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문학사/국문학개론
· ISBN : 9788955566147
· 쪽수 : 375쪽
· 출판일 : 2008-07-17
목차
제1장 작문의 본질
1. 작문의 특성
2. 작문의 상황
3. 작문의 과정과 절차
제2장 수사학의 전통과 작문 이론
1. 수사학의 특성
2. 고전 수사학
3. 중세 수사학
4. 르네상스 시대의 수사학
5. 계몽주의 시대의 수사학
6. 20세기 수사학
제3장 작문의 인지적 과정
1. 작문의 과정
2. 작문의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제약
3. 작문의 인지적 과정
4. 작문 교육에서 강조되어야 할 지식
제4장 내용의 창안
1. 내용 창안의 방법
2. 내용의 상세화
3. 제재의 선정과 주제의 설정
4. 계획하기와 내용 생성하기
제5장 내용의 조직
1. 내용의 구성
2. 내용의 전개
3. 내용 조직하기 전략
제6장 내용의 표현과 수정
1. 단어의 선택
2. 문장의 구조와 문체
3. 표현 기법
4. 고쳐쓰기
5. 작문의 태도와 습관
제7장 협상을 통한 의미 구성과 협동 작문
1. 협상을 통한 의미 구성
2. 협상을 통한 의미 구성과 협동 작문
3. 협동 작문의 교육적 의의
제8장 작문 연구의 동향과 과제
1. 20세기 수사학과 작문 연구
2. 의미의 구성에 관한 설명 방식
3. 의미 구성 현상에 대한 새로운 설명 방식
4. 텍스트 생산 활동으로서의 작문에 대한 연구 동향
5. 작문 연구의 과제
제9장 21세기 문식성과 작문 교육
1. 문식성의 개념과 특성
2. 21세기 문식성의 특성
3. 작문 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내용
4. 21세기 문식성과 작문 교육
제10장 국어 표현 과정과 표현 전략
1. 표현의 과정
2. 국어 표현 전략
3. 국어 표현 과정과 전략에 대한 종합적 논의
제11장 작문 능력의 특성과 쓰기 영역 교육과정 설계
1. 작문 능력의 개념
2. 작문 능력의 특성
3. 작문 영역 교육과정 설계
4. 작문 영역 교육과정과 성취 기준 설정
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쓰기 지도의 방향
제12장 작문 지도 모형과 전략
1. 새로운 작문 능력의 필요성
2. 작문 지도의 새로운 방향
3. 작문 지도 모형과 전략
4. 작문 지도 모형과 전략에 대한 종합적 논의
제13장 작문 능력 평가 방법과 절차
1. 작문 능력 평가의 문제점
2. 작문 능력 평가의 개선 방향
3. 작문 능력 평가의 절차와 방법
4. 작문 능력 평가의 절차와 방법에 대한 종합적 논의
제14장 작문 교육 연구의 특성
1. 작문 교육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연구의 동향
2. 작문 활동과 창의적 필자
3. 작문 교육의 새로운 동향
4. 작문 교육 연구의 과제
제15장 쓰기 평가 연구의 주요 과제
1. 쓰기 능력 평가의 특성
2. 쓰기 능력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
3. 쓰기 평가 연구의 주요 과제
4. 쓰기 능력 평가의 질적 개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