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은행에서 34년간 근무하였고, 2012년 퇴직 후에는 송현경제연구소를 열어 경제연구와 집필 등에 매진하고 있다. 한국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찾아내고 현실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활동가와 기업인, 언론인 등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있다. 2018년에는 충남 내포지역의 도고산 자락으로 이사를 해 농사도 짓고 있다. 도고에 정착해 새롭게 쓴 글이 근처에서 활동하고 묻혔을 순교자 이존창에 대한 이야기이다. 관련 자료가 많지 않아 소설로 쓰게 되었다. 이존창과 사는 시대는 다르지만 공간을 공유하면서 그의 절실했던 삶을 조금이나마 느끼며 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신위험관리론』 『한국경제의 미필적 고의』 『동전에는 옆면도 있다』 『한국경제 대안 찾기』 『관점을 세우는 화폐금융론』 『백낙청이 대전환의 길을 묻다』(공저) 『한국의 술, 100년의 과제와 전망』(공저) 『성장과 일자리, 해법은 있다』(공저) 등이 있다. 그중 『한국경제의 미필적 고의』와 『동전에는 옆면도 있다』는 각각 2011년과 2013년 <시사IN>이 선정하는 올해의 책에 꼽혔다.
Jeung Dae-yeung worked for 34 years at the central bank of South Korea before founding the Songhyun Economic Institute in 2012, where he has continued to
study the structural challenges of the Korean economy. Engaging with activists, entrepreneurs, and journalists, he has sought realistic and inclusive policy alternatives.
Since 2018, he has lived in a rural village at the foot of Mount Dogo in the historical Naepo region, where he farms and writes. There, he came across the story of Yi Jon-chang, a Catholic martyr whose life left a profound impression on
him. With few historical records remaining, Jeung chose to reimagine Yi’s story through fiction.
His major works include 『Dolus Eventualis in Korea’s Economy』, 『The Coin Has Another Side』, 『The Theory of New Risk Management』, and 『In Search of
Alternatives for the Korean Economy』. He has also co-authored volumes on monetary theory and employment policy.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