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가로주택 정비사업

가로주택 정비사업

(도시재생의 현실적 대안, 미니 재건축)

서용식, 더나은도시디자인연구소 (지은이)
시공문화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1개 9,6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20개 2,39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가로주택 정비사업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가로주택 정비사업 (도시재생의 현실적 대안, 미니 재건축)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5592331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5-09-04

책 소개

더 나은 도시디자인연구소는 도시재생의 대안, 미니 재건축가로주택정비사업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문제요소를 찾아보고 앞으로 만들어질 도시환경과 건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쾌적한 도시환경을 만들어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에서 사업을 확인하고자 했다.

목차

여는 글
미니 재건축, 가로주택정비사업으로 만들어질 더 나은 도시디자인을 기대하며 002

한눈에 보는 가로주택정비사업 제도
도시재생의 현실적 대안, 미니 재건축 가로주택정비사업 012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장점 013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적용기준 018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10가지 020
비교해볼까요? 022

1장
가로주택정비사업 제도와 절차
가로주택정비사업이란?
1. 도시환경 개선, 주거생활의 질을 높이기 위한 도시정비사업 029
2. 노후·불량 건축물이란? 032
3. 도시정비법으로 본 가로주택정비사업 034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절차
1. 시행자의 종류 및 시행방법 037
2. 추진절차 038
3. 단계별 주요 업무 040

가로주택정비사업 이해를 위한 주요 용어
1. 조합원 049
2. 조합정관 050
3. 시공사 선정 051
4. 시공자 선정절차 052
5. 시공사 선정방법 053
6. 시공보증 055
7. 토지 등의 수용 또는 사용 056
8. 매도청구 057
9. 가로주택정비사업 비용의 부담 058
가로주택정비사업이 만들어진 배경
1. 뉴타운사업의 시작 062
2. 가로주택정비사업의 목표 066

가로주택정비사업 정책 지원, 활성화 & 안정화 방안
1. 서울시 정책 지원 068
2. 서울시 활성화 방안 070
3. 서울시 안정화 정책지원(2015년 5월) 076
4. 도시재생의 핫이슈, 가로주택정비사업의 전망 080

2장
가로주택정비사업 이해와 사례
가로주택정비사업 알아가기
1. 처음 가로주택정비사업 마주하기 087
2. 가로주택정비사업 부동산 사업 전망 092
3. 가로주택정비사업과 신탁 094

가로주택정비사업, 상담사례로 이해하기
사례 01. 가로주택정비사업 절차 097
사례 02. 노후도 문제, 관리처분 문제 099
사례 03. 개발이익에 따른 주민 갈등 103
사례 04. 분담금 문제 105
사례 05. 도시계획시설과도 막다른 부지 내 도로 문제 108
사례 06. 신탁으로 사업을 운영할 경우 112
사례 07. 조합보다 더 많은 사업 추진 이권 개입자 114
사례 08. 도시계획도로 문제, 주변 민원 문제 116
사례 09. 가로주택정비사업보다는 재건축사업으로, 지자체의 이해도 문제 118
사례 10. 동시다발적 가로주택정비사업 시행 가능성 121
사례 11. 미준공건축물, 구분지상권, 사업 시작 단계의 경우 123
사례 12. 도로를 끼고 떨어져 있지만 대지권 지분은 함께있는 연립 125
사례 13.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연계하여 진행 128
사례 14. 친환경건축과 제로에너지시범사업 132

성공적인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위한 제안
1. 주민과 전문가가 함께 만들어가는 사업_PM의 역할 140
2. 전문가그룹과 협업, 중소건설사 공동브랜드 더 숨(THE SOOM) 143

3장
가로주택정비사업 행복한 변화
행복한 주택 만들기
1. 행복에 대해 150
사회적 변화, 새로운 주거 트렌드 With People
1. 가로주택정비사업으로 인한 사회 변화 158
2. 커뮤니티 계획과 과정 160
3. 해외사례. 따로 그리고 함께, 스웨덴 스톡홀름 162
4. 해외사례. 제네레이션 믹스 165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01. 함께 사는 방법, 커뮤니티 공간 169

문화적 변화, 지역 색채를 살린 고유한 마을 만들기
1.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 공간 172
2. 해외사례. 과거와 현대가 공존하는 스페인 팜플로나 176
3. 해외사례. 옛것과 새것의 공존을 추구하는 독일의 도시재생사업 178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02. 지역의 고유한 문화 만들기 & 마을 만들기 180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03. 지역을 고려한 디자인 & 매력 있는 도시 만들기 181

경제적 변화, 새로운 도시환경이 더 많은 가치를 만든다
1. 가로주택정비사업의 경제적 변화 183
2. 해외사례. 삶의 여유가 느껴지는 이탈리아 제나짜노 184
3. 해외사례. 함께 사는 마을 코하우징, 미국 & 캐나다 186
4. 해외사례. 일본 타마다이라 189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04. 지역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살고 싶은 동네로 가치 업그레이드 190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05. 주민들을 위한 주거관리 & 종합생활서비스 191

물리적 변화, 쾌적하고 아름다운 도시환경 만들기
1. 진정한 도시디자인은 무엇인가, 더 나은 도시디자인 포럼 194
2. 도시 경관, 새로운 도시풍경의 시작 196
3. 해외사례. 이웃과 소통하는 디자인, 덴마크 VM하우스 198
4. 해외사례. 일본 중정형 공동주택 디자인, 마쿠하리 베이타운 200
5. 해외사례. 유럽의 중정계획, 덴마크 코펜하겐 슬루스홀믄 & 8하우스 208
6. 해외사례. 에너지절감형 패시브하우스, 독일 반진 210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06. ㄷ자. ㅁ자 중정형 디자인 214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07. 반지하, 주차공간 계획 216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08. 효율적인 재료 사용으로. 친환경 건축 217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09. 함께 만들어가는 공간, 오픈 스페이스 218

주거 패러다임의 변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주거
1. 함께 살아가기, 일본의 더 쉐어 222
2. 국내 쉐어하우스 1호, 수목마이바움 연희 224
더 나은 도시디자인 요소 10. 주민들이 만들어가는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주거 226
부록
1. 가로주택정비사업 진행 시 체크리스트 229
2. 가로주택정비사업 지수 233
3. 가로주택정비사업 관련 참고 연구 237
참고문헌 & 해외리서치 239

저자소개

서용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목건축 대표 -더나은도시디자인 연구소 소장 -더나은도시디자인 학교 교장 -더나은도시디자인 콘서트 2014(가로주택정비사업 중심으로, 서울시 후원) -더나은도시디자인 포럼 2014, 2015, 2016 주관(국토부 후원) -국토교통부 도시형생활주택, 기업형 주택임대관리 자문 TF팀 -국토교통부 주관 소규모 주택정비 특례법안 공청회 기업대표 위촉 2016 -서울시 가로주택정비사업 TF팀 2014 -서울시 역세권 2030 청년임대주택 실무 자문위원단 2016 -서울시 소규모 주택정비 사업 TF팀 2017
펼치기
더나은도시디자인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목건축에서 운영하는 더나은도시디자인 연구소는 도시의 지속가능한 성장에 이바지한다는 사회적 책임과 소명의식을 가지고 도시재생 사업에 임하고 있다. 도시의 경제적·사회적·물리적 질을 높여 도시경쟁력을 증대시키고, 도시에 숨을 불어넣을 수 있는 더 나은 도시디자인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제시함으로써 더 나은 도시문화를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