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이야기
· ISBN : 9788955061116
· 쪽수 : 397쪽
· 출판일 : 2001-01-20
책 소개
목차
1장 문학과 영화
1. 영화화된 영미문학 어떻게 읽을 것인가 / 김성곤
2장 셰익스피어와 영화
2. <헨리 5세> -로렌스 올리비에와 국가주의 / 한영림
3. 두 편의 <로미오와 줄리엣> -각기 다른 시대정신의 반영물 / 이형식
4. <햄릿>과 영화 <햄릿>들 -로렌스 올리비에에서 케네스 브레너까지 / 김희진
3장 영국문학과 영화
5. <플로스강의 물방앗간> -남매의 사랑과 갈등 / 한애결
6. <주드> -환상과 환멸의 몽타주 / 김성희
7. <테스> -웨섹스의 사랑과 성 / 장정희
8. <밀정> -이방인의 영국사회 엿보기와 뒤집어보기 / 박종성
9. <인도로 가는 길> -아델라의 자아발견의 여정 / 심경석
4장 미국문학과 영화
10. <허클베리 핀의 모험> -변화하는 시대, 변화된 주인공 / 이향만
11. <위대한 갯츠비> -현실을 모양짓는 이상의 힘, 그리고 이상을 무너뜨리는 현실의 힘에 대한 이야기 / 김진경
12. <쇼생크 구원> -앤디를 통한 레드의 구원 / 김명희
13. <롤리타> -시적 에로티시즘 / 롤리타
14. <엠. 버터플라이> -동양/서양, 남성/여성 그리고 환상/현실 / 홍유미
저자소개
책속에서
문학과 영화의 관계는 과연 무엇인가? 또 영화화된 영미문학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그리고 하나의 문학작품이 영화화될 떄, 원작의 의도는 왜 그리고 어떻게 달라지는가? 이러한 질문이 일어나는 이유는, 소설과 영화가 둘 다 내러티브에 의존하면서도 궁극적으로는 언어와 이미지라는 각기 다른 매체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또 매 시대 각기 다른 감독에 의해 영화화되면서 원작에는 없었던 새로운 시대정신과 패러다임이 투영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