정치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히라바야시 하츠노수케(平林初之輔)
나프(NAPF)예술가의 새로운 임무·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정치적 비평의 확립·기시 야마지(貴司山治)
프롤레타리아 문학이론의 전개·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Ⅴ. 예술대중화론
이른바 예술대중화론의 오류에 대하여·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의 길·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무산계급 예술운동의 신단계·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예술운동이 당면한 긴급문제·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소시민성의 도량(跳粱)에 대항하여·가지 와다루(鹿地 亘)
문제의 되돌림과 그것에 대한 의견·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예술운동의 좌익청산주의·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프롤레타리아 대중문학의 문제·하야시 후사오(林房雄)
해결된 문제와 새로운 일·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프롤레타리아문학의 대중화와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에 대하여·고바야시 다키치(小林多喜二)
예술대중화의 문제·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예술대중화에 대한 결의·일본 프롤레타리아 작가동맹 중앙위원회
2권
Ⅵ. 농민문학론
농민문예의 의의에 대하여·이누타 시게루(犬田卯)
농민소설론·다데노 노부유키(立野信之)
농민과 프롤레타리아문학·이케다 히사오(池田壽夫)
농민문학의 올바른 진전을 위하여·구로시마 덴지(黑島傳治)
무엇을 농민문학이라 하는가·이바라키 타카시(茨木隆)
〈나프파〉의 문학과 우리·마츠바라 가츠오(松原一夫)
흙 위에 세워진 농민문학·마후네 코우이치(眞船晃一)
농민문학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농민문학의 문제·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농민문학의 발전·구로시마 덴지(黑島傳治)
Ⅶ. 창작방법론
창작방법과 세계관의 상호침투·아마카츠 세키츠케(甘粕石介)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의 실천에 대하여·아오노 세이키치(靑野季吉)
예술적 방법에 대한 감상·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예술이론에 있어 레닌주의를 위한 투쟁·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창작방법의 신전환·도쿠나가 수나오(德永直)
창작방법과 예술가의 세계관·모리야마 게이(森山啓)
문학운동의 새로운 단계를 위하여·가지 와다루(鹿地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인가! 기회주의적 리얼리즘인가!·이토 데이츠케(伊藤貞助)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비판·가미야마 시게오(神山茂夫)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문제·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사회주의적 리얼리즘과 혁명적(반자본주의) 리얼리즘·구보 사카에(久保榮)
Ⅷ. 전향론
작가를 위하여·하야시 후사오(林房雄)
동지 林房雄의 「작가를 위하여」, 「작가로서」에 대한 동지 龜井勝一郞의 비판에 대한 비판·고바야시 다키치(小林多喜二)
정치와 예술·정치우위성의 문제(초)·미야모토 겐지(宮本顯治)
문학의 신동향·이타카키 나오코(板垣直子)
전향작가론·수키야마 헤이수케(衫山平助)
전향찬미자와 매도자·오오야 소우이치(大宅壯一)
겨울을 넘은 꽃봉오리·미야모토 유리코(宮本百合子)
문학자에 대하여·기시 야마지(貴司山治)
「문학자에 대하여」에 대하여·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부록 : 인명사전
머리말
Ⅰ. 민중문학론
새로운 세계를 위한 새로운 예술·오오츠카 사카에(大衫榮)
민중예술의 출발점과 그 목표·가토 가츠오(加藤一夫)
사상가에게 호소함 - 『씨뿌리는 사람』 사설
노동문학의 주장·미야지마 수케오(宮島資夫)
선언-Ⅰ·아리시마 다케오(有島武郞)
Ⅱ. 계급문학론
예술운동의 공동전선·고마키 오우미(小牧近江)
계급예술의 문제·타카미 노부루(片上伸)
문예운동과 노동운동·히라바야시 하츠노수케(平林初之輔)
계급투쟁과 예술운동·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일본프롤레타리아문예연맹 규정 초안·일본프로문예연맹
연맹에 대하여·야마타 세이사부로(山田淸三郞)
Ⅲ. 목적의식론
목적의식론·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자연생장과 목적의식 재론·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사회주의 문예운동·『문예전선』 사설
소위 사회주의문예를 극복하라·가지 와다루(鹿地亘)
일본 프롤레타리아 문학 운동의 발전·다니 하지메(谷一)
무산자문예의 질적 전환·다니 하지메(谷一)
테제에 관한 오해에 대하여·하야시 후사오(林房雄)
결정(結晶)되고 있는 소시민성·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예술에 관해 휘갈려 쓴 각서·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의 이론적 및 실천적 전개과정·히라바야시 하츠노수케(平林初之輔)
Ⅳ. 비평방법과 예술가치론
외재비평론·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내재비평 이상의 것·가타카미 노부루(片上伸)
외재비평에의 기여·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무산파 문예가 토론회·『신조』 합평회
정치와 예술의 문제·츠보이 시게지(壺井繁治)
형식의 문제·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프롤레타리아예술의 내용과 형식·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형식주의문학설을 배격한다·가츠모토 세이이치로(勝本淸一郞)
정치적 가치와 예술적 가치·히라바야시 하츠노수케(平林初之輔)
나프(NAPF)예술가의 새로운 임무·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정치적 비평의 확립·기시 야마지(貴司山治)
프롤레타리아 문학이론의 전개·아오노 수에키치(靑野季吉)
Ⅴ. 예술대중화론
이른바 예술대중화론의 오류에 대하여·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의 길·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무산계급 예술운동의 신단계·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예술운동이 당면한 긴급문제·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소시민성의 도량(跳粱)에 대항하여·가지 와다루(鹿地 亘)
문제의 되돌림과 그것에 대한 의견·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예술운동의 좌익청산주의·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프롤레타리아 대중문학의 문제·하야시 후사오(林房雄)
해결된 문제와 새로운 일·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프롤레타리아문학의 대중화와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에 대하여·고바야시 다키치(小林多喜二)
예술대중화의 문제·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예술대중화에 대한 결의·일본 프롤레타리아 작가동맹 중앙위원회
2권
Ⅵ. 농민문학론
농민문예의 의의에 대하여·이누타 시게루(犬田卯)
농민소설론·다데노 노부유키(立野信之)
농민과 프롤레타리아문학·이케다 히사오(池田壽夫)
농민문학의 올바른 진전을 위하여·구로시마 덴지(黑島傳治)
무엇을 농민문학이라 하는가·이바라키 타카시(茨木隆)
〈나프파〉의 문학과 우리·마츠바라 가츠오(松原一夫)
흙 위에 세워진 농민문학·마후네 코우이치(眞船晃一)
농민문학의 올바른 이해를 위하여·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농민문학의 문제·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농민문학의 발전·구로시마 덴지(黑島傳治)
Ⅶ. 창작방법론
창작방법과 세계관의 상호침투·아마카츠 세키츠케(甘粕石介)
프롤레타리아 리얼리즘의 실천에 대하여·아오노 세이키치(靑野季吉)
예술적 방법에 대한 감상·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예술이론에 있어 레닌주의를 위한 투쟁·구라하라 고레히토(藏原惟人)
창작방법의 신전환·도쿠나가 수나오(德永直)
창작방법과 예술가의 세계관·모리야마 게이(森山啓)
문학운동의 새로운 단계를 위하여·가지 와다루(鹿地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인가! 기회주의적 리얼리즘인가!·이토 데이츠케(伊藤貞助)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비판·가미야마 시게오(神山茂夫)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문제·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사회주의적 리얼리즘과 혁명적(반자본주의) 리얼리즘·구보 사카에(久保榮)
Ⅷ. 전향론
작가를 위하여·하야시 후사오(林房雄)
동지 林房雄의 「작가를 위하여」, 「작가로서」에 대한 동지 龜井勝一郞의 비판에 대한 비판·고바야시 다키치(小林多喜二)
정치와 예술·정치우위성의 문제(초)·미야모토 겐지(宮本顯治)
문학의 신동향·이타카키 나오코(板垣直子)
전향작가론·수키야마 헤이수케(衫山平助)
전향찬미자와 매도자·오오야 소우이치(大宅壯一)
겨울을 넘은 꽃봉오리·미야모토 유리코(宮本百合子)
문학자에 대하여·기시 야마지(貴司山治)
「문학자에 대하여」에 대하여·나카노 시게하루(中野重治)
부록 : 인명사전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