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문학 > 청소년 소설
· ISBN : 9788954430579
· 쪽수 : 217쪽
· 출판일 : 2014-03-11
책 소개
목차
제1부
제2부
작가의 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아줌마가 가장 싫어하는 게 귀찮게 하는 거였다. 아줌마는 누가 다가오면 일단 귀찮아!부터 하고 봤다.
뭐가 그렇게 귀찮아요?
전부 다!
왜요?
귀찮으니까, 귀찮아.
그래서 나는 아줌마를 귀차니 아줌마로 불렀다. 아줌마가 세상만사를 귀찮아하는 건 나와 다르지만 광장에 나와서 뭔가를 기다리는 사람인 건 나와 같았다. 그러니까 거의 매일 광장에 나와 있는 것이다. 온갖 물건을 주렁주렁 매달아 하울성처럼 요란한 유모차와 아기까지 데리고 광장에 나와 있는 걸 보면 나보다 더 굉장한 걸 기다릴 것이다. 콩코스 광장에는 뭔가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다. 노숙자 아저씨들도, 귀차니 아줌마도, 심지어 경찰지구대 형들도 뭔가를 기다렸다. 뭔가를 기다려본 사람은 뭔가를 기다리는 사람 눈이 어떤지 안다.
귀차니 아줌마와 나는 밤바람을 쏘이면서 광장을 가로질러 왔다 갔다 했다. 광장에는 무서운 아저씨들이 있지만 아무도 우리를 건들지 않았다. 광장 사람들도 귀차니 아줌마는 절대 건들지 않았다. 그 사람들이 보기에도 귀차니 아줌마는 뭔가 굉장히 위험한 인생이었다. 아줌마가 아기와 유모차 하나에 의지해 광장에 나와 산다는 자체만으로도 이미 충분히 무시무시하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 그게 바로 사람들이 그 아줌마를 건드리지 못하는 이유다.
전에 형이 그렇게 말했었다.
다른 사람들한테는 귀차니 아줌마가 무시무시할지 몰라도 나한테 아줌마는 안 보이면 찾아다니게 되는 사람이었다. 무엇보다 귀차니 아줌마 곁에 있으면 편안했다. 어쩌면 아줌마가 세상을 귀찮아해서 그런지도 몰랐다. 세상을 귀찮아한다는 것은 행복해지기 위해 아등바등하지 않는다는 뜻이고, 행복을 잡으려고 아등바등 하지 않는다는 것은 진을 빼지 않는 뜻이다. 귀차니 아줌마는 행복이나 불행 같은 것은 신경 쓰지 않는다는 뜻이다. 행복이나 불행 같은 것이 아줌마 인생을 어쩌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편한 것이다.
아줌마는 정말 모든 게 다 귀찮아요?
응.
그럼 아줌마는 앞으로 행복해질 거예요.
왜.
달의 궁전 누나가 그랬어요. 행복한 사람들은 진이 빠지도록 열심히 산대요. 그래서 결국 불행해지고 마는 거래요. 그런데 아줌마는 진이 빠지지 않을 거잖아요. 그러면 나중에 행복해질 수 있어요. 아줌마.
응.
우리 형도 어쩌면 아줌마처럼 세상이 다 귀찮아서 도망가 버린지도 몰라요. 나와 버드를 부양하는 일도 귀찮고.
아줌마.
응.
형이 올까요?
불안해?
전에 달의 궁전 누나가 아무리 힘든 순간도 지나고 나면 별거 아니라고 했어요.
재수 없으면 평생 힘들 수도 있어.
평생 힘들면 어떻게 살아요.
할 수 없지. 힘들다고 인생이 아닌 것은 아니니까.
말은 쉽죠.
난 요즘 그런 생각을 해. 한 사람의 생애는 자기 책임 반이고, 세상 책임 반이야. 하필 재수 없게 이런 세상에 태어나서 팽개쳐졌다고 해도 자기 책임이 반은 된다는 거. 그러니까 세상이 인생을 빼앗아 갈 수는 없다는 거지.
아줌마와 나는 재수 없는 경우죠?
그럴걸.
재수 없는 인생은 지랄 맞대요.
누가 그래?
형이요.
참 좋은 형이다.
형이 오면 그 말 해줘야겠어요.
무슨 말.
지금 아줌마가 한 말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