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개화기 국어문법의 연구

개화기 국어문법의 연구

최낙복 (지은이)
역락
3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5,150원 -5% 0원
1,850원
33,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개화기 국어문법의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개화기 국어문법의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문법론/통사론
· ISBN : 9788955567397
· 쪽수 : 616쪽
· 출판일 : 2009-11-30

책 소개

개화기인 1910년을 전후하여 우리 국어문법을 연구하여 책으로 발간한 다섯 사람(주시경, 유길준, 최광옥, 김규식, 김희상)의 저서를 대상으로 하여 그동안 논문으로 발표하였던 것을 책으로 엮었다. 국어학 연구사적인 관점에서 본 개화기 국어문법에 대한 연구이다.

목차

제1장 주시경 문법론

제1절 주시경 문법의 형태론 21
1. 머리말__21
1.1. 연구목적 21
1.2. 연구범위 및 방법 24
1.3. 앞선 연구 26
2. 품사의 설정__30
2.1. 품사의 설정기반 30
2.2. ‘국문문법’에서의 ‘7언분’ 설정 35
2.3. ‘말’에서의 ‘6체’ 설정 42
2.4. ‘국어문법’에서의 ‘9기’ 설정 46
2.5. ‘말의소리’에서의 ‘6씨’ 설정 53
3. 각 품사의 연구 내용__59
3.1. 의미소로 된 것 59
3.2. 문법소로 된 것 100
3.3. 의미소와 문법소로 된 것 136
4. 마무리__159
제2절 주시경 문법의 통어론 169
1. 머리말__169
2. “말”의 분류__170
3. 문장성분의 정립__173
3.1. 주성분의 정립 174
3.2. 부속성분의 정립 177
3.3. 구비성분의 정립 179
4. 문장의 짜임__180
4.1. 홑문장의 짜임 181
4.2. 겹문장의 짜임 183
5. 마무리__198

제2장 유길준 문법론

제1절 유길준 문법의 형태론 205
1. 머리말__205
2. 품사의 설정과 계승__207
2.1. ‘조선문전’에서 8품사 설정 207
2.2. ‘대한문전’에서 8품사 계승 209
3. 각 품사의 성립과 분류 __211
3.1. 명사의 성립과 분류 211
3.2. 대명사의 성립과 분류 216
3.3. 동사의 성립과 분류 222
3.4. 조동사의 성립과 분류 226
3.5. 형용사의 성립과 분류 233
3.6. 접속사의 성립과 분류 237
3.7. 첨부사의 성립과 분류 243
3.8. 감동사의 성립과 분류 247
4. 마무리__249
제2절 유길준 문법의 통어론 257
1. 머리말__257
2. 문장성분의 설정__258
2.1. 주어(임자말) 259
2.2. 서술어(설명어, 풀이말) 262
2.3. 목적어(객어, 부림말) 264
2.4. 보족어(부사어+보어) 266
2.5. 수식어(꾸밈말) 267
3. 문장성분의 결합__270
4. 문장성분의 배열__272
5. 문장성분의 생략__274
6. 문장의 부분__276
6.1. 구(句, 이은말) 276
6.2. 절(節, 마디) 279
7. 문장의 종류__281
7.1. 단문(單文, 홑문장) 281
7.2. 복문①(複文, 겹문장) 283
7.3. 중문(重文, 복문②, 겹문장) 284
8. 마무리__286

제3장 최광옥 문법론

제1절 최광옥 문법의 형태론 291
1. 머리말__291
2. 품사의 설정__292
3. 각 품사의 성립과 분류__294
3.1. 명사의 성립과 분류 294
3.2. 대명사의 성립과 분류 296
3.3. 동사의 성립과 분류 299
3.4. 형용사의 성립과 분류 301
3.5. 부사의 성립과 분류 303
3.6. 후사의 성립과 분류 306
3.7. 접속사의 성립과 분류 308
3.8. 감탄사의 성립과 분류 311
4. 마무리__311
제2절 최광옥 문법의 통어론 315
1. 머리말__315
2. 문장성분의 설정__316
2.1. 주어.설명어(서술어) 318
2.2. 객어 319
2.3. 수식어 320
3. 문장의 종류__323
3.1. 단문(홑문장)?복문(겹문장) 324
3.2. 연구문(聯?文) 326
4. 도치구와 호응__328
4.1. 도치구(倒置句) 328
4.2. 호응(呼應) 329
5. 구법(句法)__332
5.1. 명사구 332
5.2. 형용사구 333
5.3. 부사구 335
6. 마무리__336

제4장 김규식 문법론

제1절 김규식 문법의 형태론 341
1. 머리말__341
2. ‘대한문법’에서 9품사의 설정__342
3. 각 품사의 성립과 분류__345
3.1. 명사의 성립과 분류 346
3.2. 대명사의 성립과 분류 349
3.3. 동사의 성립과 분류 353
3.4. 형동사의 성립과 분류 357
3.5. 형용사의 성립과 분류 359
3.6. 부사의 성립과 분류 363
3.7. 후사의 성립과 분류 367
3.8. 접속사의 성립과 분류 372
3.9. 감탄사의 성립과 분류 376
4. 마무리__377
제2절 김규식 문법의 통어론 383
1. 머리말__383
2. 여러 통어단위의 설정__384
3. 문장의 범위[句語의 範圍]__388
3.1. 문장의 종류[句語의 種類] 390
3.2. 문장의 성분[句語의 部分] 391
3.3. 문장의 꾸밈[句語의 修飾] 392
4. 문장의 분석[句語의 分析]__398
4.1. 단순한 문장[單純句語] 398
4.2. 복잡한 문장[複雜句語] 401
4.3. 이어진 문장[連結句語] 405
5. 문장 성립의 차례[句語 成立의 次序]__408
6. 마무리__412

제5장 김희상 문법론

제1절 김희상 문법의 형태론 417
1. 머리말__417
2. 품사의 설정__418
3. 각 품사의 성립과 분류__422
3.1. 명사의 성립과 분류 423
3.2. 대명사의 성립과 분류 428
3.3. 동사의 성립과 분류 432
3.4. 형용사의 성립과 분류 436
3.5. 부사의 성립과 분류 441
3.6. 감탄사의 성립과 분류 446
3.7. 토(吐)의 성립과 분류 448
4. 마무리__454
제2절 김희상 문법의 통어론 461
1. 머리말__461
2. 문장의 정의 및 문장성분의 설정__462
2.1. 주성분 464
2.2. 부속성분(부성분) 467
3. 문장의 부분[句語의 部分]__470
3.1. 의미상 분류 471
3.2. 성립상 분류 472
3.3. 수식어(꾸밈말)의 분류 473
4. 문장의 종류[句語의 種類]__477
4.1. 의의상 분류 477
4.2. 성립상 분류 479
4.3. 성질상 분류 482
5. 마무리__485

제6장 개화기 국어문법론

제1절 개화기 국어문법의 높임법 491
1. 머리말__491
2. 개화기 문법의 높임법 개관__492
2.1. 유길준의 ‘조선문전’?‘대한문전’ 492
2.2. 최광옥의 ‘대한문전’(1908) 497
2.3. 김규식의 ‘대한문법’(1908?) 498
2.4. 주시경의 ‘국어문법’(1910) 499
2.5. 김희상의 ‘조선어전’(1911) 502
3. 개화기 문법의 높임법 체계__505
3.1. 높임법의 종류 505
3.2. 높임법의 계층 507
4. 마무리__510
제2절 개화기 국어문법의 시제법 513
1. 머리말__513
2. 개화기 문법의 시제__514
2.1. 동사의 시제 516
2.2. 조동사의 시제 536
2.3. 형용사의 시제 540
2.4. 형동사의 시제 543
2.5. 부사의 시제 545
2.6. 조사의 시제 547
3. 마무리__563
제3절 개화기 국어문법의 조어법 567
1. 머리말__567
2. 주시경 문법의 조어법__569
2.1. 파생법 570
2.2. 합성법 598
3. 마무리__602

찾아보기

저자소개

최낙복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 졸업 동아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수료(문학박사) 미국 UCLA 방문 교수(2006) 현재 동아대학교 인문과학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 저서 및 논문 ‘주시경 문법의 연구 (1)’(1991) ‘국어학 사전’(1995, 같이 엮음) ‘한국어문학입문’(1998, 같이 엮음) ‘주시경 문법의 연구 (2)’(2003) '주시경 학문 연구의 역사' 외 50편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