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55922981
· 쪽수 : 162쪽
· 출판일 : 2014-08-11
책 소개
목차
주요 철학자 소개
PART I 통제담론과 일상세계의 식민화
6001 미셀 푸코의 통제 담론 / 19
6002 생산양식의 변화와 소비양식의 변화(관리 및 통제의 변화) / 24
6003 유연적 생산체계로의 변화 / 26
6004 생산양식에 따른 소비공간의 유연적 공간구조 변화 / 32
6005 소비공간 및 일상의 관리 및 통제 양상 / 38
6006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이론과 공공공간 / 44
6007 피에르 부르디외의 담론 / 51
6008 르페브르의 철학적 사유체계 / 53
6009 마뉴엘 카스텔의 도시담론 / 58
6010 데이비드 하비의 공간 사유체계 / 60
PART II 건축의 통제구조와 소비공간의 Mall화 현상
6011 통제(관리)의 직접적 변화 양상(교정시설의 변화) / 69
6012 생산공간에서 소비공간의 변화 과정 / 80
6013 아케이드에서 Mall의 변화과정 / 85
6014 건축의 Mall화 현상 / 93
6015 공공-민간의 협력구조 심화 / 105
6016 소비공간구조의 중심화 현상 / 111
6017 포스트모던 시대의 엔터테인먼트 쇼핑몰화 현상 / 112
6018 공공영역의 사회 재조직화 변화 / 114
6019 렘 콜하스의 작품과 Bigness / 117
6020 자율적 통제의 강화 / 120
6021 공간통제의 방법론 / 124
PART Ⅲ 시사점과 건축적용 가능성
생각해보아야 할 점
6022 커뮤니티 공간의 확장속 공공공간의 축소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134
6023 합리적 의사소통 공간의 행위와 건축공간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 137
6024 유연적 통제의 커뮤니티 공간의 단점에 대한 해결방식은 어떻게 되어야 할 것인가? / 138
6025 리듬분석이란 무엇이며 식민화의 저항방식은 어떻게 되어야 할 것인가? / 141
6026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담론과 포스트모던 사회의 관계는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는가? / 143
6027 소비문화에 의한 일상의 통제와 건축가의 역할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 145
찾아보기
그림출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